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180.224.79.41(토론)의 편집을 211.211.41.71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모두 지움
1번째 줄:
{{다른 뜻}}
{{한강 표}}
 
'''한강'''(漢江)은 [[대한민국]] [[강원도 (남)|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중부를 동에서 서로 관통해 [[경기도]] [[김포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의 경계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한국]]의 주요 하천이다. [[태백산맥]]의 금대봉 정상부 [[북쪽]] 비탈에서 발원하여 [[강화해협]] 부근의 어귀로 흘러가는 물줄기를 본류로 한다. [[대한민국]]의 관찬 자료집인 《한국하천일람》 2013년 판에 따르면 본류 총연장은 494[[킬로미터|km]]<ref name=hrfco /> 남짓이다.
 
한강 본류는 [[경기 지방|경기]]·[[관동 지방|관동]]·[[해서 지방|해서]]·[[호서 지방|호서]] 등 네 지방에 걸쳐 [[북한강]]·[[임진강]]({{문화어|림진강}}) 을 위시한 수백 개의 [[지류]]를 거느리고 있으며, 이 지류들을 기반으로 한강 수계는 [[한국]]을 지나는 모든 하천 수계망 중 두 번째로 넓은 빗물받이(35,770km², 한반도 전체 넓이의 약 1/6)를 가졌다. 길이(494km)로는 [[압록강]]·[[두만강]]·[[낙동강]]에 이어 [[한반도]]에서 네 번째,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길다.
 
==구간==
[[파일:태백검룡소.jpg|검룡소|섬네일]]
같은 한강 본류 중에서도 특정 구간만을 따로 떼어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런 경우, 그 지역의 큼직한 합수머리를 기준으로 구간을 나눈 경우가 많다.한강의 최장 발원천은 금대봉 북쪽 정상부의 '''고목나무샘'''(태백시 창죽동)에서 발원하며,<ref name=hrfco /> 이 물줄기는 '''금대봉골'''이라는 골짜기를 타고<ref name=san /> 산 중턱에 위치한 유명한 샘인 [[검룡소]]([[태백시]] 창죽동)까지 흘러내려온다. 한편, [[태백시|태백시청]]은 비록 검룡소가 고목나무샘보다 하류에 있긴 하나 금대봉골 유로 상에서 제일 큰 샘이라는 점을 들어, 검룡소가 한강의 발원지라고 홍보하고 있다.
 
 
한강이 충분히 커져 법적인 의미의 '하천'으로써 관리되기 시작하는 기점은 [[태백시]] 상사미동의 디디기벌 인근에 있으며, 여기서부터<ref group="주">검룡소~디디기벌 구간을 골지천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다만 하천법 상 '지방하천 골지천'의 기점은 검룡소가 아니라 디디기벌의 부정당마을로 설정돼 있다.</ref> [[아우라지]]로 유명한 [[송천]] 합류점([[정선군]] 여량면 여량리)까지의 구간을 '''골지천'''(骨只川)이라 한다. 이어 [[송천]] 합류점에서부터 [[동대천]] 합류점([[정선군]] 정선읍 가수리)까지의 구간은 '''조양강'''(朝陽江), 동대천 합류점에서부터 [[평창강]] 합류점([[영월군]] 영월읍 하송리)까지는 '''동강'''(東江), 평창강 합류점에서부터 [[북한강]] 합류점([[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까지의 구간은 '''남한강'''(南漢江)이라 일컫는다. 끝으로 [[임진강]] 합류점([[파주시]] 탄현면 성동리)에서부터 어귀까지는 '''조강'''(祖江)이라 한다.
 
== 한강의 역사 ==
[[파일:Prehistoric life-amsa exhibition.jpg|섬네일|left|암사동 선사유적지]]
[[구석기 시대]]부터 한강 유역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다. 포전리 [[점말 동굴]]과 단양군 애곡리 [[수양개 선사유적지]]가 한강의 대표적인 구석기 유적이다. 신석기 시대에는 본격적으로 사람들이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을축년 대홍수]] 때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선사유적지]]에서 신석기 유적이 발견되었다.
 
