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왕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수정
6 개의 출처 구조, 2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10)
8번째 줄:
해왕성의 구성 성분은 [[천왕성]]과 비슷하며, [[목성]]이나 [[토성]] 같은 [[거대 가스 행성]]들과는 구분되는 성분상의 차이가 존재한다. 목성과 토성은 대기에 [[수소]]와 [[헬륨]]을 대량 포함하지만 해왕성의 대기는 극미량의 [[탄화수소]]와 [[질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물]], [[암모니아]], [[메테인]] 등이 얼어붙은 얼음질이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천문학자들은 이런 차이점을 강조하기 위해 천왕성과 해왕성을 [[거대 얼음 행성]]으로 따로 분류하기도 한다.<ref name=atmo>{{웹 인용 | 제목=The Atmospheres of Uranus and Neptune | 성=Lunine | 이름=Jonathan I. | 출판사=Lunar and Planetary Observatory, University of Arizona | 날짜=1993 | 형식=PDF | url=http://articles.adsabs.harvard.edu/cgi-bin/nph-iarticle_query?1993ARA%26A..31..217L&data_type=PDF_HIGH&whole_paper=YES&type=PRINTER&filetype=.pdf | 확인날짜=2008-03-10}}</ref> 해왕성의 내부 구조는 천왕성과 마찬가지로 얼음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ref name=Podolak1995>{{저널 인용 | 성=Podolak | 이름=M. | 저자2=Weizman, A. | 저자3=Marley, M. | 제목=Comparative models of Uranus and Neptune | 저널=Planetary and Space Science | volume=43 | issue=12 | 쪽=1517–1522 | 날짜=1995 | url=http://adsabs.harvard.edu/abs/1995P%26SS...43.1517P | doi=10.1016/0032-0633(95)00061-5}}</ref> 행성의 가장 바깥층에는 메테인이 미량 존재하여 행성이 밝고 맑은 [[파랑|푸른색]] 색깔을 띤다.<ref name=bluecolour>{{웹 인용 | 이름=Kirk | 성=Munsell | 저자2=Smith, Harman | 저자3=Harvey, Samantha | 날짜=November 13, 2007 | url=http://solarsystem.nasa.gov/planets/profile.cfm?Object=Neptune&Display=OverviewLong | 제목=Neptune overview | 웹사이트=Solar System Exploration | 출판사=NASA | 확인날짜=2008-02-20 }}</ref>
 
표면상에 아무 특징도 없는 천왕성과 달리 해왕성의 대기에서는 역동적이며 관측 가능한 기상 현상이 측정되고 있다. 1989년, 보이저 2호의 해왕성 [[행성 접근 통과|접근 통과]] 때 해왕성의 남반구에서 목성의 [[대적점]]에 필적하는 [[대암반]]이 발견된 것이 그 예들 중 하나이다. 이런 기상 현상들은 시속 2100 킬로미터 속도의, 태양계에서 가장 강력한 바람으로 유지된다.<ref name="Suomi1991">{{저널 인용 | 성=Suomi | 이름=V. E. | 저자2=Limaye, S. S. | 저자3=Johnson, D. R. | 날짜=1991 | 제목=High Winds of Neptune: A possible mechanism | 저널=[[사이언스|Science]] | volume=251 | issue=4996 | 쪽=929–932 | 출판사=AAAS (USA) | doi=10.1126/science.251.4996.929 | pmid=17847386 }}</ref> 태양에서 엄청나게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해왕성의 바깥쪽 대기는 태양계에서 가장 추운 장소들 중 하나이며, 구름층의 꼭대기는 거의 −218 [[섭씨|℃]](55 [[켈빈|K]])에 달한다. 반면 행성 중심부의 온도는 대략 5000 ℃(5400 K)이다.<ref name=hubbard>{{저널 인용 | 성=Hubbard | 이름=W. B. | 제목=Neptune's Deep Chemistry | 저널=Science | 날짜=1997 | volume=275 | issue=5304 | 쪽=1279–1280 | url=http://www.sciencemag.org/cgi/content/full/275/5304/1279 | 확인날짜=2008-02-19 | doi=10.1126/science.275.5304.1279 | pmid=9064785 }}</ref><ref name="nettelmann">{{웹 인용 | 성=Nettelmann | 이름=N. | 저자2=French, M. | 저자3=Holst, B. | 저자4=Redmer, R. | url=https://www-new.gsi.de/informationen/wti/library/plasma2006/PAPERS/TT-11.pdf{{깨진 링크}} | 형식=PDF | 제목=Interior Models of Jupiter, Saturn and Neptune | 출판사=University of Rostock | 확인날짜=2008-02-25 }}{{깨진 링크|url=https://www-new.gsi.de/informationen/wti/library/plasma2006/PAPERS/TT-11.pdf%7B%7B%EA%B9%A8%EC%A7%84 }}</ref> 해왕성에는 파편으로 이루어진 희미한 [[행성의 고리|고리 구조]]가 있는데, 1960년대에 이에 대한 존재에 대해 논란이 있다가 1989년에 보이저 2호의 탐사를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다.