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공동위원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대한민국 선포 추가
73번째 줄:
결국 1947년 10월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마저도 성과 없이 결렬되고 해산되었다. [[미국]]이 [[한반도]] 문제를 UN 소총회로 이관함으로써 남북의 분단은 가속화 되었고 결국 남한과 북한은 각각 단독정부 수립 확정에 이르게 되었다. 미소공동위원회 해산이후 한반도의 정부수립 문제는 미국 주도의 국제연합으로 논의의 장이 옮겨졌고 1947년 11월 14일 유엔은 유엔 감시하의 남북총선거를 가결하였다. 그러나 남한에 비해 인구가 적은 북한이 불리하다고 판단한 소련은 결의안을 거부하였다.<ref name=autogenerated1 />
 
이후 1948년 5월 10일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위한 총선거가 남한 단독으로 실시되었다. 그러나, [[김구]] 등이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하여 불참하였고 [[제주도]]에서는 4월 3일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하는 남로당이 폭동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한편,[[8월 15일]] 남한에서는 [[대한민국]]을 선포하였고 북조선에서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선포하여 남북의 분단은 고착화 되었다. 이러한 분단은 결국 [[한국전쟁]]이라는 비극의 도화선이 되었다.<ref>역사학연구소, 같은책, 294 - 296쪽</ref>
 
남북 분단은 1945년 9월 초 스탈린이 하바로프스크 [[제88국제여단 (소련)|88여단]]에서 5년간 교육시킨 진지첸(김일성) 대위를 모스크바로 불러 면담하고 그를 소련이 점령한 북한 지역의 지도자로 내정한 순간에 이미 결정된 것이었다.<ref name="vasil">비록(秘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상, 하 2권 (중앙일보 특별취재반, 중앙일보사, 1992) - 하권 pp.202~204 ;<br/>김국후, 평양의 소련군정 (한울 아카데미, 2008) pp.72-73</ref><ref>평양 소련군정 요원이었던 [[그리고리 메클레르]]도 김일성이 귀국전 스탈린의 면접심사를 받은 것을 증언했다 : [http://dlps.nanet.go.kr/SearchDetailView.do?cn=KINX1992016048&sysid=nhn 김일성정권 내가 만들었다; 소련군 정치장교 G .메크레르의 증언 <對談> / 메크레르,G·惠谷治] 極東問題. 159('92.5) pp.48-58. 極東問題硏究所<br>[http://www.freerepublic.com/focus/f-news/1182674/posts Kim Il Sung's Soviet Image-Maker] Moscow Times 07/22/2004</ref> 이어 9월 20일에 스탈린은 북한에 부르조아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라는 비밀지령을 내려보냈는데<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208685 (제40회 이승만 포럼) 스탈린 지령문 "북한에 소련체제 이식은 이렇게 하라"] NewDaily 2014.6.24 ; <br/>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22600209206008&edtNo=1&printCount=1&publishDate=1993-02-26&officeId=00020&pageNo=6&printNo=22097&publishType=00020 "북한(北韓)에 부르주아 민주정권(民主政權) 수립" 스탈린, 점령(占領) 소련군(蘇聯軍)에 비밀지령 문서 50년만에 공개] 1993.02.26. 동아일보 6면</ref>, 그 후의 소련 군정의 정책은 이 지령의 실행에 촛점이 맞추어져 진행되었다. 소련은 미소공동위원회가 시작되기도 전인 1946년 2월 9일 북한에 사실상 정부인 김일성을 위원장으로 하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를 출범시키고, 3월 5일에 [[토지개혁]]을 단행하는 등 이미 남북의 이질화가 상당히 진행되어 통일정부 수립은 사실상 불가능해져 있었다. 그 후의 신탁통치 논란이나 미소공동위원회의 논의 등은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 올 수 없는 남북간, 미소간의 신경전 수준이고, 소련의 북한 분할 계획은 처음부터 스탈린이 예정했던 수순으로 진행되어 간 것이다. 소련은 북한 지역에 국민들의 동의없이 자신들의 대리인 김일성을 집권자로 내세워 공산체제를 구축해 나가면서 이에 반대하는 그 어떤 세력도 용납하지 않았다. 미군정이 소련과 달리 좌우 여러 정파들과 언론의 활동을 허용하고 있는 남한의 상황을 악용하여 혼란과 갈등을 조장하고 정부수립을 지연시키거나 방해하는 것이 대화에 나서는 목적이었으므로 미소공동위원회의 파행은 예정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