[[청동기 시대]]를 지나 백제를 비롯한 [[마한]]의 몇몇 소국이 한강에 자리를 잡았고, 그 중 [[하남 위례성]]에 도읍한 백제가 한강 일대를 차지하였고, 이후에는 고구려가 한강을 차지한다. 진흥왕 때에 신라는 한강을 차지한다. 이처럼 한강 유역을 소유하면 나라가 번영했다는 것에서 한강이 한반도에서 지리·인구·외교 등에서 훌륭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 초기에는 한반도를 띠처럼 둘렀다는 뜻으로 '''대수'''라 불렀다.<ref>[[반고 (후한)|반고]], 《[[한서]]》 제28권 ― 지리지.</ref> 그리고 [[고구려]]는 한강을 '''아리수'''<ref>[[광개토왕릉비]] 396년 기사</ref>, [[백제]]는 '''욱리하'''라 했다.<ref>《[[삼국사기]]》 25권 <백제본기> 제3 개로왕</ref> [[신라]]는 한강의 상류를 '''이하''', 하류를 '''왕봉하'''라 하였다.<ref>《[[삼국사기]]》 3권 <신라본기> 제3 자비마립간 11년 기사</ref>삼국사기에 의하면 이때 한강을 '''북독'''이라고 했다.
 
[[고려]] 시대에는 한강 유역 대부분을 [[고려의 행정 구역#5도 양계|양광도]]가, 그리고 [[북한강]] 유역은 [[고려의 행정 구역#5도 양계|교주도]]가 관할했고, [[고려의 행정 구역#3경|지방 3경]] 중 하나인 [[서울특별시|남경]]과 [[목 (행정 구역)|12목]] 중 광주목·충주목·청주목이 있었다. 당시 한강은 물줄기가 맑게 뻗어 내린다 하여 '''열수'''라 했고, 모래가 많아 '''사평도''', '''사리진'''이라고도 불렀다.
 
고려가 멸망하고 건국된 [[조선]]은 한강 유역의 한양에 도읍을 정했다. 한양으로 천도한 이유는 한강의 수운 조건과 [[풍수지리설]]의 영향 그리고 정치적 배경 때문인데, 당시에 한강이 교통이 편리하고 지리적으로도 좋은 곳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한양의 [[경창]]은 조세로 징수한 미곡과 포백을 운송하는 [[조운 (제도)|조운]]제도의 중심이 되었고, 9개의 [[조창 (기관)|조창]] 중에서 충주의 [[가흥창]]·원주의 [[흥원창]]·춘천의 [[소양강창]] 총 3개소가 한강 중류와 상류에 있었다. 한양 근처의 한강은 '''경강'''이라 했는데 조운을 통해 경강에 많은 상인이 모이며 하나의 경제권이 형성되었다. 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서울 강'''(Seoul river)이라는 표현이 외국 문헌에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한강 곳곳에 [[진 (군사)|진]]을 설치하고 수비하게 하였다.
[[파일:Hangang Railway Bridge.jpg|섬네일|[[한강철교]]와 [[한강대교]]]]
조선 말에는 [[병인양요|프랑스]]와 [[신미양요|미국]]이 한강과 [[강화도]]에 침입했고, 개항을 한 후에는 [[증기선]]이 한강에서 운항하기도 하였다. [[1900년]]에는 한국 최초의 근대식 철교인 [[한강철교]]가 완공되었고, [[1916년]]에는 최초의 [[한강대교|인도교]]가 가설되었다. [[1912년]], [[1920년]], [[1925년]]에는 큰 홍수가 났었는데, 특히 1925년의 [[을축년 대홍수]]로 인해 한강 유역이 수몰되는 등의 큰 피해를 입었다.
 