<ref name=ring1>{{뉴스 인용 | 성=Wilford | 이름=John N. | 날짜=1982년 6월 10일 | 제목=Data Shows 2 Rings Circling Neptune | 출판사=The New York Times | url=http://query.nytimes.com/gst/fullpage.html?sec=technology&res=950DE3D71F38F933A25755C0A964948260&n=Top/News/Science/Topics/Space | 확인날짜=2008-02-29 }}</ref>
}}</ref> 해왕성에는 파편으로 이루어진 희미한 [[행성의 고리|고리 구조]]가 있는데, 1960년대에 이에 대한 존재에 대해 논란이 있다가 1989년에 보이저 2호의 탐사를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다.<ref name=ring1>{{뉴스 인용 | 성=Wilford | 이름=John N. | 날짜=1982년 6월 10일 | 제목=Data Shows 2 Rings Circling Neptune | 출판사=The New York Times | url=http://query.nytimes.com/gst/fullpage.html?sec=technology&res=950DE3D71F38F933A25755C0A964948260&n=Top/News/Science/Topics/Space | 확인날짜=2008-02-29 }}</ref>
 
== 해왕성 연구의 역사 ==
줄 23 ⟶ 22:
그 사이 르베리에는 서한으로 [[베를린 천문대]]의 천문학자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를 재촉했다. 당시 베를린 천문대 연구생이었던 [[하인리히 루이스 다레스트|하인리히 다레스트]]는 르베리에가 예측한 지점 근처를 그린 최근의 성도와 현재 하늘을 비교해서 붙박이별과 구별되는 [[행성]]의 시운동적 특징을 찾을 수 있다고 갈레에게 건의했다. 르베리에의 편지가 도착한 1846년 9월 23일 바로 그날 저녁, 해왕성은 르베리에가 예측한 지점에서 1° 어긋난 지점, 애덤스가 예측한 지점에서 12° 어긋난 지점에서 발견되었다. 이후 챌리스는 자기가 8월에 행성을 두 번이나 봤지만 무심결에 지나쳐 버렸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달았지만 자기 발견을 증명하는 데 실패했다.<ref name=MNRAS7/><ref>{{저널 인용 | 이름=J. G. | 성=Galle | url=http://adsabs.harvard.edu/cgi-bin/nph-bib_query?bibcode=1846MNRAS...7..153G&db_key=AST&data_type=HTML&format=&high=42c888df4622238 |제목=Account of the discovery of the planet of Le Verrier at Berlin | 저널=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 volume=7 | 쪽=153 | 날짜=1846-11-13 | 확인날짜=2008-02-18 | 출판사=Blackwell Publishing }}</ref>
 
행성이 발견되자, 누가 먼저 발견했느냐, 누구에게 공로를 돌리느냐를 두고 프랑스와 영국 사이에 민족주의적 경쟁이 일어났다. 결국 르베리에와 애덤스 둘 다에게 공로가 있다는 국제적 총의가 형성되었다. 하지만 1998년에 미국의 천문학자 [[올린 에겐]]이 훔쳐 칠레로 도망갔던<ref group="주">에겐 자신은 살아생전 이 사실을 강력히 부인했으나, 에겐의 사후 그가 해왕성 문서 외에도 그리니치 천문대의 여러가지 자료들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밝혀졌다.</ref>, 〈해왕성 문서〉("Neptune papers"; [[그리니치 천문대|왕립 그리니치 천문대]]의 역사적 문서)가 재발견되면서 역사가들이 이 문제를 다시 다루게 된다.<ref name="Neptdisc">{{웹 인용 | url=http://web.archive.org/web/20051116012726/http://www.ucl.ac.uk/sts/nk/neptune/ {{깨진 링크}} | 제목=Neptune's Discovery. The British Case for Co-Prediction. | 확인날짜=2007-03-19 | 이름=Nick | 성=Kollerstrom | 날짜=2001 | 출판사=University College London | archiveurl=httphttps://web.archive.org/web/20051111190351/http://www.ucl.ac.uk/sts/nk/neptune/# | archivedate=2005-11-11 | 깨진링크=아니오 }}</ref><ref>{{웹 인용|url=http://radar.ndsl.kr/tre_View.do?cn=GTB2004120855|제목=해왕성 발견을 둘러싼 영불 과학자들의 경쟁|날짜=2004-12-13|웹사이트=글로벌 동향 브리핑|출판사=NDSL 동향분석|확인날짜=2010-05-06}}</ref> 문서를 검토한 뒤, 일부 역사가들은 애덤스는 르베리에와 동등하게 대접받을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데니스 롤린스]]는 1966년부터 애덤스가 공동발견의 권리를 주장할 자격이 있는지에 대해 질문을 던져 왔다. 1992년, 저널 《디오》(''Dio'')에서 롤린스는 영국이 공로를 "훔쳐갔다"고 간주했다.