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깨진 각주 복구
207번째 줄:
[[1920년대]]에 가면 [[한국인]]들의 [[헌병보조원]], 일제 관료에 많은 응시생들이 응시하였다. 1922년 순사직 경쟁률은 약 2.1대 1 수준에 불과했으나 문화정치가 본격화한 [[1920년대]] 중반 이후부터 그 경쟁률이 10대 1을 웃돌았다. 결국 [[한국인]] 공무원, 헌병보조원 수험생이 많아지자 경쟁률은 계속 높아졌다. [[3.1 운동]] 직후에는 만세 운동의 여파로 응시생이 적었지만 [[1920년]]대 중반 이후 헌병보조원과 판임관 등의 응시자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1926년의 헌병보조원 856명 모집에 9천193명이 지원, 약 10.7대 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1932년에는 854명 모집에 1만6천193명이 지원해 19대 1로 경쟁률이 수직 상승했다.<ref name="jangshin">[http://media.daum.net/culture/others/view.html?cateid=1026&newsid=20090514183413252&p=yonhap 일제 때 조선총독부는 선망의 직장(?)]</ref> 19.6대 1로 정점을 찍은 [[1935년]] 이후 순사에 대한 선호는 [[1936년]] 14.1대 1, [[1937년]] 10.9대 1로 내리막길을 걸었으나 [[1920년대]] 중반부터 [[태평양 전쟁]] 이전까지 경쟁률이 10∼20대 1에 도달하였다.<ref name="jangshin"/>
 
==== 1920년대의 민족 해방 운동 ====
377번째 줄:
|쪽 =
|날짜 = 2005-03-11
|확인일자확인날짜 = }}</ref><ref>{{뉴스 인용
|제목 = (어제의 오늘)1940년 일제, 조선인 창씨개명 실시
|url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2101754235&code=100100
384번째 줄:
|쪽 =
|날짜 = 2010-02-10
|확인일자확인날짜 = }}</ref>
 
창씨계출(創氏屆出) 초기에는 일부 [[친일파]]들이 자발적으로 창씨개명을 하려고 몰려들어 경성부청과 구청, 그 밖의 부청과 군청사 등이 혼잡을 빚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인의 희망에 따라 실시하게 되었다는 창씨개명은 [[1940년]] [[5월]]까지 창씨계출(創氏屆出) 호수(戶數)가 7.6%에 불과하자, [[조선총독부]]는 행정력과 경찰력을 총동원해 창씨개명을 하도록 협박·강요하여 신고마감 시기까지 322만 가구, 79.3%로 창씨율을 끌어올렸다.<ref>{{뉴스 인용|제목 = "창씨개명 안하면 살 수가 없었다"|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55&aid=0000040368|출판사 = [[SBS 8뉴스]]|날짜 = 2005-03-11|확인일자확인날짜 = }}</ref><ref>{{뉴스 인용|제목 = (어제의 오늘)1940년 일제, 조선인 창씨개명 실시|url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2101754235&code=100100|출판사 = [[경향신문]]|저자 = 손제민 기자|날짜 = 2010-02-10|확인일자확인날짜 = }}</ref> 창씨개명은 [[1946년]] [[미군정]]과 [[소련 군정]]에 의해 폐지된다.
 
===== 징용자와 위안부 =====
424번째 줄:
==== 조선총독부의 한국인 참정권 운동 ====
[[파일:Park Choon-Geum shouts Banzai with his supporters.JPG|섬네일|[[박춘금]] [[일본 제국의회]][[중의원]] 의원 당선되었을때.]]
[[1940년]]부터 [[조선총독부]]는 [[일본]] 본국에 [[한국인]]의 참정권을 허락해줄 것을 요구하였다. [[1932년]] [[12월]] [[박영효]]가 [[귀족원 (일본)|귀족원 의원]]에 칙임된 예가 있었고, [[1941년]]에 [[윤덕영]](尹德榮)과 박중양이<ref name="cho235">최유리, 《일제 말기 식민지 지배정책연구》 (국학자료원, 1997) 235페이지</ref> 선정되었는데 [[박중양]]은 이때 귀족원 의원직을 사양했다. 그러나 [[박중양]]은 [[1945년]] [[4월 3일]] 두 번째로 귀족원 의원직에 임명되자 이때는 수용한다. [[1943년]]에는 [[이진호 (1867년)|이진호]]가 칙선되고 있었지만, 제도로서 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었다.<ref name="cho235"/> 이때까지의 [[귀족원 (일본)|귀족원 의원]]은 임명되면 받아들이는 것이었다. 이것을 거절한 인물은 [[박중양]]이 유일했다.
 
[[1936년]] [[한규복 (1881년)|한규복]], [[박춘금]] 등의 한국인 참정권 운동을 경계하였지만 [[1940년]] [[태평양 전쟁]] 이후 병력, 물자의 부족으로 한국에서 병력, 물자를 공출해가면서 한국인에게도 그에 대한 급부를 주어야 한다는 여론이 나타났다. [[1940년]]부터 [[조선총독부]]는 일본 본국 정부에 한국인들에게도 참정권을 줄 것을 요구하여 [[1945년]]에 비로소 일본 의회를 통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