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와이오유엔지제이아이엔 (토론)의 3개의 편집을 Ghrrim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TW)
1번째 줄:
{{도시 정보
|한자 = 平壤直轄市
|이름 = 평양
|지위 = [[직할시]]
|그림 = Pyongyang montage.png
|그림설명 =
|위치지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위도 = 39.019444
|경도 = 125.738056
|나라 = {{국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방언 = [[서북 방언]]
|면적 = 1,747.7 km²<ref name="면적">[[2010년]] 행정 구역 축소 전의 2,629.4 km²에서 [[중화군]] 232.4 km², [[상원군]] 490 km², [[승호구역]] 159.3 km²를 제외함.</ref><!--강남군(160.3 km²)과 승호구역의 면적은 엇비슷함. 국정원의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한 한국 언론의 보도는 엉터리임.-->
|인구 = 2,999,466 명<ref name="UNFPA">[http://kosis.kr/bukhan/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 북한통계>인구일제조사>2008년>인구>도, 시/구역/군, 도시/농촌별, 성별인구] 통계청 북한통계, 2018년 10월 7일 확인.</ref><ref name="인구">[[2008년]] 평양시 인구 325만5288 명에서 [[승호구역]]의 8만5624 명, [[중화군]]의 7만7367 명, [[상원군]]의 9만2831 명을 제외함.</ref>
|인구년도 = 2008
|인구밀도 =
|구 = 18
|군 = 2
|해발 = 27
|단체장 = [[김능오]](당위원회 위원장)<br/>[[차희림]](인민위원회 위원장)
|시청소재지 =
|홈페이지 =
|시목 = [[버드나무]]
|시화 =
|시조 =
|마스코트 =
|꼬리표 =
|시간대 = [[UTC+09:00]]
}}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다. 도시의 중심으로 [[대동강]]이 흐르며, 넓은 충적평야가 발달하였다. 역사적으로 [[고구려]]의 수도였고, [[고려]] 때에는 서경(西京)이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평안도]] [[감영]] 소재지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별칭으로 '''혁명의 수도'''라고 부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이후 옛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건물 양식과 유사한 건물들이 지어졌다. [[한국 전쟁]] 때는 잠시 [[유엔군]]이 점령한 적이 있다. [[1967년]]부터는 인구 증가로 인해 신도시 건설을 추진, 다양한 건축물이 세워졌다.
 
평양의 면적은 1,747.7 km²<ref name="면적"/><ref name=py2011>[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0447608 北, 경제난에 평양 면적 반토막·주민 50만명 줄였다] 국민일보, 2011.2.14.</ref><!--국정원의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한 한국 언론의 보도는 엉터리임.--><ref name="강남군 재편입">[http://v.media.daum.net/v/20120229062106165 北 평양시 행정구역 일부 개편] 연합뉴스, 2012.2.29.</ref>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체 면적의 1.42%를 차지하고, 인구는 약 300만 명이다.<ref name="UNFPA"/><ref name="인구"/>
 
== 개요 ==
* [[중구역]] 中區域
[[파일:Changwang Street in Pyongyang.jpg|섬네일|right|250px|평양의 창광(蒼光)거리. 왼쪽은 [[고려호텔]].]]
[[파일:Вид на Пхеньян ночью.jpg|섬네일|right|320px|평양의 [[야경]].]]
 
평양 준평원(平壤準平原)에 위치해 있다. 북쪽, 동쪽과 서북쪽은 [[평안남도]]에, 서남쪽은 [[남포특별시]]에, 남쪽은 [[황해북도]]에 접한다.
 
평양에는 [[대동강]]이 흐르는데, 강 좌측에 형성된 중심부를 '''본평양'''(本平壤), 서쪽을 '''서평양'''(西平壤) 그리고 강을 건너 동쪽에 형성된 시가지를 '''동평양'''(東平壤)으로 나누기도 한다. 평양시의 중심은 중구역이며, [[1950년대]] 이래 내각청사, [[인민대학습당]], [[조선미술박물관]], [[평양학생소년궁전]]을 비롯한 특색있는 건축물들이 건설되었다. 평양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는 [[창광거리]], [[영광거리]], [[광복거리]], 창전거리, 미래과학자 거리, [[통일거리]] 등이다. [[인민대학습당]] 앞에는 [[김일성광장]]이, 부근에는 [[주체사상탑]]이 있는데 평양의 상징이 되고 있다.
 
공민등록법의 규정에 따라 '17세 이상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은 공민증을 발급받지만, 평양시민은 1997년부터 특별히 '평양시민증'을 발급받아 다른 지역 주민과 차별을 두고 있다.
 
== 지형 ==
[[파일:Pyongyang satellite image 2007-08-22.jpg|250px|섬네일|평양직할시의 위성 사진]]
평양은 낮은 [[구릉]]과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평야]]가 많아 농업이 발달했다. 주요 산은 [[만경대구역]]에 있는 [[룡악산]](龍岳山), [[중구역]]에 있는 [[창광산]](蒼光山), 대동강구역의 [[문수봉]](紋繡峰)이 있다. 대부분 산은 휴양지나 유원지로 만들어졌다.
 
