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원 (1831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완림군 이재원'''(完林君 李載元, [[1831년]] [[10월 13일]] ~ [[1891년]] [[2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자는 순팔(舜八), 시호는 효정(孝貞),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이다. [[대한제국 고종|고종]]과 [[흥친왕]]의 사촌 형이며, [[대한제국 순종|순종]]의 당숙이다. [[1853년]]([[조선 철종|철종]] 44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올라 삼사와 성균관 대사성을[[대사성]]을 지내고, [[조선 고종|고종]] 즉위 후 [[도승지]], [[대사헌]], [[이조]][[참판]], [[예조]]와 [[형조]]의 판서 등을 역임했다. [[1874년]] [[흥선대원군]] 실각 후에도 계속 관직에 있었고, [[1884년]] [[갑신정변]] 당시에는 한때 [[영의정]]에 임명되기도 했다.
{{출처 필요|날짜=2013-12-11}}
'''완림군 이재원'''(完林君 李載元, [[1831년]] [[10월 13일]] ~ [[1891년]] [[2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자는 순팔(舜八), 시호는 효정(孝貞),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이다. [[대한제국 고종|고종]]과 [[흥친왕]]의 사촌 형이며, [[대한제국 순종|순종]]의 당숙이다. [[1853년]](철종 4)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올라 삼사와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고, [[조선 고종|고종]] 즉위 후 [[도승지]], [[대사헌]], [[이조]][[참판]], [[예조]]와 [[형조]]의 판서 등을 역임했다. [[1874년]] [[흥선대원군]] 실각 후에도 계속 관직에 있었고, [[1884년]] [[갑신정변]] 당시에는 한때 [[영의정]]에 임명되기도 했다.
 
그는 생전에는 일반 문신이었지만 사후 사도세자가 왕으로 추존되면서 왕족으로 편입되었다. 그는 [[조선 숙종|숙종]]의 서3남 [[연령군]]의 후손으로 [[조선 장조|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증손이며, [[흥녕군]] [[이창응]](興寧君 李昌應)의 양아들로 [[계동궁]](桂洞宮) 사손(嗣孫)이었다. 문신으로 일생을 마쳤으나 [[1898년]] 고조부 [[조선 장조|장조]]가 사도세자에서 왕으로 추봉되면서 왕족에 편입되어 사후 완림군으로 추봉되었다.
줄 6 ⟶ 5:
==생애==
=== 생애 초반 ===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 휘는 재원(載元), 자는 순팔(舜八)이다. [[조선 장조|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증손이며, [[남연군]] 이구(南延君 李球)의 손자이며, [[고종황제]]의 종형이다. 아버지는 [[흥녕군]] [[이창응]](興寧君 李昌應)이며, 생부는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이다. 본래는 [[조선 인조|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의 후손이었으며 호적상으로는 능창대군의 후손이 된다. 그러나 할아버지 [[남연군]] 이구가 순조 때, 아들 없이 사망한 [[은신군]]의 양자가 되면서 왕족이 되었다. [[은신군]]은 사도세자의 셋째 서자로 친왕손이었으나, [[조선 숙종|숙종]]의 서3남 [[연령군]]의 양자 [[낙천군]]이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그의 양자가 되면서 다시 연령군의 후손도 된다. 부인은 정경부인 청송심씨와[[청송 심씨]](貞敬夫人 靑松沈氏)와 정경부인 [[수원 김씨]](貞敬夫人 水原金氏)이다. 특히, 심우영(沈愚永)의 딸인 정경부인 [[청송 심씨]]는 [[조선 효종|효종]]의 부마 청평도위 [[심익현]](靑平都尉 沈益顯)의 5대손으로 [[조선 고종|고종]] 때 내무독판을 지내고 [[일제 강점기]] 때 자작을 하사받은 [[민영휘]]의 이모이다.
 
[[음서 제도|음서]]로 관직에 올랐다. [[1848년]]([[조선 헌종|헌종]] 1515년) [[5월]] 영릉참봉(英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1개월만에 사퇴하였다. [[1850년]] [[12월]] 선릉참봉(宣陵參奉)에 임명되었다.
[[1853년]](철종 44년) [[2월]] [[조선 철종|철종]]이 친히 춘당대(春塘臺)에서 주관한 응제 때, 부(賦)에서 1등하였으므로 특별히 직부전시<ref>초시, 복시에 응시하지 않고 바로 대과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지는 것</ref>의 명을 받았다. 또한 철종은 그가 [[은신군]] 가문의 사람이라는 것을 보고알고 겹경사라 하여 [[은신군]] 사판에 승지를 보내 치제하게 했다.
 
=== 관료 생활 ===
[[1853년]](철종 44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로 급제, [[1854년]] 사헌부 지평이 되고, [[1855년]] 사헌부 사헌부장령이장령이 되었다. 이후 [[홍문관]] 응교, [[1857년]] 홍문관 교리, [[성균관]] 사성을 거쳐 빈전 도감 당상(殯殿都監堂上)이 되었다. 이후 [[성균관]] 대사성 등을 지내고 [[1863년]] 3월 이조참의가 되었다. 그해 7월 성균관 대사성을[[대사성]]을 거쳐 그해 말 행 호군(行護軍)으로 전임되었다.
 
[[조선 고종|고종]] 즉위 후 흥선대원군이[[흥선대원군]]이 집권하자 중용되어 [[1864년]](고종 11년) 1월 동지경연사(同知經延事)로 승진, [[1월 12일에는12일]]에는 승진 기념으로 자신의 집안에 내려오던 면세전(세금이 면제된 토지) 임금에게 바쳤다. 그러자 바로 행 [[승정원]] [[도승지]]에 임명되었다.
 