광복 후에는 [[한국 전쟁]] 때 [[한강철교]]와 [[한강대교|인도교]]가 파괴되었고, 이후 재건되었다. [[1970년]]에는 잠실지역의 [[하중도]]를 육지로 만드는 공사가 시작되어 육지와 연결됐고, 잠실지역이 개발되었다.<ref>{{뉴스 인용
|저자 =
|제목 = 영동, 잠실지구 개발
|url = 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061600329208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0-06-16&officeId=00032&pageNo=8&printNo=7598&publishType=00020
|출판사 = 경향신문
|날짜 = 1970-06-16
|확인날짜 = 2010-02-19
}}</ref> 이 과정에서 남류하던 흐름을 끊으면서 [[우각호|하적호]]인 [[석촌호수]]가 생겨났다.<ref>{{뉴스 인용
|저자 =
|제목 = 잠실종합 개발 확정
|url = 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80100099201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4-08-01&officeId=00009&pageNo=1&printNo=2589&publishType=00020
|출판사 = 매일경제
|날짜 = 1974-08-01
|확인날짜 = 2010-02-19
}}</ref>
 
근대화·산업화로 당시 한강의 수질은 심각하게 악화되었다. 이에 [[한강종합개발사업]]을 통해 [[한강시민공원|공원]]을 조성하고 [[올림픽대로]]가 만들어지고 수질을 개선시켰다. 이후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수중보인 [[잠실보]]와 [[신곡보]]가 건설되었다.<ref>{{뉴스 인용
|저자 =
|제목 = 한강 종합계발 준공
|url = 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091000099201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6-09-10&officeId=00009&pageNo=1&printNo=6316&publishType=00020
|출판사 = 매일경제
|날짜 = 1986-09-10
|확인날짜 = 2010-02-19
}}</ref>
 
[[2007년]]에 서울시는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한강에서 [[수상택시]] 운영이 이뤄지고 있고, 공원 조성사업으로 [[한강공원]]의 개발사업 등이 이뤄지고 있다.<ref>{{뉴스 인용
|저자 = 김선일
|제목 = 여의도 한강공원 1년 만에 준공
|url =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498614&sid=E&tid=2
|출판사 = 내일신문
|날짜 = 2009-09-25
|확인날짜 = 2010-02-12
}}{{깨진 링크|url=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498614&sid=E&tid=2 }}</ref>
 
최근, 정부에서 한강에 [[경인운하]]·[[한반도 대운하]] 등을 건설하여 수운을 이용한 교통체계를 마련하려고 하나, 효율성 등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ref>{{뉴스 인용
|저자 = 김병국
|제목 = 경제성없는 경인운하, 정책적으로 강행
|url =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498614&sid=E&tid=2
|출판사 = 내일신문
|날짜 = 2009-01-15
|확인날짜 = 2010-02-19
}}{{깨진 링크|url=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498614&sid=E&tid=2 }}</ref>
 
== 이름 ==
 
한강에 한은 삼한을 가르키는 한이며 "크다"라는 뜻이다. 글자가 없던 시절에 한자를 빌려 (漢江)또는 (韓江)이라고 불렀다. 고구려가 불렀던 이름 '아리수'의 '아리'와 백제가 불렀던 이름 '욱리하'의 '욱리'는 같은 어원을 가진 말을 한자의 음을 빌려 표기하는 과정에서 생긴 차이로 보인다. 현재 한국어의 '으리으리하다'의 '으리'와 같은 어원으로서 '크다'의 뜻을 가진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는 한강의 '한' 역시 크다는 뜻이므로 가능성이 있는 주장이다. 한자로 된 우리 지명도 그 어원은 대부분 순우리말인 경우가 많다.
 
한강의 이름은 그 지역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은데, 송파 부근의 한강을 [[송파강]]이라 하던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나 그 지역은 예전에는 섬이었기 때문에 더더욱 구분하며 부른 것으로 보인다. 한강을 부르는 이름은 모든 지류를 통틀어 말하거나 [[양수리]]와 한강 하구 사이의 한강 본류를 일컫는 경우가 많다.
 
한강을 기록한 문헌은 [[삼국사기]]·[[동국여지승람]]·[[연려실기술]]·[[세종실록지리지]]·[[고려사|고려사지리지]]·[[팔도지리지]]·[[택리지]] 등이다.
 
영어 명칭은 ''Han River''이다.
 
== 지형과 지질 ==
한강 유역은 주로 산계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해발 300m에서 500m 사이 높이의 산이 주로 분포한 [[저산성 구릉지]]에 속한다. 한강의 지류들은 보통 [[수지상 하계망]]을 이루지만 [[가평]]·[[춘천]] 등지의 [[경춘가도]] 부근 등에는 [[단층]]에 의한 [[직각상 하계망]]이 발달해 있다.
 