중심지에 위치한 산은 [[모란봉]](95m)이고, 그 동쪽 주변에 대성산(270m)이 있고, 그 북쪽으로 청운산(373m)과 용골산(400m)이 있다. 모란봉의 동쪽의 비교적 높은 산지가 시작하는 초입에는 제령산(498m)이 서 있다.<ref name="pyup">권영덕, 나도삼, 장남종, 민현석, 강지한, 김현수, 안병민, 안창모, 이왕기, 정수인, [http://opengov.seoul.go.kr/research/8601386 평양 도시계획 이해하기], 서울연구원, 2016년 6월 1일 등록.</ref>
 
평양은 [[여름]]이 되면 [[홍수]]가 발생하여 [[농업]]이 어려웠으나, [[김일성]](金日成)이 직접 지시하여 [[보통강]](普通江)의 관개공사를 실시함으로써, 홍수 피해가 적어지고, 농업이 발달하게 되었다고 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김일성]]이 보통강을 옥토, 살기 좋은 땅으로 만들게 하였다고 선전(宣傳)하며, [[보통강구역]]에 기념탑이 건설되었다. [[보통강]] 근처에는 [[보통강유원지]]가 있어서 시민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역사 ==
=== 고대 및 삼국시대 ===
[[파일:YongmyongsaPyongyang.png|섬네일|right|250px|평양의 [[영명사 (평양)|영명사]](永明寺)는 고구려 시대에 세워진 유서 깊은 절이다. 사진은 일제 강점기때의 것]]
[[파일:Tomb of King Tongmyong, Pyongyang, North Korea-1.jpg|섬네일|250px|[[동명왕릉]] 근처에 있는 [[정릉사]]1]]
[[파일:Tomb of King Tongmyong, Pyongyang, North Korea.jpg|섬네일|250px|[[동명왕릉]] 근처에 있는 [[정릉사]]2]]
 
평양은 [[고조선]]의 수도인 [[왕검성]]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기원전 108년]]에 [[한나라]]는 고조선의 옛 영토에 [[한사군]]을 세웠는데 현재의 평양 지역에는 [[낙랑군]]을 세웠다.
 
[[313년]] [[고구려]](高句麗)는 낙랑군을 축출시켜 자국의 영토로 편입시켰고, [[427년]] [[장수왕]](長壽王)이 이 곳으로 천도(遷都)해 평양은 고구려의 수도가 되었다. [[668년]] [[신라]](新羅)와 [[당나라]](唐) 연합군에 의해 고구려가 멸망되자, 당나라는 이 곳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두어 전체 [[한반도]]에 대한 지배를 획책했으나, 신라의 저항으로 안동도호부는 얼마 되지 않아 요동(遼東)으로 철수했다. 그러나 남북국 시대의 평양은 신라와 [[발해]](勃海) 양국의 변경(邊境)으로 남겨졌다.
 
=== 고려시대 ===
{{참고|서경 (고려)|l1=서경}}
[[고려|고려시대]](高麗)에는 서경(西京)으로 불려 중요시되어, 황폐해진 평양을 부흥시켰다. [[947년]] [[고려 정종 (3대)|고려 정종]](定宗)은 [[도참설]]에 따라 서경성(西京城)을 쌓고 천도하려 하였으나 귀족들의 불만과 백성들의 반발로 실현되지 못했고, [[1136년]]에는 [[고려 인종]](仁宗)에게 [[묘청]](妙淸), [[정지상]](鄭知常), 백수한(白壽翰) 등이 [[서경천도론]]을 건의하여 추진되었으나, [[김부식]](金富軾)을 중심으로 한 문벌 귀족들의 반발과 민심의 이탈로 인종이 중지를 명함으로써 좌절되었다.
 
고려 말기 [[신돈]](辛旽)은 [[공민왕]](恭愍王)에게 평양으로 수도를 옮길 것을 건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 조선시대 및 근대 ===
[[조선|조선시대]](朝鮮時代)에도 평양은 조선의 주요 도시 중 하나이자, [[평안도]](平安道) [[감영]] 소재지로서 관서지방의 행정 중심지였다.
 
[[1871년]] [[신미양요|제너럴 셔먼 호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으며, [[1894년]] [[청일전쟁]](淸日戰爭) 때는 [[청나라|청군]](淸軍)과 [[일본제국 육군|일본군]] 사이의 격전지가 되어 큰 피해를 입었다. [[1896년|1896]]([[건양]] 1)년 평안도가 남북으로 분할되자 [[평안남도]]에 소속되었다.
 
[[구한말]]기에는 [[기독교]]가 크게 확산되었는데, [[1901년]]부터 평양에서는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평양신학교]]라는 [[장로교]] 신학교가 문을 열었고, 최초의 장로교 목사들을 배출하였다. 평양을 비롯한 [[평안도]]는 오랜기간동안 지역차별에 영향을 받은 것들이 적지않게 있어서 지역 향반(향리)와 일반 평민의 삶은 차이가 크게 없었다. 이 때문에 평양을 비롯한 [[평안도]]에서는 신분보다 능력을 중시하는 평민문화 및 상업문화가 일찍이 발달하였고, [[기독교]] 신자가 상당히 많이 거주했었다.<ref>《[http://www.yes24.com/24/goods/4130859?scode=032&OzSrank=1 한국사 시민강좌: 47집(2010년) - 특집,대표적 독립운동가 12인]》 장규식 저. p135~148</ref>
 
=== 일제 강점기 ===
[[파일:View of Heijo1.JPG|섬네일|250px|일제 강점기의 평양]]
 
[[1913년]] [[조선총독부]]는 평양을 부(府)로 지정했으며<ref>{{서적 인용|저자=[[이이화]]|제목=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바람|연도=2004 |출판사=한길사|쪽=27}}</ref>, [[1914년]] 평양부의 영역을 시가지 일대로 축소시키고, 교외 지역을 [[대동군]]으로 분리하였다. [[1938년]] 대동군 대동강면, 서천면, 추을미면을 편입하여 영역이 확장되었다.
 
