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크래프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22.101.243.80(토론)의 22872269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각주 제거됨
4 개의 출처 구조, 2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9)
86번째 줄:
'''유닛 크기'''(Unit Size)와 '''피해 형태'''(Damage Type)는 서로 다른 유닛간의 강하고 약한 상성 관계를 설계하는 데 사용된 모델이다.
 
스타크래프트에 존재하는 모든 유닛은 대형, 소형, 중형 중 하나로 구분된다. 이들 구분은 유닛이 어떤 피해 형태를 가진 공격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느냐를 결정한다.<ref name="Damage Types and Unit Sizes">{{웹 인용 |url=http://www.battle.net/scc/GS/damage.shtml|제목=General Strategy - Damage types and Unit types|저자=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출판사=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언어=영어|확인날짜=2007-10-25|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1011010844/http://www.battle.net/scc/GS/damage.shtml|보존날짜=2007-10-11|깨진링크=예}}</ref> 일반형 공격은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유닛에게 100% 피해를 준다. 진동형 공격은 소형 유닛에게 100%의 피해를, 중형 유닛에게 50%의 피해만을, 대형 유닛에게 25%의 피해만을 준다. 폭발형 공격은 소형 유닛에게 50%의 피해만을, 중형 유닛에게 75%의 피해만을, 대형 유닛에게 100%의 피해를 준다.<ref name="Damage Types and Unit Sizes" />
 
=== 2가지 자원 ===
101번째 줄:
《스타크래프트》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제공하는 온라인 게이밍 서비스인 [[배틀넷]]을 통해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할 수 있다. 한 게임에서 최대 여덟 명이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고, 사람 대신 컴퓨터 플레이어를 인원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플레이어 간에 동맹을 맺어 협동 플레이도 가능하며, 한 쪽의 숫자가 부족한 핸디캡 경기를 가질 수도 있다. 배틀넷에서 [[유즈 맵 세팅]] 을 제외한 모든 게임은 조기에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승/패가 기록으로서 남게 되는데, 간혹 네트워크 연결상의 문제로 게임이 종료되면 DISC(Disconnected)로 표시될 수 있다.
 
《스타크래프트》 역시 배틀넷 상에서 편법적인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해킹 프로그램이 존재하는데, 블리자드는 이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플레이어를 발견하면 자사의 모든 배틀넷 망으로부터 그들의 접근을 차단한다.<ref name="Blizzard_support">{{웹 인용 |url=http://us.blizzard.com/support/article.xml?articleId=21133|제목=Blizzard Support|출판사=Blizzard|언어=영어|확인날짜=2007-10-22|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430205103/http://us.blizzard.com/support/article.xml?articleId=21133|보존날짜=2008-04-30|깨진링크=예}}</ref>
 
=== 래더 랭킹 시스템 ===
122번째 줄:
=== 대한민국에서의 성공과 영향 ===
《스타크래프트》는 [[1998년]] 출시된 오래된 게임이지만, [[2016년]]까지 [[대한민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게임의 하나로 꼽혔다.<ref name="star2_chosun">{{웹 인용 |url=http://game.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9/28/20070928000017.html |제목=
스타크래프트2, ‘스타’ 넘어야 경쟁력 생긴다 |저자=최승진 |출판사=게임조선}}</ref><ref name="gamerank">{{웹 인용 |url=http://www.gamechart.co.kr/subPage/subPage.php?ps=_gamerank&n_chart=1&period=week |제목=게임차트 게임 주간 순위 |출판사=게임차트 |확인날짜=2007-10-1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1119093320/http://www.gamechart.co.kr/subPage/subPage.php?ps=_gamerank&n_chart=1&period=week |보존날짜=2011-11-19 |깨진링크=예 }} 이 순위는 언제든지 변동될 수 있습니다.</ref> 또한 《스타크래프트》는 대한민국에 [[PC방]]을 퍼뜨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ref name="star2_busan">{{웹 인용|url=http://www.busanilbo.com/news2000/html/2007/0929/0N0020070929.1017163404.html|제목=약방엔 감초 PC방엔 스타크|저자=최세헌|출판사=부산일보|확인날짜=2007-10-22|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907234555/http://www.busanilbo.com/news2000/html/2007/0929/0N0020070929.1017163404.html|보존날짜=2008-09-07|깨진링크=예}}</ref>
|제목=약방엔 감초 PC방엔 스타크|저자=최세헌|출판사=부산일보}}</ref>
 