한강 유역의 대부분은 [[경기 육괴]] 지역에 속하며, 남한강 일부는 [[옥천지향사대]]에 속한다. 화성활동으로 [[북한산]]부터 [[철원]] 사이의 [[광주산맥]] 부근과 [[관악산]]에는 [[화강암]] [[저반]]이 발달하였다. [[양수리]]부터 하류 사이의 서울 지역은 [[연천계]] [[편암]]과 [[편마암]] 그리고 [[중생대]] 말기의 [[불국사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강 남쪽에서부터 동북 쪽으로는 [[준편마암]]류와 [[편암]]류의 암석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남한강]]을 비롯한 [[차령산맥]] 부근은 [[화강암]]이 발달했는데, 불국사 화강암과 함께 [[쥐라기]]의 [[대보화강암]]이 옥천지향사대를 중심으로 널리 퍼져있다.
 
[[충적층]]은 한강의 상류에서 평균 5.29m, 중류에서 5.97m, 하류에서 6.95m의 두께로 나타났다.
 
== 지류 ==
{{참고|북한강|임진강}}
한강에는 다른 곳에서 온 많은 하천들이 합쳐져 흘러 들어온다. [[남한강]]은 한강의 본류이며, [[북한강]]은 [[경기도]] [[양평군]]의 양수리에서 한강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한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 발원지~양수리까지의 구간 ===
* [[골지천]](한강의 발원천이다.)
** [[임계천]]
** [[송천]]
* [[오대천]]
* [[어천]]
* [[지장천]]
* [[석항천]]
* [[평창강]]
** [[속사천]]
** [[흥정천]]
** [[대화천]]
** [[계촌천]]
** [[주천강]]
** [[쌍용천]]
** [[문곡천]]
* [[옥동천]]
* [[어곡천]]
* [[매포천]]
* [[죽령천]]
* [[단양천]]
* [[제천천]]
** [[장평천]]
** [[원서천]]
* [[광천]]
* [[동달천]]
* [[달천]]<sup>*</sup>
** [[음성천]]
** [[요도천]]
* [[한포천]]
* [[섬강]]<sup>*</sup>
** [[금계천]]
** [[전천]]
** [[원주천]]
** [[일리천]]
** [[서곡천]]
* [[청미천]]<sup>*</sup>
* [[금당천]]
* [[양화천]]
* [[복하천]]<sup>*</sup>
* [[흑천]]
* [[북한강]]<sup>*</sup>
 
=== 양수리 이후의 구간 ===
; 경기도 동부 합류
* [[정암천]]
* [[경안천]]<sup>*</sup>
** [[오산천]]
** [[곤지암천]]
** [[번천]]
** [[우산천]]
* [[산곡천]]
* [[월문천]]
* [[왕숙천]]
** [[사릉천]]
** [[용암천]]
; 서울특별시 합류
[[파일:Jungnangcheon meets Han, seen from Donghodaegho.jpg|섬네일|180px|중랑천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
* [[성내천]]
* [[탄천]]
** [[양재천]]
* [[중랑천]]<sup>*</sup>
** [[부용천]]
** [[우이천]]
** [[청계천]]
* [[반포천]]
* [[홍제천]]
* [[불광천]]
* [[안양천]]<sup>*</sup>
** [[목감천]]
** [[도림천]]
*** [[대방천]]
*** [[봉천천]]
* [[고덕천]]
; 경기도 서부 합류
[[파일:Imjingang 20080810.jpg|섬네일|250px|임진강]]
* [[창릉천]]
* [[굴포천]]
* [[계양천]]
* [[봉성포천]]
* [[장월평천]]
* [[공릉천]]<sup>*</sup>
* [[임진강]]<sup>*</sup>
** [[마거천]]
** [[황공천]]
** [[한탄강]]
** [[간파천]]
** [[사미천]]
** [[눌노천]]
** [[문산천]]<sup>*</sup>
 