[[1920년]] [[조만식]]을 중심으로 민족 운동의 일환인 [[물산장려운동]]이 일어났다.
 
[[만보산 사건]](萬寶山事件)의 여파로 평양에서 [[1931년]] [[7월 5일]]과 [[7월 6일|6일]]에 일어난 반중(反中)·반[[화교]](反華僑) 폭동은 극심해, 중국인 수백 명이 사망, 부상 및 실종되었다<ref>[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08/02/06/200802060500006/200802060500006_2.html 전봉관의 옛날 잡지를 보러가다 32 - 평양 중국인 배척 폭동 사건([[신동아]] 2008년 2월호)]</ref>.
 
=== 현대의 평양 ===
광복 후 [[38선]] 이북은 [[한국의 군정기|소련군정]](蘇聯軍政)이 들어섰다. 1948년에 소련군이 철수하였다. [[1946년]] [[9월]]에는 북부 지역의 실질적인 정부인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평양부는 평안남도에서 분리되어 중구역, 동구역, 서구역, 남구역, 북구역의 5개 구역을 포함하는 [[특별시]]로 승격되었다.
 
[[한국전쟁]] 당시 [[대한민국 국군]]이 [[1950년]] [[10월 1일]]에 [[38선]]을 넘자 [[10월 9일]] [[김일성]]의 [[부대]]와 [[정부]], [[조선노동당]] 등 주요 기관이 평양에서 모두 철수하였다.
 
[[1950년]] [[9월 28일]]에 대한민국이 [[서울]]을 수복(收復)하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수뇌부와 주요 기관, [[단체]], [[부대]] 등을 [[평양]]에서 후퇴시킬 준비를 시작하였다. [[10월 1일]]에 [[대한민국 국군]]이 [[38선]]을 넘자 [[10월 9일]]부터 본격적인 [[평양 철수|평양 후퇴작전]]이 전개되었고, [[10월 19일]] [[대한민국 국군]]과 [[UN군]]이 평양을 수복하였다. 평양에서 후퇴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강계]]를 임시 수도로 정하였다.
 
[[대한민국 국군]]은 [[10월 19일]] 평양을 탈환하였으나, [[10월 24일]] [[온정리 전투]]를 시작으로 [[중국인민지원군]]이 [[한국전쟁]]에 개입하였다. [[1950년]] [[10월 25일]] 1차 공세를 시작한 [[중국인민지원군]]은 [[11월 26일]]부터 본격적 공격을 개시하였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2월 6일]]에 [[평양]]으로 재입성하였다. 남한의 국군은 [[12월 4일]] 평양에서 철수하였다.
 
[[1952년]] [[행정 구역]] 체계를 기존의 4단계에서 3단계로 개편하면서 [[직할시]]로 변경되었고, [[1956년]]에 만경대구역과 서성구역을 신설하였으며, [[1967년]]부터{{출처|날짜=2010-2-17}} 본평양(本平壤), 서평양(西平壤), 동평양(東平壤)으로 나누고, [[1972년]]에는 임시수도가 아닌 공식 수도가 되었다. [[2006년]] 19개 구역 4개 군으로 나뉘어 있었다.
 
한편 평양은 [[한국 전쟁]] 때 [[미국]]의 폭격으로 공공건물과 공장건물들이 많이 파괴되었다. [[소련]]으로부터 도입된 조립식 건축기법과 시멘트 가공공업의 발달로 동평양과 중구엔 5층 내지 15층짜리 고층 아파트가 건설되었으며, 천리마(千里馬)거리와 창광거리, 역전(驛前)거리를 비롯한 큰 도로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2010년]] 1월 평양에 속했던 [[중화군]]<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3794&cid=40942&categoryId=39872 중화군] 동아백과, 2017년 8월 6일 확인.</ref>, [[상원군]]<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9948&cid=40942&categoryId=39872 상원군] 동아백과, 2017년 8월 6일 확인.</ref>, [[승호구역]]<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57721&cid=46629&categoryId=46629 승호구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017년 8월 6일 확인.</ref>과 [[강남군]]이 [[황해북도]]로 이관되었다가, 이듬해인 [[2011년]] 이 중 [[강남군]]만 평양직할시로 재편입되었다.<ref name="강남군 재편입"/>
 
평양은 도농통합형 도시를 추구하고 있으며, 평양 전체의 토지 중 시가지 면적은 20% 이하이고, 농지 면적이 과반을 차지하고 있어 농산물의 자급 생산과 소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ref name="pyup"/>
 
== 행정 구역 ==
평양직할시는 18개 [[구역 (행정 구역)|구역]], 2개 [[군 (행정 구역)|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 구역 ===
* [[대동강구역]](大同江區域)
* [[대성구역]](大城區域)
* [[동대원구역]](東大院區域)
* [[락랑구역]](樂浪區域)
* [[력포구역]](力浦區域)
* [[룡성구역]](龍城區域)
* [[만경대구역]](萬景臺區域)
* [[모란봉구역]](牡丹峰區域)
* [[보통강구역]](普通江區域)
* [[사동구역]](寺洞區域)
* [[서성구역]](西城區域)
* [[삼석구역]](三石區域)
* [[선교구역]](船橋區域)
* [[순안구역]](順安區域)
* [[은정구역]](恩情區域)
* [[중구역]](中區域)
* [[평천구역]](平川區域)
* [[형제산구역]](兄弟山區域)
 
=== 군 ===
* [[강동군]](江東郡)
* [[강남군]](江南郡)
 
== 기후 ==
평양은 [[냉대 동계 소우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Dwa'')에 속하며, [[겨울]]에는 날씨가 매우 춥다. 연강수량 939.8mm로 [[한반도]]에서는 소우지역에 속하지만, 강수의 70% 이상이 [[여름]]철에 집중되어 내린다.
 