<ref>{{웹 인용||제목=The Neptune Conspiracy: British Astronomy's PostDiscovery Discovery|저자=Rawlins, Dennis|날짜=1992|웹사이트=Dio|url=http://www.dioi.org/vols/w23.pdf|확인날짜=2008-03-10|형식=PDF}}</ref> “애덤스가 계산을 좀 하긴 했지만, 그는 해왕성이 정확히 어디 있는지의 문제에는 확신이 없었다.”<ref group="주">원문: "Adams had done some calculations but he was rather unsure about quite where he was saying Neptune was"</ref> 〈행성 도난 사건: 영국인들이 해왕성을 훔쳤다!〉논문을 쓴<ref>{{웹 인용|url=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11467029|제목=네이버 전문정보|출판사=[[네이버]]|확인날짜=2010-05-06}}</ref>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니콜라스 콜러스트롬]]의 말이다.<ref>{{뉴스 인용|제목=Lost letters' Neptune revelations|저자=McGourty, Christine |뉴스=BBC News|url=http://news.bbc.co.uk/1/hi/sci/tech/2936663.stm|확인날짜=2008-03-10 | 날짜=2003-04-10}}</ref><ref>Summations following the Neptune documents' 1998 recovery appeared in [http://www.dioi.org/vols/w91.pdf ''DIO 9.1''] (1999) and William Sheehan, Nicholas Kollerstrom, Craig B. Waff (December 2004), [http://www.sciam.com/article.cfm?articleID=000CA850-8EA4-119B-8EA483414B7FFE9F The Case of the Pilfered Planet - Did the British steal Neptune?] ''Scientific American''.</ref>
 
=== 명명 ===
줄 33 ⟶ 32:
 
=== 현재 ===
1840년대에 발견되고부터 1930년대까지 해왕성은 태양계 최외곽 행성이었다. 1930년에 [[명왕성]]이 발견됨으로써 해왕성은, 1979년부터 1999년까지 명왕성이 해왕성 궤도 안으로 들어오는 20년 주기를 제외하고, 뒤에서 두 번째 행성이 되었다.<ref>{{웹 인용||제목=Jan. 21, 1979: Neptune Moves Outside Pluto's Wacky Orbit|웹사이트=wired.com|url=http://www.wired.com/science/discoveries/news/2008/01/dayintech_0121|저자=Tony Long|날짜=2008|확인날짜=2008-03-13|보존url=https://archive.is/EaiZ|보존날짜=2012-12-05}}</ref> 그러나, 1992년에 [[카이퍼 대]]가 발견되자 많은 천문학자들은 명왕성이 행성인지 카이퍼 대의 좀 큰 천체에 불과한지에 대해 논쟁을 벌이기 시작했다.<ref>{{웹 인용 | 저자=Weissman, Paul R. | 제목=The Kuiper Belt| 웹사이트=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url=http://adsabs.harvard.edu/abs/1995ARA&A..33..327W| 확인날짜=2006-10-04}}</ref><ref>{{웹 인용 | 날짜=1999 | 제목=The Status of Pluto:A clarification | 웹사이트=[[국제천문연맹|IAU]], Press release | url=http://www.iau.org/STATUS_OF_PLUTO.238.0.html | 확인날짜=2006-05-25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1214043704/http://www.iau.org/STATUS_OF_PLUTO.238.0.html# | 보존날짜=2007-12-14 | 깨진링크=예 }}</ref> 2006년, [[국제천문연맹]]은 마침내 [[행성의 정의|"행성"이라는 말의 의미]]를 최초로 정의했으며, 명왕성은 "[[왜행성]]"으로 재분류되었다. 고로 해왕성은 다시 태양계 최외곽 행성이 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iau.org/static/resolutions/Resolution_GA26-5-6.pdf|제목=IAU 2006 General Assembly: Resolutions 5 and 6|날짜=2006-08-24|출판사=IAU|format=PDF}}</ref>
 
