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슈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umkhe (토론 | 기여)
잔글 Corrected wrong information and some Hebrew transliterations
Mumkhe (토론 | 기여)
잔글 간단하고 기술적인 내용 첨가, 아람어 설명 수정, 수동태 문장 능동태로 교정
1번째 줄:
{{유대교}}
'''미쉬나''' ({{llang|he| משנה, 반복하다}})는 [[기원후 200년]]쯤에 예후다 한나씨(יהודה הנשׂיא / "대표자 예후다") 의해편찬했다고 정착되었으며전해지며, [[유대인]]들이 [[구전 토라]]로 전승해 온 내용을 최초로 기록으로 옮긴 것이라고 믿는다. 본문 내용은 [[바리새파]] 의해랍비들을 중심으로 진행된 주도되었으며법리논쟁이며, 서기 70에서 200년 사이로사이에 추정되는활동한 것으로 추정하는 [[랍비]] 현자들인 [[탄나임]](תנאים, 단수는 תנא 탄나)의 토론을 담고 있다.<ref>탄나임은 탄나의 복수형으로서, 미슈나에 기록된 랍비 현자들의 모음일 일컫는다. 탄나임은 시대를 나타내는 말로 쓰이기도 하며, 미슈나 시대와 [[주곳]](한 쌍)시대, 즉 [[아모라임]] 시대 이전이다. 탄나(תנא)는 아람어로 히브리어 "샤나"(שנה)에 해당하며 미슈나의 어원이다. 동사 샤나(שנה)는 문자적으로 "(배운 것을) 반복하다"라는 뜻이지만, "배우다"는 뜻으로 굳어지게 된다.</ref> [[랍비 문학]]에 속한 전통 문헌들 중에서 가장 먼저 기록되면서, 후대에 등장하는 토쎕타(תוספתא), 게마라(גמרא), 탈무드(תלמוד) 등의 전통이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지 길을 정해주는 역할을 하였다.<ref> 태평성대인 [[메길랏 타닛]]이 더 오래 되었으나, 탈무드에 의하면 별로 영향력이 없다고 한다.</ref> [[랍비 유대교]] 전통은 미쉬나를 기초로 발전하였으며, 미쉬나에 기록한 내용을 각각 시대에 맞도록 재해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3-5세기에 걸친 랍비들의 주석<ref>주로 아람어로 기록되었다.</ref>은 [[게마라]]라고 부르며(아람어로 "전통에마침"이라는 의한뜻인데 배움"을전통적인 뜻한다가르침을 암기하며 배운다는 말이다[Jastrow 255]), 미쉬나 본문과 게마라 주석을 합본한 문헌이 탈무드이다.
 
전통적인 유대교의 믿음에서는가르침에 따르면 [[구전 토라]] 또는 [[구전법]]은 [[하나님]]이 [[모세]]에게 [[시내산]]에서 주신 기록되지 않은 전통이며(미쉬나, 아봇 1, 1), 기록된 [[토라]]를 분명하게 하는가르치고 것이지만있지만 본문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내용으로 본다. 이러한 구전 전통은 장로들과 여호수아에게 전해졌고, 선지자들을 거쳐 유대 현인들에게 전해졌다는 것이다. 예후다 한나씨 랍비(미슈나에서는 단순히 "랍비"라고 나온다)가 이 전통을 미쉬나라는 형태로 정착시켰다고 한다. 이는 유대인의 세부적인 규율이 시간에 따라 잊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구조 ==
미쉬나는 쎄데르 6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쎄데르 안에는 마쎄흐톳이마쎄켓이 7-12개 있고, 각 마쎄흐톳은마쎄켓은 장과 미슈나욧으로미쉬나로 구별되어 있다. 그러니까 미쉬나는 책이름이면서 가장 작은 문단 하나를 부르는 이름이기도 하다. 미쉬나에 기록한 문구를 인용할 때는 차례로 미쉬나, 마쎄흐톳마쎄켓 이름, 장 번호, 미쉬나 번호를 쓰고, 쎄데르 이름은 생략한다.
 
"검, 칼, 단검, 창, 손-낫, 추수용 낫, 머리 집게, 분리되는 가위 같은 것들은 부정해질 수 있다. 요쎄 랍비는 손과 가까운 쪽은 부정해질 수 있고 머리와 가까운 쪽은 정결하다고 말했다. 둘로 분리되는 가위에 관해서 예후다 랍비는 부정해질 수 있다고 주장했고, 다른 현인들은 정결하다고 했다." (미쉬나, 켈림 13, 1)
11번째 줄:
쎄데르 여섯 개는:
 
*''[[제라임]]'' ("씨앗들"), 농업법과농업 관련법과 기도문들
*''[[모엣|모에드]]'' ("명절"), 안식일과 명절에 대한 법들
*''[[나쉼]]'' ("여자들"), 결혼과 이혼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