{{Weather box|location = Pyongyang (1971–2000, extremes 1907–2016)
|collapsed =
|metric first = y
|single line = y
|Jan record high C = 11.0
|Feb record high C = 15.9
|Mar record high C = 22.5
|Apr record high C = 29.3
|May record high C = 35.2
|Jun record high C = 37.1
|Jul record high C = 37.2
|Aug record high C = 36.7
|Sep record high C = 34.6
|Oct record high C = 28.9
|Nov record high C = 23.2
|Dec record high C = 14.3
|year record high C = 37.2
|Jan high C = -0.8
|Feb high C = 2.4
|Mar high C = 8.9
|Apr high C = 17.1
|May high C = 22.6
|Jun high C = 26.7
|Jul high C = 28.6
|Aug high C = 28.9
|Sep high C = 24.7
|Oct high C = 18.2
|Nov high C = 9.4
|Dec high C = 1.7
|year high C = 15.7
|Jan mean C = -5.8
|Feb mean C = -2.7
|Mar mean C = 3.6
|Apr mean C = 11.0
|May mean C = 16.8
|Jun mean C = 21.6
|Jul mean C = 24.7
|Aug mean C = 24.7
|Sep mean C = 19.5
|Oct mean C = 12.5
|Nov mean C = 4.6
|Dec mean C = -2.8
|year mean C = 10.7
|Jan low C = -10.7
|Feb low C = -7.8
|Mar low C = -1.8
|Apr low C = 4.9
|May low C = 10.9
|Jun low C = 16.5
|Jul low C = 20.7
|Aug low C = 20.5
|Sep low C = 14.3
|Oct low C = 6.7
|Nov low C = -0.3
|Dec low C = -7.2
|year low C = 5.6
|Jan record low C = -28.5
|Feb record low C = -23.4
|Mar record low C = -18.8
|Apr record low C = -4.5
|May record low C = 1.4
|Jun record low C = 7.0
|Jul record low C = 12.3
|Aug record low C = 12.3
|Sep record low C = 2.7
|Oct record low C = -6.6
|Nov record low C = -19.9
|Dec record low C = -30.2
|year record low C = -30.2
|precipitation colour = green
|Jan precipitation mm = 12.2
|Feb precipitation mm = 11.0
|Mar precipitation mm = 24.7
|Apr precipitation mm = 49.9
|May precipitation mm = 72.2
|Jun precipitation mm = 90.3
|Jul precipitation mm = 275.2
|Aug precipitation mm = 212.8
|Sep precipitation mm = 100.2
|Oct precipitation mm = 39.9
|Nov precipitation mm = 34.9
|Dec precipitation mm = 16.5
|year precipitation mm = 939.8
|unit precipitation days = 0.1 mm
|Jan precipitation days = 5.2
|Feb precipitation days = 4.2
|Mar precipitation days = 5.1
|Apr precipitation days = 6.7
|May precipitation days = 8.1
|Jun precipitation days = 8.7
|Jul precipitation days = 14.4
|Aug precipitation days = 11.0
|Sep precipitation days = 7.2
|Oct precipitation days = 6.1
|Nov precipitation days = 7.3
|Dec precipitation days = 5.9
|year precipitation days = 89.9
|Jan humidity = 74
|Feb humidity = 71
|Mar humidity = 66
|Apr humidity = 63
|May humidity = 66
|Jun humidity = 70
|Jul humidity = 80
|Aug humidity = 78
|Sep humidity = 74
|Oct humidity = 72
|Nov humidity = 72
|Dec humidity = 73
|year humidity = 72
|Jan sun = 184
|Feb sun = 197
|Mar sun = 231
|Apr sun = 237
|May sun = 263
|Jun sun = 229
|Jul sun = 181
|Aug sun = 204
|Sep sun = 222
|Oct sun = 214
|Nov sun = 165
|Dec sun = 165
|year sun =
|source 1 =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ref>{{웹 인용|url=http://worldweather.wmo.int/en/city.html?cityId=230|title=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Pyongyang|accessdate=1 September 2016|publisher=WMO}}</ref>
|source 2 = Deutscher Wetterdienst (extremes, humidity 1908–1936, and sun 1961–1990)<ref>{{웹 인용|url=http://www.dwd.de/DWD/klima/beratung/ak/ak_470580_kt.pdf|title = Klimatafel von Pyongyang (Pjöngjang) / Korea (Nordkorea) | accessdate = 1 September 2016 | publisher = DWD}}</ref><ref name = DWDsun>
{{웹 인용
| url = ftp://ftp-cdc.dwd.de/pub/CDC/observations_global/CLIMAT/multi_annual/sunshine_duration/1961_1990.txt
| title = Station 47058 Pyongyang
| work = Global station data 1961–1990—Sunshine Duration
| publisher = Deutscher Wetterdienst
| accessdate = 1 September 2016}}</ref>{{efn|[ftp://ftp-cdc.dwd.de/pub/CDC/help/stations_list_CLIMAT_data.txt Station ID for Pyongyang is 47058] Use this station ID to locate the sunshine duration}}
}}
 