== 조성물 및 내부 구조 ==
줄 82 ⟶ 81:
해왕성에는 [[행성의 고리|행성 고리]] 구조가 있는데, [[토성의 고리]]보다는 훨씬 미약하다. 고리의 구성 성분은 규산염이나 탄화물이 낀 얼음 조각으로 보이며, 이 때문에 고리가 붉은 빛을 띠는 것 같다.<ref>Cruikshank (1996):703–804</ref> 해왕성 중심부에서 63000&nbsp;km 위에 있는 좁은 애덤스 고리, 53000&nbsp;km 위에 있는 르베리에 고리, 그리고 42000&nbsp;km 위에 있는 넓고 희미한 갈레 고리가 주 고리다. 르베리에 고리 바깥쪽으로 퍼져 있는 희미한 영역은 러셀 고리라고 하며, 중심부에서 57000&nbsp;km 위에 있는 아라고 고리가 러셀 고리의 바깥쪽 한계이다.<ref>{{웹 인용 | 성=Blue | 이름=Jennifer | 날짜=2004-12-08 | url=http://planetarynames.wr.usgs.gov/append8.html | 제목=Nomenclature Ring and Ring Gap Nomenclature | 웹사이트=Gazetteer of Planetary | 출판사=USGS | 확인날짜=2008-02-28 }}</ref>
 
이 고리 구조는 1968년에 [[에드워드 기넌]] 팀이 최초로 발견했으나,<ref name=autogenerated3>{{뉴스 인용 | 성=Wilford | 이름=John N. | 날짜=1982-06-10 | 제목=Data Shows 2 Rings Circling Neptune | 출판사=The New York Times | url=http://query.nytimes.com/gst/fullpage.html?sec=technology&res=950DE3D71F38F933A25755C0A964948260&n=Top/News/Science/Topics/Space | 확인날짜=2008-02-29 }}</ref><ref>{{저널 인용 | 성=Guinan | 이름=E. F. | 저자2=Harris, C. C. |저자3=Maloney, F. P. | 제목=Evidence for a Ring System of Neptune | 저널=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 날짜=1982 | volume=14 | 쪽=658 | url=http://adsabs.harvard.edu/abs/1982BAAS...14..658G | 확인날짜=2008-02-28}}</ref> 이후 고리가 불완전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ref>{{저널 인용|제목=Towards a theory for Neptune's arc rings | 성=Goldreich | 이름=P. | 저자2=Tremaine, S. |저자3=Borderies, N. E. F. | 젬족=Towards a theory for Neptune's arc rings | 저널=Astronomical Journal | 날짜=1986 | volume=92 | 쪽=490쪽 ~ 494쪽 | url=http://articles.adsabs.harvard.edu/abs/1986AJ.....92..490G | 확인날짜=2008-02-28 | doi=10.1086/114178}}</ref> 1984년 [[엄폐|항성 엄폐]] 당시 해왕성이 항성을 가리자 별빛이 깜박거리는 현상이 목격되었고,<ref name="naver">{{웹 인용|url=http://navercast.naver.com/science/image/1919|제목=해왕성계|저자=김충섭|날짜=2010-01-23|웹사이트=[[네이버캐스트]]|확인날짜=2010-05-05}}</ref> 이것은 고리에 간극이 있다는 증거로 떠올랐다.<ref name="Nicholson90">{{저널 인용 | 저자=Nicholson, P. D. |저자표시=et al. | 제목=Five Stellar Occultations by Neptune: Further Observations of Ring Arcs | 저널= Icarus | 날짜= 1990 | volume= 87 | 쪽=1쪽 | url= http://adsabs.harvard.edu/cgi-bin/nph-bib_query?bibcode=1990Icar...87....1N&db_key=AST&data_type=HTML&format=&high=444b66a47d28395 | 확인날짜= 2007-12-16 | doi=10.1016/0019-1035(90)90020-A}}</ref> 1989년에 보이저 2호가 촬영한 사진은 수 개의 희미한 고리 구조를 보여 줌으로써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해왕성의 고리들은 매우 비정상적인 구조를 하고 있는데,<ref name="Planetary Society">{{웹 인용 | 1= | url=http://www.planetary.org/explore/topics/our_solar_system/neptune/missions.html | 제목=Missions to Neptune | 날짜=2007 | 출판사=The Planetary Society | 확인날짜=2007-10-11 | 보존url=httphttps://web.archive.org/web/20060208140155/http://www.planetary.org/explore/topics/our_solar_system/neptune/missions.html# | 보존날짜=2006-02-08 | 깨진링크=아니오 }}</ref> 그 이유는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고리 주위에 있는 작은 위성들의 중력적 상호 작용 때문으로 추측된다.<ref>{{뉴스 인용 | 성=Wilford | 이름=John Noble | 날짜=1989-12-15 | 제목=Scientists Puzzled by Unusual Neptune Rings | 출판사=Hubble News Desk | url=http://query.nytimes.com/gst/fullpage.html?res=950DE7DA1030F936A25751C1A96F948260 | 확인날짜=2008-02-29 }}</ref>
 
