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하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3 개의 출처 구조, 4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10)
21번째 줄:
}}
[[파일:Saha-gu office.JPG|섬네일|부산 사하구청]]
'''사하구'''(沙下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서부에 있는 [[구 (행정 구역)|구]]이다. 사하라는 명칭은 [[1868년]] [[조선 고종|고종]] 5년에 편찬된 《동래부사례》에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사천면’이라는 지역이 사상면과 사하면으로 분리된 것이다.<ref>[http://www.saha.go.kr/files/saha_story.pdf 사하이야기]{{깨진 링크|url=http://www.saha.go.kr/files/saha_story.pdf }}, p6. 사하의 기원을 찾아</ref>
 
== 역사 ==
{{참고|부산 서구|설명=1983년 이전의 역사는}}
 
[[조선시대]]에는 경상도 [[동래군]](東萊郡)<ref>동래현과 동래부로 불린적이 있다.</ref> 사천면(沙川面)에 속한 지역이었는데, 사천면을 '''상단'''(上端)과 '''하단'''(下端)으로 각각 구분하게 되었고, 이후 사천면 상단 지역은 동래군 [[사상구|사상면]]이 되고, 하단 지역은 '''동래군 사하면'''이 되었다.<ref>동래부지, 1740년</ref> [[1910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7호로 '''부산부 사하면'''이 되었다. [[1936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8호로 사하면 암남리를 부산부에 편입하였다. [[1942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242호로 부산부에 편입되면서 사하출장소가 설치되었다.<ref>[http://www.saha.go.kr/rbs2/modules/freeForm/view.php?rbsIdx=UR_1_304 부산광역시 사하구 연혁] {{웨이백|url=http://www.saha.go.kr/rbs2/modules/freeForm/view.php?rbsIdx=UR_1_304# |date=20130325141227 }}, 2013년 6월 7일 확인</ref>
 
* [[1951년]] [[9월 1일]] [[한국전쟁]] 당시에 부산시 서부출장소 사하지소로 개칭되었다.
38번째 줄:
 
==지리==
부산의 서남단에 자리잡고 있는 사하는 장군봉, 천마산, 아미산, 시약산을 경계로 동쪽으로는 서구와 접하고 있으며 낙동강을 경계로한 서쪽에는 [[강서구 (부산광역시)|강서구]], 구덕산 서쪽 능선과 승학산 줄기를 경계로 북쪽에는 [[사상구]], 그리고 남쪽으로 [[남해]]와 접하고 있어 서부산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지형은 대체적으로 단층지형으로 단층산지, 단층곡지, 단층해안 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낙동정맥의 줄기인 시약산에서 발원한 괴정천은 싸리골을 시작으로 괴정동을 반월형으로 감싸며 당리로 내려오다 승학산에서 내려오는 당리천과 만나 하단을 지나 낙동강으로 들어가는 하천이었으나 교통난 해소를 위한 복개도로 건설로 지금은 그 모습이 낙동강 하구쪽으로 일부만 남아 있다. 천마산 줄기인 장군반도와 낙동강변 산줄기인 두송반도 사이의 [[감천만]]은 대부분 암석 해안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지금은 [[감천항]] 종합개발사업 추진으로 매립되어 화물 전용부두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으며 동아시아 최대 국제 수산물 시장이될 부산국제 수산물 거래소가 개설될 예정이다.<ref name=geography>[http://www.saha.go.kr/rbs2/modules/freeForm/view.php?rbsIdx=UR_1_305 사하구 위치 / 자연환경] {{웨이백|url=http://www.saha.go.kr/rbs2/modules/freeForm/view.php?rbsIdx=UR_1_305# |date=20130325215056 }}, 2013년 6월 7일 확인</ref>
 
===기후===
44번째 줄:
 
== 행정 구역 ==
사하구의 행정 구역은 16개동, 433통, 2,598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41.70km 이며, [[2011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사하구의 행정 구역과 인구 등의 세부 현황은 다음과 같다.<ref>[http://www.saha.go.kr/rbs2/modules/freeForm/view.php?rbsIdx=UR_1_794 제33회 통계연보]{{깨진 링크|url=http://www.saha.go.kr/rbs2/modules/freeForm/view.php?rbsIdx=UR_1_794 }}. 사하구청. 2014년 2월 24일 확인.</ref><!--주민등록 기준으로 하면 외국인 인구가 포함되지 않고, 자료 갱신이 지나치게 빠르므로 1년에 한 번 나오는 통계연보를 기준으로 작성해 주세요.-->
[[파일:Busan-saha.png|섬네일|300px]]
{|class="wikitable sortable"
146번째 줄:
 