== 산업 ==
[[파일:SOGUN SLOGAN AT A THE PYONGYANG CITY METRO STATION DPRK NORTH KOREA OCT 2012 (8648706212).jpg|right|섬네일|300px|체제 선전 포스터]]
평양 일대는 일제 강점기 무렵부터 이른바 서선공업지대(西鮮工業地帶)의 중심지 역할을 해 왔다. 평양직할시는 정권 수립 후 [[3.26전선공장]]과 [[대동강맥주공장]]을 비롯해, [[선교구역편직물공장]], [[평양방직공장]], [[평양기계공업공장]] 등의 여러 공장들과 [[평양주택사업소]]와 [[백두산건설사업소]] 등의 [[주택]], 건축기업소가 세워졌다. 이 곳은 지금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업 중심지로 [[사리원시]]와 [[송림시]]를 합쳐 [[평양공업지구]]라고 부른다.
 
[[발전소]]는 [[평양화력발전소]]와 [[동평양발전소]]가 있다. 이 발전소에서 나오는 폐열과 온수로 평양 전역에 있는 가정의 난방을 공급한다. [[제철소]]는 [[송림제철소]]가 있다{{출처|날짜=2010-2-17}}. 송림제철소는 [[김책시]]의 [[김책제철소]] 다음가는 대규모 제철소이다. 이 제철소에서 평안도지역의 철강제를 공급한다.
 
3.26전선공장은 평양시 [[평천구역]]에 자리잡고 있으며, 현대적인 설비와 제품의 질이 좋은 것으로 유명하다. 3.26전선공장은 [[김정일]]의 현지지도를 받았다.
 
기타 평양의 공장으로는 [[평양룡성담배공장]], [[대동강 맥주]], [[대동강텔레비전수상기공장]], [[평양화장품공장]], [[평양선교방직공장]], [[평양아동식료품공장]], [[교육도서인쇄공장]], [[평양종합인쇄공장]], [[평양자전거공장]], [[평양기계공업공장]] 등이 있다.
 
== 유적지 ==
평양은 [[고구려]]의 도읍지였으며, [[단군왕검]]이 도읍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평양 주변에는 수천 년간 성을 쌓은 흔적을 비롯하여 [[낙랑]], [[고구려]]의 고분군과 선사시대의 [[고인돌]]군(群) 등 큰 규모의 무덤이 분포한다.
 
* '''[[고구려 고분군]]'''([[2004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지정)
* [[안학궁]]터 (安鶴宮)
* [[단군릉]] (檀君陵)
* [[동명왕릉]] (東明王陵)
* [[을밀대]] (乙密臺)
* [[평양성]]
* [[대동문]]
 
== 공공시설 ==
=== 교양기관, 사회주의 사상교육 기관 ===
[[파일:Pyongyang JucheTower.jpg|섬네일|200px|김일성 광장과 주체사상탑이 보인다.]]
* [[인민대학습당]]
* [[봉화예술극장]]
* [[4.25문화회관]]
* [[모란봉극장]]
* [[3대혁명전시관]]
* [[주체사상탑]]
* [[평양 개선문]]
* [[만수대의사당]]
* [[금수산태양궁전]] : [[김일성]]이 사용했던 집무실이다. 지금은 [[김일성]]이 사용한 유품들과 사진들을 전시하고 있다.
* [[인민문화궁전]]
* [[천리마동상]]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당창건기념탑]]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 극장 및 예술시설 ===
* [[평양대극장]] : 영광거리와 승리거리의 교차점에 있다. 혁명가극 공연이 주로 이루어진다.
* [[만수대예술극장]] : 외벽이 벽화와 부조로 장식되어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가장 크고 현대적인 극장이다.
* [[동평양대극장]] : 문서거리 대동강변에 있는 극장으로 음악공연이 주로 열린다. 세계적인 실내장식과 시설을 갖추고 있다.
* [[모란봉극장]] : [[일제강점기]]에 지어졌다. 1948년 남북련석회의가 열렸다.
* [[봉화예술극장]]
* [[평양교예극장]] : 광복거리에 있다. 평양 교예단의 전용극장으로 공중교예, 동물교예등 다양한 교예공연이 이루어진다.
* [[인민군교예극장]]
* [[청년공원 야외극장]]
* [[조선예술영화촬영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화 중 거의 대부분이 제작되는 곳이다. [[형제산구역]]에 있다. 백두산밀영, 중국거리, 일본거리, 서울거리 등 다양한 세트장이 있다.
* [[만수대창작사]] : [[평천구역]]에 있다. 공훈예술가들이 독자적 창작실에서 작업하는 곳이다. 이 창작물들을 구입할 수도 있다.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한 곳이다.
* [[평양국제영화회관]] : 국제영화제가 개최되는 곳이다.
* [[락원영화관]]
* [[개선영화관]]
 
=== 체육시설 ===
{||-
|valign=top|
* [[릉라도 5월1일경기장]]
* [[김일성경기장]]
* [[평양체육관]]
* [[유경정주영체육관]]
* [[양각도경기장]]
* [[평양보링장]]
|valign=top|
* 만경대 종합 체육 시설
* 태권도전당
* 바드민톤경기관
* 수영경기관
* 력기경기관
* 롱구경기관
* 배구경기관
* 빙상관
* 메아리 사격관
* 중경기관
* 경경기관
* 탁구경기관
* 송구경기관
* 평양골프연습장
* 서산축구경기장
|}
 
== 스포츠 ==
[[4.25체육단]], [[평양시체육단]] (두 팀 모두 [[최상급축구련맹전]] 소속)을 비롯한 여러 체육단이 평양을 본거지로 하고 있으며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축구]]이다.
 