가장 바깥쪽에 있는 애덤스 고리에는 다섯 개의 뚜렷한 원호 구조가 보이는데, 각각 ‘커리지’(''Courage''; 용기), ‘리베흐테’(''Liberté''; 자유), ‘에갈리테 1·2’(''Egalité''; 평등), ‘프라테르니테’(''Fraternité''; 박애)라고 이름붙여졌다.<ref>{{서적 인용 | 이름=Arthur N. | 성=Cox | 날짜=2001 | 제목=Allen's Astrophysical Quantities | 출판사=Springer | isbn=0387987460 }}</ref> 이 원호 구조들의 존재는 설명하기 어렵다. 운동 법칙에 따르면 원호들은 매우 짧은 시간 안에 고르게 고리로 퍼져나갈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현재 천문학자들은 고리 바로 안쪽에 위치한 위성 [[갈라테아 (위성)|갈라테아]]의 중력적 효과에 의해 입자들이 현재의 위치에 가두어져 원호 구조가 생겼다고 생각하고 있다.<ref>{{웹 인용 | 성=Munsell | 이름=Kirk | 날짜=2007-11-13 | 저자2=Smith, Harman | 저자3=Harvey, Samantha | url=http://solarsystem.nasa.gov/planets/profile.cfm?Object=Neptune&Display=Rings |제목=Planets: Neptune: Rings | 웹사이트=Solar System Exploration | 출판사=NASA | 확인날짜=2008-02-29}}</ref><ref>{{저널 인용 | 성=Salo | 이름=Heikki | 저자2=Hänninen, Jyrki | 제목=Neptune's Partial Rings: Action of Galatea on Self-Gravitating Arc Particles | 저널=Science | 날짜=1998 | volume=282 | issue=5391 | 쪽=1102쪽 ~ 1104쪽 | url=http://www.scienceonline.org/cgi/content/full/282/5391/1102 | 확인날짜=2008-02-29 | doi=10.1126/science.282.5391.1102 | pmid=9804544 }}</ref>
줄 142 ⟶ 141:
 
=== 내부열 ===
천왕성과 비교했을 때, 해왕성이 보다 활동적인 기상 현상을 나타내는 것은 해왕성의 [[내부열]]이 더 높은 것에 일부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ref name=heat>{{웹 인용|제목=Heat Sources within the Giant Planets|저자=Williams, Sam|웹사이트=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year=2004|url=http://web.archive.org/web/20050430073843/http://www.cs.berkeley.edu/~samw/projects/ay249/z_heat_sources/Paper.doc|확인날짜=2008-03-10}}</ref> 해왕성과 태양 사이의 거리는 천왕성과 태양 사이의 거리보다 50% 더 멀고, 해왕성은 천왕성이 받는 태양광의 40%밖에 받지 못하지만,<ref name=atmo /> 두 행성의 표면 온도는 대략 같다.<ref name=heat /> 해왕성의 대류권의 상층부는 −221.4 [[섭씨|℃]] (51.7 [[켈빈|K]])의 저온이고, [[기압]]이 1 [[바 (단위)|bar]] (100 [[파스칼 (단위)|kPa]]) 정도 되는 깊이에서는 온도가 −201.15 ℃ (72.0 K)이다.<ref>{{저널 인용 | 성=Lindal | 이름=Gunnar F. | 제목=The atmosphere of Neptune - an analysis of radio occultation data acquired with Voyager 2 | 저널=Astronomical Journal | 날짜=1992 | volume=103 | 쪽=967–982 | url=http://adsabs.harvard.edu/abs/1992AJ....103..967L |확인날짜=2008-02-25 | doi=10.1086/116119 }}</ref> 하지만 가스층 깊이 들어갈수록 온도는 일정하게 증가한다. 천왕성과 마찬가지로 이 열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해왕성의 것이 더 크다. 천왕성이 태양에서 받는 에너지의 1.1배만 방출하는데 비해,<ref>{{웹 인용| |제목=Class 12 - Giant Planets - Heat and Formation | 웹사이트=3750 - Planets, Moons & Rings | 날짜=2004 | 출판사=Colorado University, Boulder | url=http://lasp.colorado.edu/~bagenal/3750/ClassNotes/Class12/Class12.html | 확인날짜=2008-03-13}}</ref> 해왕성은 태양에게서 받는 에너지의 2.61배를 방출한다.