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메이 (토론 | 기여)
{{위키공용분류-줄}} 틀을 추가.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띄어쓰기 수정; 예쁘게 바꿈
70번째 줄:
[[1994년 3월]], '[[보스키 드 포르투갈]]([[:en:Bosque de Portugal|Bosque de Portugal]]{{해석|포르투갈의 숲}})이 브라질 도시 [[쿠리치바]]에서 만들어졌다. 이 공원은 포르투갈 이민자들과 포르투갈어를 받아들인 나라들을 기념한 포르투갈어 기념비가 세워졌다. 원래 7개의 나라를 상징하는 기둥들이 있었으나, [[2007년]]에 [[동티모르]]의 독립을 의미하는 기둥이 하나 추가되었다.
 
[[파일:Estação da Luz.jpg|섬네일|left왼쪽|220px|[[:en:Museum of the Portuguese Language|포르투갈어 박물관]]이 있는 [[:en:Luz Station|루스 역]], [[상파울루]], [[브라질]].]]
[[2006년 3월]], 포르투갈어에 대해 양방향적인 박물관인 [[:en:Museum of the Portuguese Language|포르투갈어 박물관]]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도시인 브라질의 [[상파울루]]에 생겼다.
 
80번째 줄:
=== {{국기|브라질}} ===
[[파일:Portugueselanguagedialects-Brazil.png|섬네일|170px|브라질의 포르투갈어 방언]]
# ''[[:en:Caipira|카이피라 (Caipira)]]''— [[상파울루 주상파울루주]]<ref>시골지역. 상파울루 시와 그 인근인 상파울루 주 동부지역은 ''파울리스타누''라는 독자적인 방언이 있음.</ref>, [[미나스제라이스 주미나스제라이스주]] 남부 , [[파라나 주 (브라질)|파라나 주]] 북부, [[마투그로수두술 주마투그로수두술주]] 남동부
# ''세아렌시 (Cearense)''—[[세아라 주세아라주]].
# ''바이아누 (Baiano)''—[[바이아 주바이아주]].
# [[파일:Loudspeaker.svg|11px|11px]] [https://web.archive.org/web/20071030034105/http://www.instituto-camoes.pt/cvc/hlp/geografia/som90.html ''플루미넨시 (Fluminense)'']—[[리우데자네이루 주리우데자네이루주]] 지역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언<ref>리우데자네이루 시와 인근 광역지역은 ''[[카리오카]]([[:en:Carioca|Carioca]])''라는 독자적인 방언이 있음.</ref>
# ''가우슈 ({{lang|pt|Gaúcho}})''—[[히우그란지두술 주히우그란지두술주]]. (주 전역에 걸쳐 다양한 유럽출신 이민자들의 영향으로 여러 구별되는 억양이 존재함.)
# ''[[:en:Mineiro|미네이루]] (Mineiro)''—[[미나스제라이스 주미나스제라이스주]]<ref>주 남부, 남동부 그리고 서부의 [[트리앙굴루 미네이루]]([[:en:Triângulo Mineiro|Triângulo Mineiro]])에서는 일반적이지 않음. [[벨루 오리존치]] 시에서는 독자적인 방언이 있음.</ref>{{출처|날짜=2010-11-29}}
# [[파일:Loudspeaker.svg|11px]] [https://web.archive.org/web/20071015043909/http://www.instituto-camoes.pt/cvc/hlp/geografia/som91.html ''노르데스치누 (Nordestino)'']—브라질의 북동부 지역 ([[페르남부쿠 주페르남부쿠주]], [[파라이바 주파라이바주]], [[히우그란지두노르치 주히우그란지두노르치주]]에서 각각의 억양이 차이가 존재함).<ref><!--group="Note"-->the speaker of this sound file is from Rio, and he is talking about his experience with Nordestino and Nortista accents.</ref>
# ''노르치스타 (Nortista)''—[[아마존 우림|아마존 분지]] 지역의 주들.
# ''파울리스타누 (Paulistano)''—[[상파울루 시]]와 상파울루 주 동부 일부 지역.[[파일:Falantes no mundo.jpg|섬네일|200px|포르투갈어 화자의 국가별 비중]]
# ''세르타네주 (Sertanejo)''—[[고이아스 주고이아스주]]와 [[마투그로수 주마투그로수주]].
# ''술리스타 (Sulista)''—[[히우그란지두술 주히우그란지두술주]] 북부와 상파울루 주 남부 사이의 지역.<ref>[[쿠리치바]] 시와 [[플로리아노폴리스]] 시에는 상당히 다른 억양의 차이가 존재함.</ref>
# ''[[:en:Carioca|카리오카]] (Carioca)''— 리우데자네이루 시와 니테로이 시 인근.
# ''브라질리엔시 (Brasiliense)''—[[브라질리아]] 시. 도시 건설로 몰려든 이주자들의 영향을 받음.
132번째 줄:
 