== 언론기관 ==
 
{||-
|valign=top|
* [[조선중앙방송|조선중앙방송위원회]]
* [[로동신문|로동신문사]]
* [[평양신문|평양신문사]]
* [[민주조선|민주조선사]]
* [[조선중앙통신|조선중앙통신사]]
* [[만수대텔레비죤방송]]
* [[평양방송]]
|valign=top|
* [[평양FM방송]]
* [[평양출판사]]
* [[금성청년출판사]]
* [[조선외국문종합출판사]]
* [[문학예술출판사]]
* [[근로단체출판사]]
* [[사회과학출판사]]
|valign=top|
* [[과학기술출판사]]
* [[과학원출판사]]
* [[조선로동당출판사]]
* [[법률출판사]]
* [[조선화보사]]
* [[교육도서종합출판사]]
*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
 
== 교통 ==
{{본문|평양직할시의 교통}}
평양시는 철도교통과 수송전선의 중심지로서, [[평의선]], [[평부선]](둘 다 본래의 [[경의선]][京義線]), [[평원선]](平元線)이 지나며, [[평양개성고속도로]], [[청년영웅도로]], [[평양순안고속도로]], [[평양원산고속도로]]가 지난다. 청년영웅도로는 평양시와 [[남포특급시|남포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로서, 10차선으로 매우 넓다.
=== 항공 교통 ===
[[평양 순안 국제공항]](順安國際公港 : 평양비행장)과 [[미림비행장]]이 있다. 국제선은 순안공항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데, 순안공항은 [[고려항공]]의 허브공항이다.
 
=== 도로 교통 ===
==== 간선 도로 ====
고속도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평양남포고속도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이 고속도로를 "[[청년영웅도로]]"라고 부르고 있다. 1998년에 완공되었다.
* [[평양원산고속도로]]
* [[평양개성고속도로]], [[평양희천고속도로]]
:: 평양개성고속도로를 시작하는 곳에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이 세워져 있고, 평양희천고속도로는 [[김정일]]의 지시로 1994년 10월 10일에 완공되었다.
* [[평양강동고속도로]]
 
==== 주요 도로 ====
{||-
|valign=top|
* [[광복거리]]
* [[문수거리]]
* [[봉화거리]]
* [[승리거리]]
* [[영광거리]]
|valign=top|
* [[창광거리]]
* [[천리마거리]]
* [[청년거리]]
* [[통일거리]]
* [[해방산거리]](구 서기로)
|}
 
==== 주요 교량 ====
대동강을 건너는 다리는 고구려 시대에도 있었다는 것이 근래의 발굴 조사로 알려졌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16 대동강다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경의선]]을 부설하면서 놓은 [[대동강철교]](大同江鐵橋)로 1905년 3월 24일 준공되었으며, 최초의 인도교인 [[대동교 (평양)|대동교(大同橋)]]는 1923년 11월 30일 개통되었다.
 
1910년경 능라도에 수원지가 만들어져 평양 시내로 연결하는 수도관을 부설한 [[벽라교]](碧羅橋)가 건설되었으나 해방 후 어느 시점에 없어졌다.
 
오늘날 대동강의 주요 교량은 아래와 같다.
 
{||-
|valign=top|
* [[대동강철교]]
* [[청류교]]
* [[옥류교]]
* [[충성의 다리]]
|valign=top|
* [[대동교 (평양)|대동교]]
* [[능라교]]
* [[양각교]]
|}
 
==== 시내버스 ====
<gallery>
파일:Pyongyang bus.jpg|평양 트롤리버스
파일:Pyongyang city Tram.jpg|평양 트롤리버스
파일:Pyongyangarmymapservice1946.jpg|미군이 1946년 작성한 평양지도. 도로를 따라 철길 모양 표시가 되어 있는것이 전차 노선이다.
</gallery>
 
=== 철도 교통 ===
==== 간선 철도 ====
철도 시설로는 [[경의선]], [[평남선]], [[평원선]](平元線)이 있다. 평양의 철도역으로는 [[평양역]], [[서평양역]], [[대동강역]], [[보통강역]] 등이 있다.
 
==== 지하철 ====
{{본문|평양 지하철도}}
평양의 지하철은 [[서울특별시]]보다 1년 이른 [[1973년]]에 개통되었으며, 2개 노선이다. 1개 노선을 새로 신설할 예정이다. 평양의 지하철은 전시(戰時)에는 방공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땅 속 깊이 건설되었다.
 