<ref>{{저널 인용 | 성=Pearl | 이름=J. C. | 저자2=Conrath, B. J. | 제목=The albedo, effective temperature, and energy balance of Neptune, as determined from Voyager data | 저널=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upplement | 날짜=1991 | volume=96 | 쪽=18,921–18,930 | url=http://adsabs.harvard.edu/abs/1991JGR....9618921P | 확인날짜=2008-02-20 }}</ref> 해왕성은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행성이지만 태양계에서 가장 강력한 바람을 유지할 수 있는 내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여러가지 합리적인 해석들이 제안되었는데, 그 중에는 행성의 핵에서 일어나는 [[방사능|방사능 붕괴]]로 인한 붕괴열이라는 설부터,<ref name=williams>Williams, Sam (November 24, 2004) ([[DOC (컴퓨팅)|DOC]]). [httphttps://web.archive.org/web/20050430073843/http://www.cs.berkeley.edu/~samw/projects/ay249/z_heat_sources/Paper.doc ''Heat Sources Within the Giant Planets'']. UC Berkeley. Retrieved 2008-02-20.</ref> 고압에서 메테인이 [[수소]], [[다이아몬드]], [[탄화수소]]로 전환되고 수소와 다이아몬드가 각각 떠오르고 가라앉으며 [[중력 위치 에너지]]를 내놓는다는 설,<ref name=williams/><ref>{{저널 인용 | 성=Scandolo | 이름=Sandro | 저자2=Jeanloz, Raymond | 제목=The Centers of Planets | 저널=American Scientist | 날짜=2003 | volume=91 | issue=6 | 쪽=516 | doi=10.1511/2003.6.516 }}</ref> 하층 대기에서 일어난 [[대류]]가 [[중력파]]를 만들어 대류권 계면을 교란하기 때문이라는 설<ref>{{저널 인용 | 성=McHugh | 이름=J. P. | 날짜=1999-09 | 제목=Computation of Gravity Waves near the Tropopause | ㄷ저널=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DPS meeting #31, #53.07 | url=http://adsabs.harvard.edu/abs/1999DPS....31.5307M | 확인날짜=2008-02-19 }}</ref><ref>{{저널 인용 | 성=McHugh | 이름=J. P. | 저자2=Friedson, A. J. | 날짜=1996-09 | 쪽=1078 | 제목=Neptune's Energy Crisis: Gravity Wave Heating of the Stratosphere of Neptune | 저널=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 url=http://adsabs.harvard.edu/full/1996DPS....28.0507L | 확인날짜=2008-02-19 }}</ref> 등이 있다.
 
== 공전과 자전 ==
줄 151 ⟶ 150:
| 날짜 =November 13, 2007
| 출판사 = NASA | = 2007-08-14}}</ref><ref name=Horizons2011>{{웹 인용
| 저자=Anonymous | 날짜=2007년 2월 9일 = Anonymous
|날짜 = 2007년 2월 9일
| url = http://home.comcast.net/~kpheider/nept2011.txt
| 제목 = Horizons Output for Neptune 2010–2011
|=2008-02-25 |보존url=http://web.archive.org/20081210085807/home.comcast.net/~kpheider/nept2011.txt|보존날짜=2008-12-10}}</ref> 그러나 이 때의 지구 [[하늘]]에서 해왕성 위치는 1846년의 그 자리는 아닌데, 그 이유는 당시의 지구 위치와 2011년 7월 12일의 지구 위치는 다르기 때문이다.
| = 2008-02-25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81210085807/http://home.comcast.net/~kpheider/nept2011.txt#
|보존날짜 = 2008-12-10
|확인날짜 = 2009-07-05
|깨진링크 = 아니오
|=2008-02-25 |보존url=http://web.archive.org/20081210085807/home.comcast.net/~kpheider/nept2011.txt|보존날짜=2008-12-10}}</ref> 그러나 이 때의 지구 [[하늘]]에서 해왕성 위치는 1846년의 그 자리는 아닌데, 그 이유는 당시의 지구 위치와 2011년 7월 12일의 지구 위치는 다르기 때문이다.
