변안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특정 http → https 변환
잔글 정리. using AWB
1번째 줄:
'''변안렬'''(邉安烈, [[1334년]] [[4월]] ~ [[1390년]] [[2월 1일]]([[음력 1월 16일]]))은 중국 [[원나라]] [[선양 시|심양]](瀋陽) 출신으로 [[고려]] 말기의 문신(文臣), 무신(武臣), [[시 (문학)|시인]](詩人)이다.
{{정리 필요|날짜=2014-02-06}}
'''변안렬'''(邉安烈, [[1334년]] [[4월]] ~ [[1390년]] [[2월 1일]]([[음력 1월 16일]]))은 중국 [[원나라]] [[선양 시|심양]](瀋陽) 출신으로 [[고려]] 말기의 문신(文臣), 무신(武臣), [[시 (문학)|시인]](詩人)이다.
 
본관은 [[원주 변씨|원주]](原州)이고 자(字)는 충가(忠可)이며 호(號)는 대은(大隱)이다. [[고려 공민왕]]이 원나라 심양에 있을 때 [[고려 공민왕|공민왕]]을 따라 고려로 귀화하였다. 부친은 고려 판삼사사(高麗 判三司事)로 추증된 변량(邉諒)이다. [[1351년]] 진사시에 장원 급제했다. <ref name="변안렬">《한국민족문화대백과》, 변안렬(邉安烈), 한국학중앙연구원(1998년판)</ref>
줄 6 ⟶ 5:
[[조선 태조|이성계]](李成桂), [[최영 (고려)|최영]](崔瑩) 등과 함께 참전하여 [[왜구]]를 물리쳤으며 당파 싸움에 휘말리지 않은 [[고려]] 말기의 무신(武臣)이었다. [[김저]](金佇)의 분명치 않은 자백에 의한 누명으로 억울하게 순절하였다. [[조선 태조]]([[조선 태조|이성계]])는 충신 대은 변안렬을 [[조선]] 개국 이등공신에 책록을 추증하는 교지를 내리었다.<ref>[참고문헌:『고려사(高麗史)』,『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야은집(冶隱集)』,『대은실기(大隱實紀)』(신석호, 한일문화인쇄사, 1977),『고려사(高麗史)의 연구(硏究)』(변태섭, 삼영사, 1982)]</ref>
 
== 생애 ==
1334년 4월에 태어났다. 공민왕 10년([[1361년]]) [[안우]](安祐)를 따라 홍건적을 패주시키는 데 공을 세워 2등 공신 판소부감사(判小府監事)에 올랐으며 이듬해에는 개성(開城)을 수복하고 1등공신이 되었다. 예의판서(禮儀判書)가 되어 추성보조일등공신推誠輔祚一等功臣)의 호를 받고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가 되었다. 1374년 최영과 더불어 [[제주]]를 정벌한 뒤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문하평리(門下評理)를 역임하였다.
 
줄 18 ⟶ 17:
드디어 대승리를 거두었는데 냇물이 발갛게 되어 6, 7일이나 그 색이 변하지 않았으므로, 사람들이 마시지 못하고 그릇에 담아서 맑아지기를 오랫동안 기다려서야 마실 수 있었다. 노획한 마필이 1,600여 필이고, 기타 무기는 헤아릴 수 없었다. 지인 김국을 파견하여 승전을 보고했더니, 신우는 기뻐서 밀직사 인원보를 보내어 궁중에서 술을 주어서 위로하고, 김국에게 낭장 벼슬과 말 1필을 주었다. 처음에 적의 병력이 아군의 10배나 많았지만 70여명이 겨우 살아 지리산으로 도망쳤다.<ref>변안렬전에 수록된 황산대첩에는 변안렬의 전공보다는 이성계의 전공이 확대돼 있다. 전공의 평가는 동일하게 받았고 황산대첩에서 변안렬은 도체찰사(정1품)이고, 이성계는 도순찰사(정2품)인데 지휘체계가 모호하다. 또한 변안렬전에 묘사된 이성계의 전공은 독자적인 전공위주로 나오는데, 지휘관이 결심하는 합동작전의 내용이 없지만 황산대첩은 왜구의 말 1,600여 필을 노획할 수 있을 정도의 전면전적인 대규모 전투였음을 알 수 있다. 황산대첩후 변안렬은 이성계와 최고의 포상을 받았다. </ref> <ref><고려사, 변안렬전></ref> <ref>저서 '대은 변안렬의 생애와 업적'<한국역사문화원></ref>
{{참고|황산대첩|설명=황산대첩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 전제개혁과 관계 ===
줄 37 ⟶ 35:
 