[[파일:Televised Star Craft.jpg|섬네일|250px|[[프로게이머]]들이 경기하는 모습이 [[MBC 게임]]을 통해 중계되고 있다.]]
[[1998년]] 7월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 스타크래프트 리그인 KPGL이 개최되었으며, [[1999년]] 4월 KPGL과 PKO의 양대 리그가 성립되었다. 이를 계기로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이 본격적으로 활성화하였다. 이를 계승한 [[온게임넷]]과 [[MBC 게임]]은 [[2011년]]까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의 명맥을 이어나갔다.<ref name="starleage2">{{웹 인용|url=http://www.dt.co.kr/contenthtm?article_no=2005040102010151671002|제목=게임세상 혁명 꿈꾸는 신인류|저자=이택수|출판사=디지털타임스}}{{깨진 링크|url=http://www.dt.co.kr/contenthtm?article_no=2005040102010151671002 }}</ref>
|제목=게임세상 혁명 꿈꾸는 신인류|저자=이택수|출판사=디지털타임스}}</ref>
[[2002년]]부터는 스타리그의 프로게이머 중에서는 연봉이 2억이 넘는 선수가 최초로 생겼고, 기업들의 광고와 후원도 많아졌다.
[[2004년]] 7월 SKY 프로 리그 2004 결승전에서는 10만 명의 관중이 모여 그 인기를 증명하기도 했다.<ref name="starleage1">{{웹 인용|url=http://www.dt.co.kr/contents.htm?article_no=2005052502152231671002
줄 203 ⟶ 201:
 
== 블리자드의 저작권 논란 ==
[[대한민국]] 내에서 열리는 스타크래프트 관련 경기 대회는 다른 국가에서는 블리자드가 직접 대회를 주관한 것과는 달리 대한민국 e-스포츠협회에서 주관한 것으로, 블리자드는 이것을 문제삼아 e-스포츠협회와 대회 중계방송사에 [[지적재산권]] 보상을 요구해왔으나 e-스포츠협회와 대회 중계방송사 측은 거절하였으며 대회 진행을 강행했다.<ref name="naeil">[http://www.naeil.com/News/economy/ViewNews.asp?nnum=579444&sid=E&tid=4 스타크래프트, 한-미간 저작권 분쟁]{{깨진 링크|url=http://www.naeil.com/News/economy/ViewNews.asp?nnum=579444&sid=E&tid=4 }} 내일신문, 2010년 10월 28일</ref><ref>[http://www.zdnet.co.kr/ArticleView.asp?artice_id=20101013162501 한국e스포츠협회, 스타 리그 ‘강행’…블리자드 저작권 무시?] 지디넷코리아, 2010년 10월 13일</ref>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측은 "다만 비영리 게임대회에 대해서는 지적저작권 보상을 요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고<ref name="naeil"/> 결국 블리자드는 2010년 10월 28일 [[서울지방법원]]에 MBC플러스미디어(MBC GAME)에 대한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했다. 이후 다음해에 블리자드가 소송을 취하하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저작권 논란은 일단락되었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11011459171&code=930507 스타크래프트 저작권, 소송으로 비화] [[경향신문]], 2010년 11월 1일</ref> 이어 11월 3일에는 온미디어(현CJ E&M)(온게임넷)를 대상으로 저작권 침해에 관한 소송을 제기했다.<ref>[http://www.dipts.com/news/index.html?mode=view&cate1_id=11&cate2_id=103&number=25614 곰TV·블리자드, 온게임넷 상대로 소송…스타크래프트 저작권침해 등] DIP통신, 2010년 11월 4일</ref>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