<sup>*</sup> 국가하천으로 지정된 지류
 
== 교통 ==
=== 양수리 이후 구간의 다리 ===
지금까지 한강을 가로지르는 여러 다리가 건설되었다. 하류에서 상류 순으로 다음과 같다. 현재까지 한강의 양수리 이후 구간에 있는 다리는 모두 27개이다. 대부분이 자정, 또는 오전 1시까지 야간 조명을 밝힌다.<ref>{{뉴스 인용
|저자 = 최명애
|제목 = [트래블] 겨울, 도시, 불빛 순간을 가두다
|url = http://news.khan.co.kr/section/khan_art_view.html?mode=view&artid=200712270912531&code=900306
|출판사 = 경향닷컴
|날짜 = 2007-12-27
|확인날짜 = 2007-12-27
}}</ref>
* [[일산대교]]
* [[김포대교]]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행주대교]] (구행주대교, 신행주대교)
* [[방화대교]]
* [[마곡철교]] ({{한국 도시철도|AR}})
* [[가양대교]]
* [[성산대교]]
* [[양화대교]]
[[파일:Yanghwa Bridge.jpg|섬네일|양화대교]]
* [[당산철교]] ({{한국 도시철도|SM2}})
[[파일:Dangsan Railway Bridge.jpg|섬네일|당산철교]]
* [[서강대교]]
* [[마포대교]]
* [[원효대교]]
* [[한강철교]] ({{한국 도시철도|SM1}})
* [[한강대교]]
* [[동작대교]] ({{한국 도시철도|SM4}})
[[파일:Dongjak Bridge.jpg|섬네일|동작대교]]
* [[반포대교]], [[잠수교]]
[[파일:반포&잠수.jpg|섬네일|반포대교와 잠수교]]
* [[한남대교]]
* [[동호대교]] ({{한국 도시철도|SM3}})
[[파일:Donghodaegyo 1.jpg|섬네일|동호대교]]
* [[성수대교]]
* [[영동대교]]
* [[청담대교]] ({{한국 도시철도|SM7}})
* [[잠실대교]]
* [[잠실철교]] ({{한국 도시철도|SM2}})
* [[올림픽대교]]
* [[천호대교]]
* [[광진교]]
* [[구리암사대교]]
* [[강동대교]]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미사대교]] ([[서울양양고속도로]])
* [[팔당대교]]
* [[팔당댐|팔당댐 관리교]] (제한통행:휴일 및 휴일 전일 오후6시 이후만 한시적 가능, 화물차 및 이륜차, 보행자 통행불가)
 
한강을 가로지르는 횡단 교량이 아닌 강변을 통과하는 종단 교량이 있다.
* [[서호교]] (강 북단)
* [[노량대교 (서울)|노량대교]] (강 남단)
* [[아차산대교]] (강 북단)
* [[덕소강변대교]] (강 북단)
* [[배알미대교]] (강 남단)
 
[[여의도]] 남단을 통과하는 한강의 [[샛강]]에는 세 개의 다리가 있다.(강 상류~하류 순으로 나열)
* [[여의 1교]]
* [[서울교]]
* [[여의 2교]]
 
강 내부의 [[하중도]]와 육지를 연결하는 다리가 있다.
* [[선유교]] (강 남단과 [[선유도공원]]을 연결한다)
* [[서래1교]] (강 남단과 [[서래섬]]을 연결한다)
* [[서래2교]] (강 남단과 [[서래섬]]을 연결한다)
* [[서래3교]] (강 남단과 [[서래섬]]을 연결한다)
 
=== 도로 및 지하철 ===
서울에서 한강의 북쪽과 남쪽에는 각각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가 건설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1]]·[[서울 지하철 2호선|2]]·[[수도권 전철 3호선|3]]·[[수도권 전철 4호선|4]]·[[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인천국제공항철도]]는 [[철교]]를 통해,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과 [[분당선]]은 [[하저 터널]]을 통해 한강 본류를 관통하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은 [[북한강]]을 철교로 가로지른다. 이외의 지하철 노선들은 한강 본류를 관통하지 않지만 지하철 8호선과 신분당선은 한강 본류를 관통할 예정이다.
 