 
해왕성의 궤도경사각은 지구에 대해 1.77도 기울어져 있다. 해왕성의 궤도 이심률은 0.011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울 때와 멀어질 때의 거리 차이는 1억 1백만 킬로미터로 거의 원에 가깝다.<ref name=horizons>{{웹 인용
줄 189 ⟶ 194:
{{본문|카이퍼 대}}
[[파일:TheKuiperBelt classes-en.svg|섬네일|250px|해왕성이 카이퍼 대에 일으키는 궤도 공명을 나타낸 도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2:3 [[명왕성족]], 색칠된 부분 [[큐비원족]], 1:2 [[공명 해왕성 바깥 천체]].]]
해왕성 궤도 너머 [[카이퍼 대]]는 해왕성에 의해 심한 충격을 받는다. 카이퍼 대는 작은 얼음 천체들로 이루어진 원반형의 영역으로, [[소행성대]]와 비슷하지만 태양으로부터 거리 30AU ~ 55AU에 걸쳐 있는, 훨씬 멀고 넓은 영역이다.<ref>{{웹 인용| | 제목=Collisional Erosion in the Primordial Edgeworth-Kuiper Belt and the Generation of the 30–50 AU Kuiper Gap | 이름=S. Alan | 성=Stern | 출판사=Geophysical, Astrophysical, and Planetary Sciences, Space Science Department,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 url=http://www.journals.uchicago.edu/doi/full/10.1086/304912 | 날짜=1997 | 확인날짜=2007-06-01}}</ref> [[목성]]의 중력이 소행성대를 지배하면서 그 구조를 형성하는 것과 같이 해왕성의 중력은 카이퍼 대를 지배한다. 태양계의 나이만큼 오랜 시간 동안 카이퍼 대의 특정 지역들이 해왕성의 중력 때문에 불안정해졌고, 카이퍼 대 구조 안에 틈을 만들어냈다. 40AU ~ 42AU 거리 영역이 그 예이다.<ref>{{웹 인용 | 1= | 제목=Large Scattered Planetesimals and the Excitation of the Small Body Belts | 이름=Jean-Marc | 성=Petit | 저자2=Morbidelli, Alessandro | 저자3=Valsecchi, Giovanni B. | url=http://www.oca.eu/morby/papers/6166a.pdf | 날짜=1998 | 확인날짜=2007-06-23 | 형식=PDF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1201013047/http://www.oca.eu/morby/papers/6166a.pdf# | 보존날짜=2007-12-01 | 깨진링크=예 }}</ref>
 
그런데 이 빈 공간에 궤도가 존재하는 천체들은 태양계의 나이만큼 오랜 시간동안 살아남을 수 있다. 해왕성의 공전 주기와 그 천체의 공전 주기가 1:2나 3:4와 같은 특정한 [[비 (수학)|비]]를 이루면 [[궤도 공명]]이 일어나는 것이다. 즉, 해왕성이 태양을 두 바퀴 공전할 때 문제의 천체가 태양을 한 바퀴 공전한다면, 해왕성이 원래의 자리로 돌아올 때까지 천체는 자기 궤도의 절반만 지나가게 된다. 이런 천체들이 200개 이상 발견된 [[카이퍼 대]]는 가장 많은 공명 천체들이 발견된 곳이며,<ref>{{웹 인용|제목=List Of Transneptunian Objects|출판사=Minor Planet Center|url=http://www.minorplanetcenter.org/iau/lists/TNOs.html|확인날짜=2010-10-25}}</ref> 이곳의 공명 천체들은 2:3으로 공명, 즉 해왕성이 3번 공전할 동안 2번 공전하며, [[명왕성족]]도 이에 포함된다.<ref>{{웹 인용| | 성 = Jewitt | 이름 = David | 날짜 = 2004 | url =http://www2.ess.ucla.edu/~jewitt/kb/plutino.html | 제목 =The Plutinos|출판사=UCLA |확인날짜 =2008-02-28}}</ref> 때문에 [[명왕성]]이 해왕성의 궤도를 주기적으로 가로지르지만, 둘이 충돌하는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ref>{{저널 인용 | 성 =Varadi| 이름 =F. |제목 =Periodic Orbits in the 3:2 Orbital Resonance and Their Stability|저널=The Astronomical Journal|날짜=1999|volume=118|쪽=2526–2531|url=http://adsabs.harvard.edu/abs/1999AJ....118.2526V|확인날짜=2008-02-28|doi=10.1086/301088}}</ref> 한편, 3:4, 3:5, 4:7, 2:5 공명 천체는 다소 수가 적은 편이다.<ref>{{서적 인용|제목=Beyond Pluto: Exploring the outer limits of the solar system |저자=John Davies|출판사=Cambridge University Press|날짜=2001|쪽=104}}</ref>
