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일부 정리. using AWB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여러 문제|
{{정리 필요|날짜=2012-1-9}}
{{출처 필요|날짜=2012-1-9}}
}}
{{다른 뜻|한비||[[춘추전국시대]]의 인물 한비자}}
 
줄 10 ⟶ 7:
 
이 책은 총 55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편장들은 몇 가지의 특색 있는 종류들로 나눌 수 있다. 물론 대부분의 편장은 한비가 군주에게 부여하는 권력의지의 지향점인 절대적 군주권의 수립 및 현실에서 출발하는 국가 전체의 질서 정립이라는 문제의식을 다루고 있다.
 
<!--
== 핵심적 주장들 ==
-->
== 편장의 대략적 분류 ==
 
줄 19 ⟶ 14:
《한비자》
속에는 다양한 다른 사상들이 등장한다. 그 가운데에는 서술하는 주체의 판단 기준이 된 것도 존재하고 반대로 비판 대상이 된 것도 존재한다. 판단 기준이 된 다른 사상은 [[도가]]와 [[법가]]의 혼합을 이룬 [[황로]]파나 법가의 사상가들인 [[상앙]], [[신불해]] 등의 것이 있다. 상앙의 경우에는 법을 이야기 할 때, 신불해의 경우는 술을 이야기 할 때 그 전거로서 매우 많이 사용된다.
: * [[황로]]파의 시각 아래서 서술된 편장
 
: * [[황로]]파의 시각 아래서 서술된 편장
: 5편 〈주도〉, 8편〈양권〉, 20편〈해로〉, 21편〈유로〉, 27-29편〈용인〉〈공명〉〈대체〉. 여기서 한비는 특히 그가 구상하는 정치체제의 근거를 형이상학적인 영역으로까지 확장시켜낸다. 법, 술, 세를 작동시키는 군주의 행위는 결국 초월적인 척도를 행성하므로 법술지사의 도움을 받아 객관적 척도를 수립하는 데 성공한 군주는 더이상 아무것도 하는 일 없이 즉 무위하고서도 국가를 통치할 수 있게 된다.
 
: * [[상앙]]의 시각 아래에서 서술된 편장
: 53편 〈칙령〉, 54편 〈심도〉, 55편 〈제분〉.
 
: * [[상앙]]과 [[신불해]] 모두를 인용한 편장
: 43편 〈정법〉. 흩어져 있던 법가의 개념들을 집대성해서 하나의 체계로 만든 사람이 한비라는 점을 여기서 명확히 밝힐 수 있다.
 
: * 타 학파에 대한 비판
: 49-51편 〈오두〉,〈현학〉,〈충효〉. 주된 비판 대상은 지식인으로서의 삶을 살아가지만 실천과는 유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유교|유가]]와 [[묵가]]이며, [[종횡가]]의 합종책에 대해서도 단일 군주권의 원리를 통해 비판이 시도된다. 비판 역시 한비의 권력의지가 어디로 향해 있었는지를 살피는 데 있어 매우 핵심적인 부분이다.
 
줄 36 ⟶ 30:
군주에 대한 상주문이거나 한비 학파의 교과서로 쓰였을 법한 편장들이 다수 발견된다.
 
: * 군주에 대한 상주문들
: 1-4편이 명확하다. 물론 이론적 논문의 대부분은 군주를 잠재적 독자로 삼고 있다.
 
: **한비 학파의 교과서들
: 23, 24편 〈설림〉30-35 〈내/외저설〉. 특히 이것이 교과서로 뽑힐 만한 이유는 이것이 바로 수많은 사례들을 포함하고 있는 편장이기 때문이다. 군주를 설득하기 위한 변설의 자료를 공부해야 했던 당시 학자 지망생들의 교육 내용을 짐작할 수 있는 부분으로 보인다. 36-39편 〈난〉1-4도 비슷한 성격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