== 한강시민공원 ==
{{본문|한강시민공원}}
 
한강을 옛날과 같이 깨끗한 강으로 되살리자는 목표로 1982년부터 현재까지 서울지역 41.5km의 구간(강일동-개화동)을 살아있는 강으로 변화시킨 공원이다. 아울러 강변에 시민 휴식공원과 축구장·배구장·농구장·수영장 등 각종 체육시설과 수상스키장·요트장·보트장·낚시터·주차장 등을 갖추어, 시민들이 오락·휴양지로 이용할 수 있게 했다. 그 밖에 자전거 도로 및 산책로가 한강을 따라 개설되었으며<ref>{{뉴스 인용
|저자 =
|제목 = 자전거 산책도로 2백50리 조성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814639
|출판사 = 연합뉴스
|날짜 = 1994-08-02
|확인날짜 = 2012-09-05
}}</ref> 한강 접근을 쉽게 하기 위해 주요다리에 승강기가 설치되고 있다.<ref>{{뉴스 인용
|저자 =
|제목 = 서울시 수영장 전면 리모델링
|url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8/16/2012081600090.html
|출판사 = 조선일보
|날짜 = 2012-08-16
|확인날짜 = 2012-09-05
}}</ref> 또한 6개의 교량에는 한강전망카페가 설치되어있다.
 
== 갤러리 ==
<gallery widths="180px" perrow="3">
파일:Seoul hanriver nightscape01.jpg|한강의 야경
|반포대교의 달빛무지개분수
파일:Seogang Bridge and Bukhansan from Bamseom.jpg|[[서강대교]]와 뒤로 보이는 [[북악산]]
파일:Olympic Bridge on Hangang river Seoul Korea.jpg|[[올림픽대교]]의 모습
파일:Looking east along the north bank of the Han from Seogang Bridge.jpg|[[서강대교]] 북단에서 동쪽으로 바라본 한강의 모습
파일:Bicycle path of Han River, Seoul.JPG|한강의 자전거도로
파일:한강경찰대_망원한강치안센터.JPG|망원한강치안센터
</gallery>
 
== 파노라마 ==
[[파일:Han-gang in Seoul panonama.jpg|섬네일|center|600px|한강의 파노라마 사진]]
[[파일:Panoramic View from 63 Building in Seoul - panoramio.jpg|섬네일|center|600px|63빌딩에서 본 한강의 파노라마 사진]]
{{-}}
 
== 관련 작품 ==
=== 드라마 ===
* [[아스팔트 사나이]] ([[1995년]])
*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드라마)|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2010년]])
* [[국가가 부른다]] ([[2010년]])
* [[자이언트]] ([[2010년]])
* [[황금의 제국]] ([[2013년]])
=== 영화 ===
* [[괴물 (2006년 영화)|괴물]] ([[2006년]])
 
== 같이 보기 ==
{{위키문헌|한강 르네상스}}
* [[한강의 기적]]
* [[도시계획]]
* [[경인 아라뱃길]]
 
==각주==
;내용주
{{각주|group=주}}
 
;참조주
{{각주}}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https://web.archive.org/web/20130414092606/http://hangang.seoul.go.kr/ 서울특별시 한강사업본부]: "한강이야기" 메뉴에서 한강의 역사, 발원지, 문화유적, 다리에 대해 읽어볼 수 있다.
* [http://stock.moneytoday.co.kr/view/mtview.php?no=2007071111461302043&type=1&EVEC 한국의 베니스로! 한강르네상스], 《머니투데이》, 2007.7.14.
* [http://www.icnb.co.kr/category/read.html?bcode=2147&hcode=9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시행 1년 성적표]{{깨진 링크|url=http://www.icnb.co.kr/category/read.html?bcode=2147&hcode=9 }}, 《CNB저널》, 2008.7.7.
*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902270086 한강다리 20곳 조명시설 개선], 《동아일보》, 2009.2.27.
* [https://web.archive.org/web/20070706113754/http://csm.seoul.go.kr/renew/bridge/bridge_0101.html 한강다리의 어제와 오늘]
{{한강의 다리}}
{{국가하천}}
{{서울특별시의 하천}}
 
{{전거 통제}}
[[분류:한강| ]]
[[분류:한강 수계|*]]
줄 331 ⟶ 9:
[[분류:인천광역시의 하천]]
[[분류:대한민국의 국가하천]]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