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견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편집 요약 없음
20번째 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대한민국]]의 제약회사인 [[셀트리온]]과 함께 광견병 치료 항체를 개발하고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셀트리온, 美 CDC와 광견병 치료 항체 공동개발 계약
|url = http://wwwnews.asiaenaver.co.krcom/newsmain/viewread.htmnhn?idxnomode=LSD&mid=sec&sid1=101&oid=014&aid=20090915141542198350002143296
|출판사 = 아시아경제
|저자 = 박선미 기자
33번째 줄:
[[대한민국]]에서는 야생 [[너구리]]로 인한 감염이 위협이 되고 있으며<ref>{{뉴스 인용
|제목 = 전국에 공수병 주의보(종합)
|url =http://news.natenaver.com/viewmain/20090206n07921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2143296
|출판사 = 연합뉴스|저자 = 이승우 기자 |쪽 =
|날짜 = [[2009년]] [[2월 6일]]
39번째 줄:
}}</ref>, 이에 따라 [[야생동물]]의 광견병 감염 및 그로 인한 주민 피해를 막기 위해 야생동물의 먹이에 백신을 넣어 섭취시 항체를 갖도록 하는, 소위 '''미끼 백신'''을 야외에 살포하기도 한다<ref>{{뉴스 인용
|제목 = 광견병 미끼 백신 1만3,000개 15개 지역 살포
|url = http://wwwnews.kwnewsnaver.co.krcom/nviewmain/read.aspnhn?smode=LSD&aidmid=209101900147sec&tsid1=101&oid=014&aid=0002143296
|출판사 = 강원일보|저자 = 하위윤 기자|쪽 =
|날짜 = [[2009년]] [[10월 20일]]
49번째 줄:
광견병 바이러스는 신체의 신경 조직을 통해 뇌신경 조직으로 도달한 뒤에 실제 발병 증상을 나타내며, 원래 인간의 뇌에는 [[혈액 뇌 장벽]](Blood Brain Barrier)이 존재하여 외부 물질을 막기 때문에 바이러스 등이 침투할 수 없으나, 광견병 바이러스는 [[RVG 단백질]]을 통해 이 장벽을 통과하여 뇌를 감염시킨다<ref>{{뉴스 인용
|제목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2143296
|url = http://news.dongascience.com/HTML/News/2009/10/12/20091012200000024620/200910122000000246200103000000.html
|출판사 = 더사이언스
|저자 = 변태섭 기자
60번째 줄:
한편, [[2005년]]에 박쥐에 물린 뒤 잠복기를 거쳐 광견병이 발병한 미국인 청소년 제나 기즈를 백신의 도움 없이 [[밀워키 프로토콜]]을 적용해 치료한 사례가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세계 첫 백신없이 광견병 치료 성공
|url = http://wwwnews.dailymedinaver.com/newsmain/opdb/indexread.phpnhn?cmd=view&dbt=article&code=49352&page=1&selmode=LSD&keymid=sec&catesid1=class8101&rgnoid=014&termaid=0002143296
|출판사 = 데일리메디
|저자 = 신목 기자
67번째 줄:
|확인날짜 = 2010년 1월 19일
|확인날짜 = 2010년 1월 19일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50330022249/http://wwwnews.dailymedinaver.com/news/opdbmain/indexread.phpnhn?cmd=view&dbt=article&code=49352&page=1&selmode=LSD&keymid=sec&catesid1=class8101&rgnoid=014&termaid=0002143296
|보존날짜 = 2005년 3월 30일
|깨진링크 = 예
90번째 줄:
광견병 바이러스를 처음으로 관측한 것은 [[1932년]] 독일 과학자 크놀과 루스카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 광견병 퇴치의 주인공은 파스퇴르를 위해 자살
|url = http://wwwnews.sciencetimesnaver.co.krcom/articlemain/read.donhn?todomode=LSD&mid=sec&sid1=101&oid=view014&atidxaid=00000103030002143296
|출판사 = 사이언스타임즈
|저자 = 이종호|쪽 =
104번째 줄: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 아시아,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서 매년 55,000명 정도가 사망하고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 = Scratch from dog in Africa may have infected rabies victim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2143296
|url = http://www.irishtimes.com/newspaper/ireland/2009/0108/1230936761342.html
|출판사 = Irishtimes.com|저자 = Gerry Moriarty, Northern Editor
|쪽 =
121번째 줄:
* {{두피디아|101013000736254}}
* {{브리태니커|b02g1233b}}
* {{언어링크|en}} [http://wwwnews.whonaver.intcom/mediacentre/factsheets/fs099/en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2143296 광견병] - [[WHO]]
* {{DMOZ|Health/Conditions_and_Diseases/Infectious_Diseases/Viral/Rab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