이후 그해 3월 [[승정원]] [[도승지]]·[[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 [[4월]] [[종친부]] 유사당상·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이조참판을 거쳐 [[1864년]] [[홍문관]] 부제학 · 동지[[춘추관]]사 · [[규장각]] 직제학을 역임하고, [[1865년]] 1월 다시 도승지가[[도승지]]가 되었다가 [[규장각]] 직제학을 거쳐 65년[[1865년]] 8월 공조판서가 되었다. 9월에는 연생전(延生殿)의 서사관이 되었다. 그 뒤 예조판서·형조판서를 거쳐 [[1866년]] 한성부판윤으로 부임하였다.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 이조판서·공조판서·[[의정부]] [[우찬성]]을 역임하였다. [[1867년]] 예조판서가 되었다. [[1868년]]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경복궁]]을 중건 할 때에는 종정경으로 영건도감제조(營建都監提調)를 겸임하였다. 그 뒤 외직인 수원부유수로수원부 유수로 나갔다가 되돌아와 [[1871년]] 이조판서·판의금부사·병조판서 등을 지내고 다시 한성부판윤으로 나아갔다.
 
[[1874년]] [[11월]] 숙부 [[흥선대원군]]이 실각하였으나 이재원은 별다른 정치색을 드러내지 않았으므로 계속 관직에 있을 수 있었다. [[1876년]] 평안도 관찰사, 이어 경기도 관찰사 · 광주부유수광주부 유수 · 강화부유수강화부 유수 등 외직을 전전하였다. [[1879년]] 공조판서가 되고 [[1880년]] 예조 판서, 판돈녕부사를 거쳐 [[1881년]] 초 다시 강화부유수로강화부 유수로 나갔다가 그 해에 통리기무아문의 개편에 따라 군무사당상경리사(軍務司堂上經理事)에 임명, 교련국(敎鍊局)에 배치되어 신식 군사 훈련을 담당하였다. [[1882년]] 이조판서를 거쳐 [[1884년]] 병조판서가 되었다.
 
=== 생애 후반 ===
[[1884년]] 초 이조판서를 거쳐 병조판서에 임명되었다. [[1884년]] 10월 [[갑신정변]] 때 그는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등과 내통하지는 않았지만 왕실에 호의적이었던 일부 개화파에 의하여 [[좌의정]]에 임명되고, 곧 [[영의정]]에 추대되었다. 그러나 3일만에 정변이 실패하면서 관직을 사퇴하였다. 그러나 [[갑신정변]] 때 영의정에 추대된 일은 처벌받지 않았고, 곧 척신영의정 [[심순택]]과 [[여흥 민씨]] 외척을 중심으로 하는 수구파 정부에정권에 의하여 이조판서에 임용되었다. [[1885년]] 독판내무부사(督辦內務府事), [[1887년]] 7월에는 예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불응하여 한때 [[경기도]] [[평택시|평택현]]에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나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에 제수되었다. [[1887년]]에는 [[흥선대원군]]의 사주를 받은 신기선(申箕善)이 고종을 이어시키려 하자 그에 연루되었으나 혐의점이 없어 추국을 받지는 않았다.
 
[[1887년]] 9월 석방되어 다시 판돈녕부사에 임명되었으나 쉽게 응하지 않았다. [[1888년]] [[4월]] 교태전(交泰殿)의 현판 서사관(懸板書寫官)이 되었다. 그해 7월 [[이조판서]]를 거쳐 그해 [[한성부 판윤]]으로 나갔고, [[1890년]] 11월 판의금부사를 거쳐 [[1891년]] 종정경, 판돈녕부사에 이르렀다. 그해 2월 병세가 위독하여 왕이 어의(御醫)를 시켜 약물을 보내 간호하게 하였으나, 차도가 없이 그해 [[2월 19일에19일]]에 사망하였다. 저서로는 《입조록 (立朝錄)》이 있다. 사망 당시 그의 나이 향년 61세였다.
 
=== 사후 ===
[[1891년]] 3월 효정(孝貞)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1898년]] 고조부 [[조선 장조|사도세자]]가 왕으로 추존되면서 왕의 자손 4대를 승습하는 제도에 의하여, [[1899년]] [[9월 21일]] 군의 작위를 받고 완림군(完林君)으로 추봉되었다. [[1899년]] [[상보국숭록대부]]에 추증되었다.
 
시신은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압구정([[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계좌에 안장되었다.
줄 44 ⟶ 43:
*어머니(생 계모): 순천박씨([[1818년]] [[2월 3일]] - [[1888년]] [[8월 7일]]), 박해익(朴海翊)의 딸, 생전에 군부인에서 [[정경부인]]의 봉작을 받았다.
** 양 동생: [[완순군]] [[이재완]](完順君 李載完, 1855년 ~ 1922년)
*부인: 정경부인 청송심씨[[청송 심씨]](貞敬夫人 靑松沈氏, [[1831년]] [[1월 7일]] - [[1877년]] [[11월 17일]]), 판서 심우영(沈愚永)의 딸, [[조선 효종|효종]]의 부마 청평도위 [[심익현]](靑平都尉 沈益顯)의 5대손, [[민영휘]]의 이모
**딸: 이씨
**사위: 심상만(沈相萬)
**딸: 이씨
**사위: 조준호(趙駿鎬)
*부인: 정경부인 수원김씨[[수원 김씨]](貞敬夫人 水原金氏, [[1859년]] [[1월 15일]] ~ ?), 감역 김기헌(金基憲)의 딸
**딸: 이씨
**사위 : 신일균(申一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