==== 노면 전차 ====
 
평양에 전차 노선이 처음 개통된 날은 1923년 5월 20일이며, 이것이 평양에 최초로 도입된 시내 대중교통 체계이다. 당시 평양 인구가 10만 정도였는데, 개통 첫날 전차 승객 수가 1만 5천이나 되었다고 한다.<ref>[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MIN/MIN19230517u00_03.pdf 평양 電車 개통식, 오는 20일에 성대히 거행, 전차 주의사항을 배부 선전] 매일신보(每日申報) 1923-05-17 03면 5단<br>
[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MIN/MIN19230519u00_04.pdf 不夜城으로 美化할 平壤電氣 記念展] 매일신보(每日申報) 1923-05-19 04면 2단<br>
[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MIN/MIN19230522u00_03.pdf 平壤 電車의 開通祭, 20일부터 全線 營業 開始, 공비 48만원과 2개년의 세월을 소모하여 전차가 개통] 매일신보(每日申報) 1923-05-22 03면 3단<br>
[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MIN/MIN19230522u00_04.pdf 평양의 電車 試運轉] 매일신보(每日申報) 1923-05-22 04면 3단<br>
[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MIN/MIN19230523u00_03.pdf 初日 승객은 1만5천, 개통된 평양전차의 첫날 성적, 전차 개통과 좌측 통행 선전, 평양서의 교통선전] 매일신보(每日申報) 1923-05-23 03면 4단</ref> 당시 시내의 자동차는 극소수에 불과하였다.
 
1923년 11월 30일 [[대동교 (평양)|대동교]]가 개통 되면서 이 다리를 지나는 전차 노선도 개설되었다.<ref>[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MIN/MIN19231129u00_03.pdf 평양전차구역확장, 승차규정을 개정하였다] 매일신보(每日申報) 1923-11-29 03면 7단</ref> 1924년 10월에는 평양 인구 10만 돌파 기념으로 전차표를 이용한 경품 행사도 있었다.<ref>[https://www.bigkinds.or.kr/resources/OLD_NEWS_IMG3/SDN/SDN19241014u01_04.pdf 懸賞電車投票] 시대일보(時代日報) 1924-10-14 04면 03단</ref>
 
== 묘역 및 사적지 ==
=== 묘역 ===
평양의 묘역은 항일 유격대원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에 이바지한 사람들 위주로 조성되어 있다.
 
* [[혁명렬사릉]] : 대성산(大聖山)에 있다. 1920~30년대 김일성과 함께 만주지역에서 이른바 항일유격대 활동을 했다는 지휘관급 132명의 묘역이 있다. 반신상과 분묘, 비석이 하나씩 놓여있다.
* [[애국렬사릉]] : [[형제산]]구역 산미동에 있다. '조선의 공산주의 사회 건설에 기여했다'고 평가받는 인사 650여명이 있으며, 계속 늘어나고 있다. 돌사진과 분묘, 비석이 하나씩 놓여있다.
* 월북 및 납북인사들의 묘 : [[룡성구역]] 룡흥 1동에 있다.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에서 활동했거나 [[6 .25 전쟁]]때 서울에서 후퇴하면서 강제 납치하여 북송한 대한민국 인사 62명의 묘역이 있다. [[고려대학교]] 초대 총장 [[현상윤]], [[국방경비대]] 총사령관 [[송호성]], 초대 국회의원 [[조헌영]], [[정인보]] 등 명망있는 인사들의 묘역이 있다. 돌사진과 분묘, 비석이 하나씩 놓여있다.
 
=== 사적지 ===
평양의 사적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어느 사적지와 마찬가지로 [[김일성]]과 관계깊은 장소이다. 이러한 장소는 김일성 우상화 및 김일성주의의 목적으로 이용되며, 정권에 의해 성역화되어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 [[만경대고향집]] : [[김일성]]의 생가이다. 초가집과 당시 농기구가 복원ㆍ보존되어 있다.
* [[칠골사적지]] : [[김일성]]의 어머니인 [[강반석]]이 태어나고 자란 곳이다.
* [[창덕학교]] : [[김일성]]이 다닌 학교이다. 1925년 봄부터 1925년 1월 까지 이 학교에 다녔다.
* [[당창건사적관]] : [[김일성]]이 해방 직후 집무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건물이었다.
* [[전승혁명사적관]]
* [[쑥섬사적지]] : 1948년 5월 2일, 남북연석회의때 [[김구]] 선생과 김일성이 회담한 장소이다.
 
== 교육 ==
=== 대학 ===
* '''광복 이전'''
: 현 [[김책공업종합대학]] 자리에는 '''[[숭실대학교|합성숭실대학교(현 숭실대학교)]]'''가 있었으며, 현 김일성종합대학 및 평양의학대학 자리에는 '''평양의학전문학교'''가 있었다.
 
