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나무아속: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수정
잔글 수정
148번째 줄:
현재의 한국에는, 한국[[왕벚나무]]를 일본의 소메이요시노([[:en:Prunus × yedoensis|en]], [[:ja:ソメイヨシノ|ja]])와 구별하는 명칭이 없지만, 소메이요시노도 왕벚나무라고 부르고 있다. 한국의 왕벚나무의 자생지는 제주도이나 일본의 소메이요시노는 접목하지 않으면 발아하지 않고, 자생하지 않으므로 학회에서는 다른 종류라고 여겨지고 있다.
 
1932년 일본의 생물학자 고이즈미 겐이치는 소메이요시노의 원산지가 [[한국]] [[제주도]]라고 주장했다.<ref>{{저널 인용|제목=Prunus yedoensis Matsum. is a native of Quelpaert |저자=고이즈미 겐이치 |날짜=1932년 |저널=Acta Phytotaxonomica et Geobotanica 1 |쪽=177 |확인날짜=2015년 3월 31일}}</ref> 그러나 1962년 타케나카는 형태학적 분석을 통해 그 주장에 반박했다.<ref>{{저널 인용|url=http://www2.odn.ne.jp/had26900/topics_&_items2/takenaka5.htm |제목=THE ORIGIN OF THE YOSHINO CHERRY TREE |저널=Journal of Heredity |쪽=207~211 |인용=I visited the island in 1933 and observed that the tree, which was growing wild, showed differences from P. yedoensis; the hairs on calyx lobes and on the lower side of leaves were less numerous, and the peduncles were shorter. I concluded that it could not be P. yedoensis. I assumed that it might be a hybrid between P. subhirtella var. pendula form ascendens (Edo-higan) and P. quelpartensis (Tanna-Yamazakura; perhaps a form of P. verecunda) or some other cherry species. |확인날짜=2015-03-31}}</ref> 이후, DNA 염기 서열 분석을 연구한 결과에서 일부가 일배 체형을 보였으며 그외는 별종이라는 것으로 고려 될 수도 있다라고 하지만 확정된 결과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수목은 종의 변화가 빠른편이고 환경의 변화에도 달라지기 때문이다.<ref>{{저널 인용 |저자저자1=Roh, M.S., |저자2=정은주, |저자3=Choi, I-Y and |저자4=Young, Y.H. |년도=2007 |제목=Characterization of wild ''Prunus yedoensis'' analyzed by inter-simple sequence repeat and chloroplast DNA |저널=Scientia Horticulturae|volume=114 |issue=2 |쪽=121~128|doi=10.1016/J.scientia+2007.06.005.|url=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04423807002099 |확인날짜=2015-03-31}}</ref>
일반적으로 소메이요시노([[:en:Prunus × yedoensis|en]])는 에도히간([[:ja:エドヒガン|ja]]) 계통의 벚나무와 일본 [[고유종]]의 오시마자쿠라([[:ja:オオシマザクラ|ja]])의 교배로 탄생한 품종이라고 알려져 있다.<ref name=Nakamura>{{저널 인용| author1=Satoshi Ohta| author2=Shinsuke Osumi| author3=Toshio Katsuki| author4=Ikuo Nakamura| author5=Toshiya Yamamoto| author6=YoIchiro Sato|title=Genetic characterization of flowering cherries (''Prunus'' subgenus ''Cerasus'') using ''rpl16-rpl14'' spacer sequences of chloroplast DNA| url=https://www.jstage.jst.go.jp/article/jjshs/75/1/75_1_72/_pdf | journal=園芸雑誌(J. Japan. Soc. Hort. Sci.)|year=2006|volume=75|issue=1|pages=72–78| accessdate=2011-04-06}}</ref><ref>[http://static-content.springer.com/esm/art%3A10.1007%2Fs11295-014-0697-1/MediaObjects/11295_2014_697_MOESM5_ESM.pdf Online Resource 5. Inferences, from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and STRUCTURE analysis, on the origins of Japanese flowering cherry cultivars] p.7 ‘Yedoensis’/染井吉野 (Cer194) 、STRUCTURE analysis (K = 11)、 Tree Genetics & Genomes
Volume 10, Issue 3(2014) , pp 477-487、30 Jan. 2014、Supplementary Material (5) 11295_2014_697_MOESM5_ESM.pdf (318KB)</ref><ref>{{웹 인용 |url=http://www.yomiuri.co.jp/e-japan/chiba/feature/chiba1230729646933_02/news/20090107-OYT8T00979.htm |제목=보관 된 사본 |확인날짜=2011년 6월 29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629023505/http://www.yomiuri.co.jp/e-japan/chiba/feature/chiba1230729646933_02/news/20090107-OYT8T00979.htm# |보존날짜=2011-06-29 |깨진링크=예 }}</ref><ref>http://www.jiji.com/jc/zc?k=201205/2012050500199</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