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교육: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다른 뜻|일제 강점기의 교육|광복 후의 교육|광복([[1945년]]) 전의 교육}}
 
'''대한민국의 교육'''은 분야가 크게 유아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 평생교육(중장년층, 노년층 대상)으로평생교육으로 나뉘고,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은 의무교육이다. 학제는 6·3·3·4제로, 모든 학생이 동일한 학교 계통을 밟을 수 있게 하는 단선형 학제이다. [[대한민국 정부]] [[교육부]]에서 관장한다. 상당히 높은 교육열에 힘입어 거의 모든 학생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진학하며, 대학 진학률은 67%에 달한다. 한국의 교육은 근 40년 가까이 학생들을 무한 경쟁에 내모는 입시 위주 교육이라는 비판을 들어 왔다. 역대 모든 정부가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 개혁을 자주 시도하였으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것은 하나도 없다. 대한민국 학생의 70%가 공교육을 불신하여 사교육을 받는 문제<ref name=":2">{{웹 인용|url=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697|제목=국가지표체계|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도 끊임없이 지적받아 왔다. 저출산의 여파로 1980년 대비 2017년 학생 수는 크게 감소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37|제목=국가지표체계|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
 
== 역사 ==
130번째 줄:
 
==== 일반고등학교<ref name=":4">{{웹 인용|url=http://www.hischool.go.kr/entrance/101.jsp?menu=1&submenu=1|제목=고입정보포털|언어=ko|확인날짜=2018-10-29}}</ref> ====
일반고등학교는 특정 분야가 아닌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일반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고등학교로, 대한민국에 1700여 개가 있는 가장 흔한 학교이다.<ref name=":0" /> 교육과정은 보통 교과와 전문 교과로 구성된다.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에 따라, 평준화된 학교는 '선 복수 지원 후 추첨 배정' 방식으로, 비평준화된 학교는 중학교 내신 성적과 고등학교 입학 선발고사[[고입선발고사]] 성적을 바탕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일반고의 학비는 연 200~300만원 선에 그친다.<ref>{{뉴스 인용|url=http://www.newspim.com/news/view/20170630000129|제목=[자사고‧외고 논란②] “일반고가, 공교육이 붕괴됐다” 폐지논쟁 촉발의 이유|뉴스=뉴스핌|언어=ko-KR|확인날짜=2018-10-29}}</ref>'진로집중과정'과 '중점학교'가 있다.
 
진로집중과정은 학교 규모 및 지역 여건에 따라 외국어, 예체능, 직업 등에 따라, 학교별로 특정 분야의 집중 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제도이다. 획일적인 교육과정 편성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진로를 자유로이 탐색할 수 있게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직업과정은 보통 위탁교육으로 운영된다.
137번째 줄:
 
==== 특수목적고등학교 ====
특수목적고등학교, 약칭 특목고는 말 그대로 특수한 목적을 위해 설립된 학교이다. 외국어고등학교, 국제고등학교, 과학고등학교, 예술·체육고등학교, 마이스터고등학교가 있다. 개별 학교마다 모집 전형이 사뭇 다르다. 총 155개 있다.<ref name=":0" /> 고입에서 일반고에 앞서 학생을 선발할 권리를 가지는데, 2018년에 교육부가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개편하여 동시에 선발하고 특목고와 자사고에 지원한 학생이 일반고에 지원할 수 없게끔 하였으나, 헌법재판소는 이 시행령이 위헌이라고 판결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628_0000349521|제목="고입 동시 실시 위헌" 학부모 손 들어준 헌재…자사고 폐지 제동걸리나|성=NEWSIS|언어=ko|확인날짜=2018-10-29}}</ref>그 수가 매우 적음에도 불구하고 대학 입시에서 초강세<ref name=":8">{{웹 인용|url=http://home.ebs.co.kr/ebsnews/menu1/newsAllView/10684978/H?eduNewsYn=N|제목=EBS뉴스 - 요즘 서울대 입학조건... '특목고·서울·경제력’|언어=ko|확인날짜=2018-10-29}}</ref>를 보이고, 우선선발로 우수 학생들을 독점하는 데다가, 고소득층 자녀들이 주로 입학하는 경향<ref>{{뉴스 인용|url=http://www.nocutnews.co.kr/news/271082|제목=특목고 신입생 학부모 상당수는 ''고소득층''|언어=ko-KR|확인날짜=2018-10-29}}</ref>을 보이면서, 특목고를 폐지하자는 주장이 수없이 제기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35429|제목=왜 과학고가 아니라 외고·자사고가 문제인가|날짜=2017-06-21|확인날짜=2018-10-29}}</ref><ref name=":5">{{웹 인용|url=http://news.khan.co.kr/kh_hotissue/sub_list.html?iscode=ah839|제목=외고·자사고 존폐 논란 - 경향신문|언어=ko|확인날짜=2018-10-29}}</ref><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26/0200000000AKR20170626034100004.HTML|제목=외고·자사고 존폐 논란…"폐지 53% vs 유지 27%"[리얼미터]|성=공병설|날짜=2017-06-26|뉴스=연합뉴스|언어=ko-KR|확인날짜=2018-10-29}}</ref><ref>{{웹 인용|url=https://www.ytn.co.kr/_ln/0103_201706152242136241|제목=외고·자사고 폐지 가닥...교육계 찬반 논란|언어=ko|확인날짜=2018-10-29}}</ref>
 