* '''현재'''
: 평양에는 다른 지역보다 대학이 밀집되어 있다. 특수목적중학교로서의 '학원'도 다양하게 설치되어 있다. 학원졸업생은 같은 계열의 대학으로 진학할 때에 우선선발 특권이 주어진다.
* [[김일성종합대학]] : 이른바 '주체교육의 최고전당'이다. 줄여서 '김대'라고 부른다.
* [[김책공업종합대학]] : 이른바 '과학기술교육의 최고전당'이다. 줄여서 '종합대학'이라고 부른다.
* [[김형직사범대학]]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범교육의 최고위를 점하고 있는 사범대학이다. 대학의 교원을 양성하는 중추기능을 담당하고 있기도 하다.
* 김철주사범대학 : 평양지역의 중등교원을 양성하는 대학이다.
* [[국제관계대학]] : 외교 관료를 위한 외교관 양성교육기관이다.
* [[인민경제대학]] : 경제관리 핵심간부들을 양성 및 재교육시키는 노동당 산하의 최고 교육기관이다.
* [[금성정치대학]] : 근로단체간부를 양성하는 대학이다. 제대군인과 산업현장의 우수노동자 출신이 입학대상이다.
{||-
|valign=top|
* [[김원균평양음악대학]]
* [[평양도시경영대학]]
* [[장철구평양상업대학]]
* [[평양건설건재대학]]
* [[평양경공업대학]]
|valign=top|
* [[평양교원대학]]
* [[평양기계대학]]
* [[평양농업대학]]
* [[평양미술대학]]
* [[평양연극영화대학]]
|valign=top|
* [[평양의학대학]]
* [[평양외국어대학]]
* [[평양음악무용대학]]
* [[평양인쇄공업대학]]
* [[평양철도대학]]
|valign=top|
* [[평양과학기술대학]]
* [[평양콤퓨터기술대학]]
* [[조선체육대학]]
* [[평양외국어학원]]
|}
 
=== 주요 유치원 및 초ㆍ중등학교 ===
광복 전 평양의 중등 교육기관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 공립 남학교 : [[평양제1공립중학교]], [[평양제2공립중학교]], [[평양제3공립중학교]]
* 사립 남학교 : [[광성(光成)중학교]]
* 공립 여학교 : [[평양공립고등여학교]], 평양서문(西門)공립고등여학교(西門高女)
* 사립 여학교 : 남산고등여학교
* 실업(實業)학교 : [[평양공립상업학교]], [[평양제일공립공업학교]], [[평양제2공립공업학교]], [[평양공립농업학교]]
 
현재의 주요 유치원 및 초, 중등학교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valign=top|
* [[금성제1중학교]]
* [[평양제1중학교]]
* [[김성주소학교]]
|valign=top|
* [[능라소학교]]
* [[창광유치원]]
* [[강반석탁아소]]
* [[김정숙탁아소]]
|}
 
== 상업시설 ==
=== 숙박시설 ===
{{columns-list|colwidth=9em|style=width: 600px;|
* [[류경호텔]]
* [[고려호텔]]
* [[량강호텔]]
* [[평양호텔]]
* [[보통강호텔]]
* [[양각도국제호텔]]
* [[서산호텔]]
* [[청년호텔]]
* [[창광산호텔]]
* [[해방산호텔]]
* [[보통강호텔]]
* [[봉화산호텔]]
* [[서평양호텔]]
* [[과학자호텔]]
}}
 
=== 유명식당 ===
[[파일:Okryu Restaurant in Pyongyang.jpg|섬네일|250px|옥류관(玉流館)]]
 
{{columns-list|colwidth=9em|style=width: 600px;|
* [[옥류관]]
* [[평남면옥]]
* [[평양면옥]]
* [[청류관]]
* [[칠성각]]
* [[선교각]]
* [[모란각]]
* [[평천각]]
* [[향만루식당]]
* [[만경대천석식당]]
* [[민족식당]]
* [[평양단고기집]]
* [[평양오리고기전문식당]]
* [[안산관]]
* [[목란식당]]
}}
 
=== 백화점 ===
{{columns-list|colwidth=9em|style=width: 600px;|
* [[평양제1백화점]]
* [[평양역전백화점]]
* [[평양제2백화점]]
* [[광복백화점]]
* [[락원백화점]]
* [[평양백화점]]
* [[동평양백화점]]
* [[아동백화점]]
}}
 
=== 유통시장 ===
* [[통일거리시장]] - 평양 최대 재래시장
* [[광복지구 상업중심]] - 평양 최대 대형마트, 중국에서 위탁운영
 
== 자매결연도시 ==
* {{국기그림|러시아}} [[모스크바]]
* {{국기그림|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국기그림|태국}} [[치앙마이 주]]
* {{국기그림|네팔}} [[카트만두]]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톈진 시]]<ref>{{언어링크|en}} [http://english.peopledaily.com.cn/90001/90776/90883/6656320.html First China-DPRK sister cities meeting held in Pyongyang]</ref>
 
== 같이 보기 ==
* [[2000년 남북 정상회담]]
* [[2007년 남북 정상회담]]
* [[2018년 남북 정상회담]]
 
== 각주 ==
{{각주}}
; 내용주
{{내용주}}
 
== 참고 자료 ==
* Dormels, Rainer. North Korea's Cities: Industrial facilities, internal structures and typification. Jimoondang, 2014. {{ISBN|978-89-6297-167-5}}
 
== 외부 링크 ==
{{위키공용과 분류|평양직할시|{{PAGENAME}}|Pyongyang}}
{{위키여행|en:Pyongyang|{{PAGENAME}}{{언어링크|en}}}}
* [http://www.cybernk.net/infoText/InfoAdminst.aspx?mc=AD01&amp;direct=1&ac=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http://nk.joins.com/map/i001.htm 평양시]
* [https://web.archive.org/web/20131004213514/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평양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언어링크|en}} [https://koreanologie.univie.ac.at/fileadmin/user_upload/p_koreanologie/North_Korean_Cities/Pyongyang/12_00Pyongyang_W14_Korr.pdf City profile of Pyongyang]
* {{세계날씨|23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평양직할시}}
 
{{전거 통제}}
[[분류:평양직할시| ]]
[[분류:1952년 설치]]
[[분류:아시아에 위치한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