줄 200 ⟶ 205:
해왕성이나 천왕성 같은 [[거대 얼음 행성]]의 형성 과정은 정확한 모델을 만들기 어렵다. 현재 모델에서, 태양계 외곽부 위치의 태양 성운의 밀도가 너무 낮아 전통적으로 받아들여진 핵 [[강착 (천체물리학)|강착]] 이론으로는 거대 천체를 형성한 원인을 설명할 수 없다. 그리고 이들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가설들이 제시되었다. 그 중 하나로 거대 얼음 행성들은 핵 강착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며, [[원시 행성계 원반]] 내에서 불안정하게 형성된 뒤 근처의 크고 무거운 [[OB형 항성]]의 복사 에너지가 그 대기를 날려버렸다는 가설이 있다.<ref>{{웹 인용 | 제목=Formation of gas and ice giant planets | 이름=Alan P. | 성=Boss | 날짜=2002-09-30 | url=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_ob=ArticleURL&_udi=B6V61-46SVX4B-1&_user=10&_rdoc=1&_fmt=&_orig=search&_sort=d&view=c&_acct=C000050221&_version=1&_urlVersion=0&_userid=10&md5=8356c9b57117437b185f44aca5ae71d0 | 확인날짜=2008-03-05 | 웹사이트=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 출판사=ELSEVIER }}</ref>
 
또다른 가설은 거대 얼음 행성들이 태양 가까이, 밀도가 높은 곳에서 형성되었고, 가스체의 원시 행성계 원반이 사라지고 나서 현재의 궤도로 [[행성 이동 이론|이동]]했다는 것이다.<ref>{{웹 인용| | 제목=The formation of Uranus and Neptune among Jupiter and Saturn | 이름=Edward W. |성=Thommes | 저자2=Duncan, Martin J. | 저자3=Levison, Harold F. | 날짜=2001 | url=http://arxiv.org/abs/astro-ph/0111290 | 확인날짜=2008-03-05}}</ref> 현재 이 "형성 후 이동" 이론이 우위에 있는데, 그 이유는 이 이론을 따르면 해왕성 너머 지역에 있는 소천체들을 점유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쉽기 때문이다.<ref>{{웹 인용 | 제목=Orbital shuffle for early solar system | 이름=Kathryn | 성= Hansen | 출판사=Geotimes | url=http://www.geotimes.org/june05/WebExtra060705.html | 날짜=2005년 6월 7일 | 확인날짜=2007-08-26}}</ref> 현재 이 가설의 세부에 대한 설명 중에서 가장 널리 인정되고 있는 것은<ref name="Crida2009">{{저널 인용 | 성=Crida |이름=A. |날짜=2009 |제목=Solar System formation |저널=Invited review talk on Solar System formation, at the JENAM 2008 conference. Proceeding to appear in "Reviews in Modern Astronomy, 21" |url=http://adsabs.harvard.edu/abs/2009arXiv0903.3008C}}</ref><ref name="Desch07">{{저널 인용| 성=Desch|이름=S. J.|날짜=2007|제목=Mass Distribution and Planet Formation in the Solar Nebula|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volume=671|쪽=878–893|url=http://www.iop.org/EJ/abstract/0004-637X/671/1/878|doi=10.1086/522825}}{{깨진 링크|url=http://www.iop.org/EJ/abstract/0004-637X/671/1/878 }}</ref><ref name="Smith2009">{{저널 인용|성=Smith|이름=R.|저자2=L. J. Churcher|저자3=M. C. Wyatt|저자4=M. M. Moerchen|저자5=C. M. Telesco|날짜=2009|제목=Resolved debris disc emission around $\eta $ Telescopii: a young solar system or ongoing planet formation?|저널=Astronomy and Astrophysics|volume=493|쪽=299–308|doi=10.1051/0004-6361:200810706}}</ref> [[나이스 모델]]으로, 해왕성을 비롯한 거대 행성들이 이동하면서 카이퍼 대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 해왕성의 위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