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평 이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인물: 충주시 신니면 화석리 추가 및 생극면 생리 후손 추가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 시조 = 이인수(李仁壽)
| 중시조 = 이덕명(李德明)
| 집성촌 = [[충청남도]] [[홍성군]]<br>[[충청남도]] [[당진시]]<br>[[충청북도]] [[보은군]]<br>[[전라북도]] [[김제시]]
| 집성촌 =
| 인물 = [[이첨]], [[이달]], [[이준섭]], [[이석의이석우 (1956년)|이석우]], [[이정민이의경 (약학자)|이의경]]
| 년도 = 2015
| 인구 = 39,872명
11번째 줄:
| 비고 = [http://www.shinpyong.org/ 신평이씨 종친회]
}}
'''신평 이씨'''(新平 李氏)는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당진시)|신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백제]] 사평현(沙平縣) 호족(豪族)이었던 '''이인수'''(李仁壽)의 후손으로 고려에서 문하시중 평장사를 지낸 '''이덕명'''(李德明)을 시조로 한다.
 
== 역사 ==
《무오보(戊午譜)》에 따르면 초조(初祖) '''이인수'''(李仁壽)는 [[백제]]의 사평현(沙平縣) 호족(豪族)이었다. 이주(李珠)는 백제의 공신으로 신평공에 봉해졌고 이석덕(李碩德)은 신라 아찬을 지냈다고 한다.
신평(新平)은 현재의 충청남도 홍성군에 속해있던 옛 지명으로 백제시대 사평현(沙平縣)이었다가, 신라 757년 경덕왕 16년에 신평현(新平縣)으로 고치고, 혜성군(槥城郡:지금의 당진군 면천면)의 속현(屬縣)이 되었으며, 1018년(고려 현종 9년) 홍주(洪州)에 예속되었다. 그 뒤 1895년(조선 고종 32년) 면천군(沔川郡)에 편입되었고, 1906년(조선 고종 광무 10년)에 오천에 속했다가 그 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면천군이 없어지면서 인접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新平面(신평면)으로 개칭하고 당진군에 편입시켰다. 위치상으로 보아 조선시대에는 주읍(主邑)인 홍주목(洪州牧)과는 덕산(德山)을 사이에 둔 월경처(越境處)였다. 신평(新平)이란 지명유래는 바다가 꺼져 한진포(漢津浦)가 생길 때 산으로 형성되었던 지역이 넓은 평야 또는 갯벌로 변한 데서, 새롭게 생긴 들이라는 뜻으로 新平(신평)이라 하였다 한다.
 
《무오보(戊午譜)》에 따르면, 초조(初祖)는중시조 '''이인수이덕명'''(李仁壽)이고 ([[백제]] 때 신평지역의 호족이었음), 李珠(이주)는 백제의 공신으로 신평공에 봉해졌고 李碩(이석덕)은 신라고려에서 아찬을문하시중 평장사를 지냈다. 이덕명은 이인수의 후손으로 신평이씨의 중시조로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이덕명의 묘소는 충남충청남도 당진군당진시 송악면 오곡리에 있고 음력 10월 1일에 향사한다.
 
이덕명(李德明)의 아들 이환(李桓)은 지영광군사(知靈光郡事)를 역임했고, 그의 맏아들 이임(李稔)은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를, 차남 이비(李秘)는 전리정랑(典吏正郞)을 지냈다고 한다.
== 인물 ==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 덕명(德明)의 아들 환(桓)은 지영광군사(知靈光郡事)를 역임했으며, 그의 맏아들 임(稔)은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를, 차남 비(秘)는 전리정랑(典吏正郞)을 지냈다. 덕명의 7세손인 첨(詹)은 문과에 장원하여 공조(工曹)와 예조(禮曺)의 판서(判書)와 지신사(知申事) 등을 지내고, 조선이 개국한 후 벼슬이 이조전서(吏曹典書)와 양관(兩館) 대제학(大提學)등을 거쳐 의정부(議政府) 찬성(贊成)에 이르렀고, 문장에 능하여<저생전(楮生傳)>과 <삼국사략(三國史略)> 등을 저술하였고 유저(遺著)로 쌍매당협장집(雙梅堂篋藏集)이 아들 소축(小畜)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이조전서(吏曹典書) 상원(上垣)과 부제학(副提學) 가종(可種), 공조전서(工曹典書) 파(坡), 효정려(孝旌閭)와 호조판서를 증직(贈職)한 상(祥), 병마절도사 종효(宗孝), 종목(宗睦), 흠석(欽碩), 길유(吉儒)와 을사명현(乙巳名賢) 사헌장령 천계(天啓), 경기관찰사(京畿觀察使) 거(蘧), 훈련대장 문전(文荃), 공조참판 원로(元老) 외 수 많은 이들이 관직에 등용되었고, 또 허균(許筠)의 스승인 삼당시인(三唐詩人) 달(達)과 칸트와 베이컨 등의 서양철학을 처음 도입, 체계화하고 시화(詩畫)에 통달한 실학의 대가 호남삼걸(湖南三傑) 석정(石亭) 정직(定稷) 등이 있다.
 