== 산업 ==
부산의 서남단 [[낙동강]] 하구에 자리 잡은 사하구는 [[김해공항]], [[감천항]], [[남해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와 인접한 서부산의 관문이자 신평·장림산업단지를 축으로 하는 부산 산업경제의 중심지이다. 전통적으로 물자가 집산되었던 낙동강 하구 하단을 제외하면 소외된 지역으로 [[일제시대]] 분뇨처리장이 설치되었고, [[한국전쟁]] 때에는 피난민이 판자촌을 만들어 집단 거주했던 변두리 지역이었다. 사하구가 부산 서쪽의 관문이자 산업기지로 탈바꿈하기 시작한 것은 박정희 정권기 경제개발과 함께 시작되었다. 1960년대초 감천화력발전소(현재의 [[한국남부발전]](주) 부산천연가스발전본부) 건설은 사하구의 산업기지로서의 발전을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 이어서 1970년대에는 산업기지 건설을 위한 기초 인프라 확충이 전개되었다. 서대신동과 [[괴정동]]을 있는 [[대티터널]]이 뚫리고, 괴정동에서 북구 엄궁동을 거쳐 남해고속도로와 김해공항까지 연결되는 낙동로가 확장·포장되는 한편으로 주요 간선도로인 다대로, 감천로가 확장되고 도시발전의 걸림돌이었던 분뇨처리장이 이전되면서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다. 사회 인프라가 갖춰지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이 이주해오고 공장이 들어섰다. 괴정과 하단 지역의 구획정리사업으로 많은 농경지가 주택지로 정비된 것은 사람들의 이주를 가속화시켰고, 준공업 지역으로 지정되었던 것은 공장의 설립, 이주를 보다 활성화시켰다. 사하구가 이웃 사상공업단지와 남해고속도로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의 위치로 부상했던 것도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었다. 이를 통해 사하구는 지역 변두리에서 차츰 시가지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ref>[http://www.saha.go.kr/files/saha_guji_329_378.pdf 사하구지 - 제6장 경제와 산업]{{깨진 링크|url=http://www.saha.go.kr/files/saha_guji_329_378.pdf }}, p330-331., 1. 경제개발과 함께 한 부산의 산업기지</ref>
 
=== 수산업 ===
154번째 줄:
[[파일:Dadaepo Beach 1.jpg|섬네일|300px|다대포 해수욕장]]
* [[다대포 해수욕장]]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는 지름 60m, 최대 물높이 55m, 물 분사 노즐 수 1046개, 조명 511개, 소분수 24개 등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바닥음악[[분수 (설비)|분수]]이다.<ref>{{뉴스 인용|제목= <nowiki>[사진] 부산 다대포 국내 최대 음악분수</nowiki>|url=http://life.joins.com/travel/news/article.asp?total_id=3647596 |출판사=[[중앙일보사]]|저자=송봉근 기자|날짜=2009-06-15|확인날짜=2009-06-17}}{{깨진 링크|url=http://life.joins.com/travel/news/article.asp?total_id=3647596 }}</ref>
*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부산광역시 북구, 사상구, 사하구, 강서구 일원으로 [[1966년]] [[7월 13일]]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되었다. 낙동강 유역 일대는 옛날부터 유명한 철새도래지로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그 유역은 사하구 [[다대동]]에서 [[장림동]], [[하단동]]을 경유하여 북구 [[금곡동]]에 이르기까지, 또 서쪽으로는 [[강서구 (부산광역시)|강서구]] [[명지동]]과 [[가덕도동]]을 포함한 광활한 낙동강 하류 일대의 공유수면 일대까지 퍼져있다.<ref name=hist>[http://www.saha.go.kr/files/saha_guji_229_288.pdf 사하구지, 제4장 문화유산과 관광] {{웨이백|url=http://www.saha.go.kr/files/saha_guji_229_288.pdf# |date=20150924121507 }}, p. 230, 2013년 6월 13일 확인</ref>
* [[을숙도]]
낙동강하구에 삼각주로 이루어진 섬으로 갈대밭과 수초가 무성하고 어패류가 풍부하여 철새들의 보금자리이기도 한 이곳은 낙동강 하구둑 다리 건설로 교통이 편리하여 찾는 사람들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또한 을숙도 상단부에는 넓은 주차장, 문화회관, 자동차 전용극장, 야외공연장, 인라인 스케이트장, 간이축구장, 잔디광장, 휴게소 등 각종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가족 단위의 산책 장소 및 단체모임의 장소로 안성맞춤이다.<ref name=hi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