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발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Wingal (토론 | 기여)
종발성의 위치
Wingal (토론 | 기여)
잔글 담발류성 설명
14번째 줄:
종발성의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있는데, 현재의 [[경상남도]] [[김해시]]가 수도였던 [[가락국]]이 이후에도 100년 이상 존재하다가 [[532년]]에 멸망하였고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서 신라 유물이 많이 출토된데다 [[경주]]에서의 지리적 접근성을 고려할 때, [[낙동강]]의 동쪽에 위치한 [[부산광역시]] [[동래구]]나 [[부산진구]] 일대를 종발성으로 보는 견해가 상당하다.
 
한편 '''종발성'''(從拔城)이 북큐슈의 고대 국가인 '''축자국'''(築紫國)을 가리킨다는 주장도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6GoGqvsa45k] 從('''따를''' 종), 拔(뺄 '''발''')이 '딸발/달바르'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築(쌓을/'''담''' 축), 紫('''보라'''/자주 자)는 '담보라'로 풀이할 수 있다. 從拔과 築紫이 실제로 '닮브라'라고 불리는 지명을 표기하는 다른 방식이라는 것이다. 일본서기 웅략천황 8년(464)에 "고구려왕이 즉시 군병을 일으켜 '''축족류축족류성'''(築足流城)에 주둔시켰다(高麗王即發軍兵 屯聚筑足流城)."는 기록이 있는데 여기서 築足流 또한 '닮브라'를 뜻한다고 생각된다. 築('''담''' 축), 足('''발''' 족), 流(흐를 '''류''')는 실제 '담발류'라는 말을 한자로 표기하고 있기있는데 '닮브라'와 음이 때문이다유사하다.
 
[[광개토왕릉비]]에 기록된 왜(倭)의 실체, 왜와 가야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이는 광개토왕릉비문 중 판독 가능한 부분에서 정치·군사적 세력으로서의 [[가야]]에 대한 기록을 찾을 수 없다는 점과 《[[일본서기]]》의 [[369년]] 및 [[382년]]의 기사([[목라근자#개요|목라근자]]를 참고할 것) 등이 원인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신라]]를 중심으로 기술된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에 기록된 가야사의 내용이 단편적이고 빈약해서 이 시기([[4세기]] 후반 ~ [[5세기]] 전반)의 가야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