===== 외국어고등학교<ref name=":4" /> =====
214번째 줄:
 
등록금은 수업료, 기성회비, 입학금 등으로 구성되며, 평균 600만원대이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01&year=2017&no=289691|제목=대학 등록금 평균 668만원…연세대 902만원 가장 비싸|뉴스=mk.co.kr|언어=ko|확인날짜=2018-10-25}}</ref><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42624.html|제목=올해 4년제 학생 평균 등록금 671만원…대부분 대학은 ‘동결’|날짜=2018-04-30|언어=ko|확인날짜=2018-10-25}}</ref>장학금은 재단 또는 국가에서 제공한다. 금전적 사정이 여의치 않은 학생들을 위하여 [[한국장학재단]]과 [[은행]] 등이 학자금을 대출해주고 있다. 대학생 생활비 통계는 조사 방식에 따라 사뭇 다르다.<ref>{{웹 인용|url=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706170436493663|제목=대학생 한달 117만6000원 쓴다|언어=ko|확인날짜=2018-10-25}}</ref><ref>{{뉴스 인용|url=http://bizn.donga.com/HotClick/3/0115/20180316/89130443/1|제목=대학생 한달 평균 생활비 51만4000원…3년 전보다 15만원↑|뉴스=bizn.donga.com|언어=ko|확인날짜=2018-10-25}}</ref>대학생 상당수는 등록금과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하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 전문대학 ===
{{본문|대한민국의 전문대학}}
 
=== 사이버대학 ===
 
=== 순위 ===
줄 270 ⟶ 274:
대한민국에서는 검정고시로 초, 중, 고등학교 학력을 취득할 수 있다. 시험 난이도는 대체로 쉬운 편이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28/2017082800204.html|제목=고졸 검정고시 봤는데 왜 무시당한 기분들죠|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 응시자는 공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노년층, 학교를 자퇴했거나 재택학습을 하는 청소년들이 주를 이룬다.
 
== [[성교육]]방송통신교육 ==
 
대한민국의 성교육은 고리타분하다는 비판이 상당히 많이 제기된 바 있다.<ref>{{웹 인용|url=http://m.weekly.khan.co.kr/view.html?med_id=weekly&artid=201702141613221&code|제목=[표지이야기]한국 성교육, 위험한 10대 섹스 부른다|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705781.html|제목=‘황당한’ 성교육 교재로 ‘반드시 가르치라’는 교육부|날짜=2015-08-24|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38501.html|제목=아이들 다 아는데, 학교만 모르는 ‘진짜 성교육’|날짜=2018-03-31|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성교육은 보건 영역의 '일부'다. 그런데 보건 영역은 수업 시수가 1년에 10시간에서 15시간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건교사는 다른 보건 영역(응급처치 등)과 더불어 성교육까지 10시간 안에 끝마쳐야 하기 때문에, 생물학적 성만 교육하게 된다. 실제 [[섹스]]가 어떻고 [[콘돔]]을 어떻게 끼우고 어떻게 [[피임]]을 하는지는 전혀 가르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생물학적 성이 아닌 다른 성적 내용을 교육하더라도, 그 내용은 대개 성폭력 예방에 그치며, 일부는 '이성교제가 건전하지 못했을 때 성폭력이 생긴다'고 교술하는 등 왜곡된 성 의식을 함양한다. 전문적이고 올바른 성교육을 하려면 제도적 여건이 갖춰져야 하나, 대한민국 학교의 보건 교사 배치율은 고작 65%밖에 되지 않으며, 그들 중 대다수는 비정규직 또는 기간제 교사로 채용되어 열악한 처우 속에 성교육을 하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dspress.org/news/articleView.html?idxno=5941|제목=우리나라의 고리타분한 성교육|날짜=2016-09-12|뉴스=덕성여대신문|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
=== 방송통신중·고등학교 ===
 
=== 방송통신대학교 ===
 
=== [[EBS]] ===
 
=== [[인터넷강의]] ===
 
==== [[EBSi]] ====
 
==== 사설 인터넷 강의 ====
 
==[[재택학습]](홈스쿨링) ==
줄 279 ⟶ 294:
 