== 가족관계 ==
* 부 : 변양(邉諒)
** 형(兄) : 변안백, 고려 호부전서
** 제(弟) : 변안서(邉安緖),
** 아내 : 원주 원씨 부인
*** 아들 : 변현(邉顯)
**** 손자 : 변극충(邉克忠), 별좌공파祖, 원종삼등공신
**** 손자 : 변극민(邉克愍), 참의공파祖
*** 아들 : [[변이 (1360년)|변이]](邊頤, 1360년 ∼ 1439년), 원종공신, 호용사 동첨절제사, 판남원부사, 전라도 병마도절제사 겸 수군도절제사, 충청도 수군도안무처치사, 중군 총제
**** 손자 : 변차희(邉次熹, 첨추공파祖,1392~1462), 子 회문, 장흥고직장, 부안진병마절제사, 조선조 세종때 첨지중추원사
**** 손자 : 변상조(邉尙朝, 남부령공파祖) : , 원종삼등공신, 조선조 세조때 남부령을, 아내(순천 김씨)
**** 손자 : 변상근(邉尙覲, 호군공파祖) 조선조 세종때 선절장군 군기시판관
**** 손자 : [[변상회]](邉尙會,1399~1485, 참판공파祖) 호 무송당, 원종삼등공신, 호조․예조참판 증예조판서 겸 예무관제학 지 경연춘추관사 원평군
**** 손자 : 변상동(邉尙同, 감찰공파祖,1400생) 조선조 사헌부감찰
**** 손자 : 변상빙(邉尙聘, 군수공파祖), 원종삼등공신, 세종조에 행대감찰로서 홍원숙과 같이 옭고 그른일을 살피는 일로 경기 좌우도보사직이 되고 원종공신삼등에 녹훈 통정대부 간성군수 역임
**** 손자 : [[변상복]](邉尙服, 부마공파祖) 호 송헌(松軒), 조선조 통정대부 강릉대도호부사, (정종의 딸 [[덕천옹주]]와 혼인)
**** 손녀 사위 : 정유길(鄭由吉), 이점(李漸), 이승손(李承孫)
*** 아들 : 변예(邉預)
**** 손자 : 변영청(邉永淸) 사용공파祖
**** 손자 : 변세청(邉世淸) 중랑장공파祖
<ref><<황주변씨 족보>></ref> <ref><<원주변씨 족보>></ref> <ref><<대은 변안렬의 생애와 업적>></ref>
 
줄 141 ⟶ 139:
대은 변안렬의 평가를 위해서 고려말을 살펴보면 우왕은 왕씨가 아니라고 몰렸으며, 권력의 탐학과 전횡을 일삼던 이인임은 왕권과 신하들을 위협하다가 이성계에게 처형당하고, 급진개혁가 정도전은 이성계의 힘을 빌어 역성혁명을 꿈꾸었다.
 
만약, 변안렬이 억울하게 순절하지만 않았어도 고려왕조는 계속되었을지도 모를 일인 것이다. 고려사에서 변안렬을 이성계가 처형했다고 기록했다. <ref>" 이는 태조(이성계)로 하여금 정도전을 내치는 요인중 하나가 되었을 것이다. 이후 정도전이 펼치는 정책은 태조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결국 정도전은 태조가 16세의 어린 방석을 세자로 책봉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던 것이다." </ref>
 
대은 변안렬은 이성계와 함께 위화도에서 회군 하였다. 이는 이성계와 고려를 바로세우려는 충신으로서 같은 뜻을 가졌지만 이성계와 추구하는 목표는 달랐다. 그러나 변안렬은 [[우왕 복위 사건]]에 휘말려 억울하게 순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