== 역사 ==
[[파일:CoimbraUniLibrary-CCSA.jpg|섬네일|right오른쪽|300px|[[코임브라 대학교]]의 조아니나 도서관]]
 
[[이베리아 반도]]에 [[기원전 216년]]에 도착하며, 로마인들은 모든 로망스 언어의 기원이 되는 [[라틴어]]를 함께 가져왔다. 이 언어는 이전 문명의 정착지 인근에 로마식 도시를 건설한 로마 군인과 정착민, 상인들과 함께 퍼져나갔다.
163번째 줄:
 
=== 특징화 ===
[[파일:Linguistic map Southwestern Europe.gif|thumbnail섬네일|360px|right오른쪽|1000년과 2000년 사이 포르투갈어([[갈리시아포르투갈어]])의 역사적 후퇴와 확장을 이웃 언어와의 맥락에서 보여주는 지도]]
 
포르투갈어는, 카탈루냐어와 사르데냐어와 함께, 대부분의 다른 로망스어에서 이중모음화 된 [[민중 라틴어]]의 강세가 있는 모음이 보존되어있는 언어이다. 예를 들어 {{llang|pt|{{llang|ca|{{llang|sc|''pedra''}}}}}}, {{llang|fr|''pierre''}}, {{llang|es|''piedra''}}, {{llang|it|''pietra''}}, {{llang|ro|''piatră''}}는 {{llang|la|''petra''}}{{해석|"돌"}}에서 유래했고, {{llang|pt|''fogo''}}, {{llang|ca|''foc''}}, {{llang|sc|''fogu''}}, {{llang|es|''fuego''}}, {{llang|it|''fuoco''}}, {{llang|fr|''feu''}}, {{llang|ro|''foc''}}는 {{llang|la|''focus''}}{{해석|"난로"}}에서 유래하였다. 또한 초기 포르투갈어의 또다른 특징은 모음 사이에 있는 자음 ''l''과 ''n''이 이따금씩 둘러싼 모음끼리 합쳐지거나 다른 모음이 삽입되면서 사라지기도 한다. 예를 들면 {{llang|la|''salire''{{해석|"떠나다"}}, ''tenere''{{해석|"가지다"}}, ''catena''{{해석|"사슬"}}}}이 스페인어에서 ''salir'', ''tener'', ''cadena''로 변형된 반면 포르투갈어에선 ''sair'', ''ter'', ''cadeia''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170번째 줄:
 
== 어휘 ==
[[파일:Mafra1-IPPAR.jpg|섬네일|right오른쪽|300px|포르투갈의 [[:en:Mafra National Palace|마프라 국립 궁전]] 도서관]]
대부분의 포르투갈어 어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그럼에도 중세시대 [[무어인]]들의 [[이베리아 반도]] 지배와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의 참여로 인해, 전 세계로부터 유래한 단어를 받아들였다.
 
227번째 줄:
 
=== 모음 ===
[[파일:European Portuguese vowel chart.png|frame프레임|right오른쪽|리스본 지역 포르투갈어의 단모음 표]]
 
유럽식 포르투갈어는 [[민중 라틴어]]의 7개의 모음에 2개의 근[[중설 중모음]]이 더해졌고, 이 중 하나는 [[프랑스어]]에서 {{IPA|/ɯ̽/}}, {{IPA|/ɨ/}}, {{IPA|/ə/}}등으로 묘사되는 [[묵음]]과 마찬가지로 빠르게 말할 때 묵음화되는 경향이 있다. 고모음 {{IPA|/e o/}}과 저모음 {{IPA|/ɛ ɔ/}}는 4개의 뚜렷한 음소이며, 다양한 형태의 [[:en:apophony|모음 변화]]로 대체되기도 한다. [[카탈루냐어]]와 마찬가지로, 포르투갈어도 비강세음절로부터 강세음절을 뚜렷하게 하기 위해 모음의 발화를 이용한다. 고립된 모음들은 고모음화 되는 경향을 보이며, 강세가 주어지지 않았을 때는 중모음화 되는 경우가 있다. 이중비음은 대개 단어의 끝에서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