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함부림'''(咸傅霖, [[1360년]]~[[1410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본관]]은 [[강릉 함씨|강릉]]. 자는 윤물(潤物), 호는 난계(蘭溪), 명성군(溟城君), 동원군(東原君), 시호는 정평(定平)이다.
'''함부림'''(咸傅霖, [[1360년]]~[[1410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본관]]은 [[강릉 함씨|강릉]]. 자는 윤물(潤物), 호는 난계(蘭溪), 명성군(溟城君), 동원군(東原君), 시호는 정평(定平)이다. 1360년 [[강릉]]에서 고려 개국공신 규(規)의 13세손인 승경(承慶)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1385년]] 급제하여 예문 검열(藝文檢閱),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냈다. 조선의 개국공신(開國功臣). 1385년(우왕 11) 문과에 급제해 예문검열(藝文檢閱)을 거쳐 좌정언(左正言)과 형조정랑(刑曹正郞)을 지냈다. 1392년(공양왕 4) 이성계(李成桂)가 실권을 잡자 병조정랑(兵曹正郞) 겸 도평의사사경력사도사(都評議使司經歷司都事)에 복직되었고, 조선의 개국공신 3등에 책록되어 예조의랑(禮曹議郞)을 거쳐 개성소윤(開城少尹)에 임명되었다. 형조의랑에 이어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로서 상서소윤(尙瑞少尹)을 겸하고 명성군(溟城君)에 봉해졌다. 태종 초기에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동북면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동북면도순문찰리사(東北面都巡問察理事) 겸 병마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 겸 영흥부윤(永興府尹) 등을 역임하였다. 1404년(태종 4)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로서 대사헌(大司憲)에 올랐다. 다음 해 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를 역임하고, 1406년에 계림부윤(鷄林府尹)·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냈다. 다음 해 다시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08년 형조판서(刑曹判書)가 되었다. [[1392년]] [[음력 7월 17일|7월 17일]]에 조선 개국에 참여하여 개국 3등공신 및 익대공신(翊戴功臣)에 녹훈되었다. [[1410년]] 졸하였다.
 
== 생애 ==
[[강릉]]에서 [[함승경]]<ref>[[함규]]의 13세손</ref>(承慶)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385년([[우왕]] 11년) 문과에 급제해 예문검열(藝文檢閱)을 거쳐 좌정언(左正言)과 형조정랑(刑曹正郞)을 지냈다.
 
1392년([[공양왕]] 4년) [[이성계]]가 실권을 잡자 병조정랑(兵曹正郞) 겸 도평의사사경력사도사(都評議使司經歷司都事)에 복직되었고, [[조선]] 개국공신 3등<ref>및 익대공신(翊戴功臣)에 녹훈되었다.</ref>에 책록되어 예조의랑(禮曹議郞)을 거쳐 개성소윤(開城少尹)에 임명되었다. 형조의랑에 이어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로서 상서소윤(尙瑞少尹)을 겸하고 명성군(溟城君)에 봉해졌다.
 
[[조선 태종|태종]] 초기에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동북면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동북면도순문찰리사(東北面都巡問察理事) 겸 병마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 겸 영흥부윤(永興府尹) 등을 역임하였다.
 
1404년(태종 4년)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로서 대사헌(大司憲)에 올랐다.
 
1405년(태종 5년) 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를 역임하다.
 
1406년(태종 6년) 계림부윤(鷄林府尹)·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냈다.
 
1407년(태종 7년)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로 재임하여 명나라에 다녀왔다.
 
1408년(태종 8년) 형조판서(刑曹判書)에 임명되었다.
 
== 가족 관계 ==
줄 8 ⟶ 27:
=== 드라마 ===
* 《[[용의 눈물]]》([[KBS]], [[1996년]]~[[1998년]], 배우:김봉근)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