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빛내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odie4u (토론 | 기여)
잔글 출처 표시
LegoITSV (토론 | 기여)
44번째 줄:
 
== 생애 ==
김빛내리 박사는 microRNA의 생성 경로를 밝힌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2002년에 microRNA의 생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고, 이어 microRNA의 생성인자인 드로셔 (Drosha), DGCR8, RNA 전사효소 II, PACT 등을 동정하였다. 김 박사의 연구는 microRNA를 통한 유전자 및 세포 조절을 이해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고, RNA간섭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배아줄기세포에서 만들어져 줄기세포 유지를 도와주는 microRNA를 발견하였으며, 줄기세포에서 microRNA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밝힘으로써, 줄기세포의 유전자 조절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암세포의 성장과 사멸을 조절하는 microRNA를 발견하여 암생물학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김빛내리 박사는 1998년 옥스퍼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으며, 박사학위과정에서는 레트로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치료법을 개발하였다. 이후 미국 펜실바니아대학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서 일하면서, 스플라이싱과 RNA 분해를 이어주는 연결고리인 Y14의 기능을 밝혔다. 2001년 서울대에 부임한 후 microRNA 연구를 시작으로 RNA를 통한 유전자 조절을 연구하고 있다. 2008년에는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을 수상했다.<ref>{{웹 인용|url=http://portal.unesco.org/en/ev.php-URL_ID=42017&URL_DO=DO_TOPIC&URL_SECTION=201.html|제목=L’OREAL-UNESCO Awards 2008 40 women scientists from around the world sign the Charter of Commitment “For Women in Science”|확인날짜=2019-03-08}}</ref> 2010년 국가과학자 및 서울대학교 중견석좌교수로 선정되었고 2012년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장으로 선정되어 현재 기초과학연구원 RNA연구단장 및 서울대학교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br>
 
== 수상 ==
김빛내리 박사는 1998년 옥스퍼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으며, 박사학위과정에서는 레트로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치료법을 개발하였다. 이후 미국 펜실바니아대학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서 일하면서, 스플라이싱과 RNA 분해를 이어주는 연결고리인 Y14의 기능을 밝혔다. 2001년 서울대에 부임한 후 microRNA 연구를 시작으로 RNA를 통한 유전자 조절을 연구하고 있다. 2008년에는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을 수상했다.<ref>{{웹 인용|url=http://portal.unesco.org/en/ev.php-URL_ID=42017&URL_DO=DO_TOPIC&URL_SECTION=201.html|제목=L’OREAL-UNESCO Awards 2008 40 women scientists from around the world sign the Charter of Commitment “For Women in Science”|확인날짜=2019-03-08}}</ref> 2010년 국가과학자 및 서울대학교 중견석좌교수로 선정되었고 2012년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장으로 선정되어 현재 기초과학연구원 RNA연구단장 및 서울대학교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br>
2004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마크로젠 신진과학자상을 수상하였으며 2006년 같은 학회 여성과학자상을 수상하였으며 같은 년도에는 [[서울대학교의 역사|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연구상을 수상하였다. 2007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과학기술부 젊은과학자상을 수상하였고 같은 해에 톰슨사이언티픽사 논문인용상을 수상했고 [[과학기술부]]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을수상하기도 하였다. 2008년에는 L'Oreal-UNESCO 세계여성과학자상을 수상하였고 1년뒤인 2009년에는 [[호암재단]] 호암상 의학부문에서 수상을 하였다. 2010년에는 [[아모레퍼시픽]] 여성과학자상 과학대상을 수상했다. 2013년에는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관악대상 영광부문에서 수상했고 같은 해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상했고 S-Oil 과학문화재단 S-Oil 올해의 선도과학자상을 수상하였다.
 
== 발표 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