=== 소득 수준에 따른 고등학교 격차 ===
일반고와 특목고, 자사고의 학비는 그 간극이 매우 크다. 2014년 국제고의 연 평균 학비는 855만 원, 공립 외고는 538만 원, 사립 외고는 837만 원, 자사고는 825만 원, 일반고는 106만 원으로 집계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627715.html|제목=국제고·외고 가겠다고? 교육비 확인해 봤더니…|날짜=2014-03-11|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 이에 비례하여 대입 실적도 만만치 않게 차이가 난다. 비율이 매우 적음에도 불구하고 명문대 입학생의 상당수는 특목고 및 자사고 출신이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01/2017070100076.html|제목=서울대 등 10개大, 신입생 31%는 특목고·자사고 출신|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ref name=":8" /> 특목고와 자사고가 제공하는 교육의 질(학생부의 질)이 일반고에 비해 월등하기 때문에 이들은 대입에서 우위를 점할 수밖에 없다.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은 명문대 진학률이 낮고, 땅값이 비싸며 고소득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강남 3구 소재 일반고는 명문대 진학률이 높다. 양정호(교육학) 성균관대 교수는 “소득수준이 명문대 진학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통념보다 훨씬 강하다는 것이 입증된 것”이라고 해석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news.joins.com/article/8133537|제목='개천서 용 날 수 없나' SKY진학률 비교해보니|날짜=2012-05-10|뉴스=중앙일보|언어=ko-KR|확인날짜=2018-10-23}}</ref> 이들의 특권의식은 대학에서 고등학교 학벌을 과시하는 것으로 드러나기도 한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mk.co.kr/newsRead.php?no=529169&year=2017|제목=출신 고교명 새긴 대학교 `과잠`, 학벌주의 조장?|뉴스=mk.co.kr|언어=ko|확인날짜=2018-10-25}}</ref>
 
=== 과열된 사교육(학원) ===
{{참고|사교육}}{{본문|학원}}학원으로 대표되는 대한민국의 사교육 열풍은 'Hagwon'이라는 영단어까지 생길 만큼 유명하며, 심각하다. 대한민국 학생들의 70%는 사교육을 받는다.<ref name=":2" />영아에게도 예외는 아니라서, 0~5세 영아의 16.2%도 사교육을 받는 지경에 이르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77526606283096&mediaCodeNo=257|제목=[사설] 사교육 열풍, 우리 아이들이 불쌍하다|날짜=2014-11-06|뉴스=이데일리|언어=ko|확인날짜=2018-10-29}}</ref> 이렇게까지 학원과 고액과외가 성행하게 된 원인으로는 주로 부실한 공교육과 불안심리가 꼽힌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급변하는 입시에 학부모들의 막연한 불안감만 증폭되었으며, 학원 원장들이 이를 이용하여 사교육을 시키게끔 하는 것이다. 또한 취업난 시화에 따른 무한경쟁의식도 한몫한다. 실제로 교육부에서 교원, 학부모,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사교육을 하는 근본 원인은 1위가 진학준비, 2위가 불안심리이며, 이 둘이 전체 응답의 70%를 차지한다.<ref>{{뉴스 인용|url=https://news.joins.com/article/21987347|제목=사교육 받는 근본 원인 2위가 ‘불안 심리’…1위는?|날짜=2017-10-01|뉴스=중앙일보|언어=ko-KR|확인날짜=2018-10-29}}</ref> 이에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정치인)|김병욱]] 의원은 공교육 정상화만큼이나 막연한 불안 심리를 막을 대책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본문|학원}}
 
=== 대학교 서열화 ===
{{참고|학벌}}
 
=== 낮은 학생 행복도 ===
 
=== 고리타분한 [[성교육]] ===
대한민국의 성교육은 고리타분하다는 비판이 상당히 많이 제기된 바 있다.<ref>{{웹 인용|url=http://m.weekly.khan.co.kr/view.html?med_id=weekly&artid=201702141613221&code|제목=[표지이야기]한국 성교육, 위험한 10대 섹스 부른다|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705781.html|제목=‘황당한’ 성교육 교재로 ‘반드시 가르치라’는 교육부|날짜=2015-08-24|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38501.html|제목=아이들 다 아는데, 학교만 모르는 ‘진짜 성교육’|날짜=2018-03-31|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성교육은 보건 영역의 '일부'다. 그런데 보건 영역은 수업 시수가 1년에 10시간에서 15시간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건교사는 다른 보건 영역(응급처치 등)과 더불어 성교육까지 10시간 안에 끝마쳐야 하기 때문에, 생물학적 성만 교육하게 된다. 실제 [[섹스]]가 어떻고 [[콘돔]]을 어떻게 끼우고 어떻게 [[피임]]을 하는지는 전혀 가르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생물학적 성이 아닌 다른 성적 내용을 교육하더라도, 그 내용은 대개 성폭력 예방에 그치며, 일부는 '이성교제가 건전하지 못했을 때 성폭력이 생긴다'고 교술하는 등 왜곡된 성 의식을 함양한다. 전문적이고 올바른 성교육을 하려면 제도적 여건이 갖춰져야 하나, 대한민국 학교의 보건 교사 배치율은 고작 65%밖에 되지 않으며, 그들 중 대다수는 비정규직 또는 기간제 교사로 채용되어 열악한 처우 속에 성교육을 하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dspress.org/news/articleView.html?idxno=5941|제목=우리나라의 고리타분한 성교육|날짜=2016-09-12|뉴스=덕성여대신문|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