== 본관 ==
신평이씨는 괴당공파(槐堂公派), 문정공파(文定公派), 사인공파(舍人公派), 문안공파(文安公派), 사재공파(司宰公派), 판서공파(判書公派) 등 여섯 개 계파가 있으며, 2000년 인구조사에서는 10,241가구에 33,185명이 있었다.
신평(新平)은 현재의 [[충청남도]] 홍성군에[[당진시]]에 속해있던속한 지명이다. 지명으로 백제시대[[백제]]시대 사평현(沙平縣)이었다가,이었다. 757년(신라 757년 경덕왕 16년에16년)에 신평현(新平縣)으로 고치고, 혜성군(槥城郡:지금의 당진군 면천면)의 속현(屬縣)이 되었으며, 1018년(고려 현종 9년) 홍주(洪州)에 예속되었다. 그 뒤 1895년(조선 고종 32년) 면천군(沔川郡)에 편입되었고, 1906년(조선 고종 광무 10년)에 오천에 속했다가 그 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면천군이 없어지면서 인접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신평면]](新平面(신평면)으로 개칭하고 당진군에 편입시켰다편입되었다. 위치상으로 보아 조선시대에는 주읍(主邑)인 홍주목(洪州牧)과는 덕산(德山)을 사이에 둔 월경처(越境處)였다. 신평(新平)이란 지명유래는 바다가 꺼져 한진포(漢津浦)가 생길 때 산으로 형성되었던 지역이 넓은 평야 또는 갯벌로 변한 데서, 새롭게 생긴 들이라는 뜻으로 新平(신평)이라 하였다 한다.
 
위치상으로 보아 조선시대에는 주읍(主邑)인 홍주목(洪州牧)과는 덕산(德山)을 사이에 둔 월경처(越境處)였다. 신평(新平)이란 지명유래는 바다가 꺼져 한진포(漢津浦)가 생길 때 산으로 형성되었던 지역이 넓은 평야 또는 갯벌로 변한 데서, 새롭게 생긴 들이라는 뜻으로 신평(新平)이라 하였다 한다.
신평이씨가 주로 모여 사는 집성촌은 전국적으로 펼쳐져 있다. 충북 보은군, 청원군, 괴산군, 청주시 등으로, 보은군 내북면 산성리가 가장 대표적인 집성촌이라 할 수 있다. 충남 지역에는 홍성군,예산군,서산군,청양군,아산군,연기군,당진군 등에 비교적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분포도도 고른 편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리(생골이씨 : 증참판 휘 원벽후손)와 충주시 신니면 화석리(화골이씨 : 증참판 휘 원벽후손, 종손이 거주), 경기도 장단군 강상면 마상리, 용인군 내사면 주북리에도 일부의 신평이씨가 살고 있고, 전북 김제군 백산면 상정리, 검산리, 완주군 조촌면 동산리에도 일부가 살고 있으며 경북 상주군 외서면 이촌리에도 집성촌이 있다.
 
== 분파 ==
* 괴당공파(槐堂公派)
* 문안공파문정공파(文公派) - 파조 이성언(李誠彦)
* 문정공파(文定公派)
* 사인공파(舍人公派)
* 문정공파문안공파(文公派)
* 사재공파(司宰公派)
* 판서공파(判書公派)
 
=== 분파된 본관분관 ===
* [[담양 이씨]]
 
== 인물 ==
* '''[[이첨]]'''(李詹, 1345년 ~ 1405년) : 이덕명의 7세손. 1368년(고려 공민왕 17년) 문과에 급제하여 좌대언(左代言)과 지신사(知申事)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1398년(조선 태조 7년) 이조전서(吏曹典書)를 거쳐 1402년(태종 2)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에 올라 대사헌을 겸했으며, 1403년 예문관대제학이 되었다. 『삼국사략(三國史略)』과 소설『저생전(楮生傳)』을 저술하였고, 유저로『쌍매당협장문집(雙梅堂篋藏文集)』이 있다. 시호는 문안(文安)이다.
* [[이천계]](李天啓, 1507년 ~ 1550년) : 이첨(李詹)의 현손. 1537년(중종 32) 식년문과에서 병과로 급제하고, 1545년(명종 즉위년) 사헌부장령에 제수되었으나 이기(李芑)의 무고를 받아 삭탈관직되었고 유배되었다. 1567(선조 즉위년) 신원(伸寃)되었다.
* [[이거]](李蘧, 1532년 ~ 1608년) : 1553년 문과에 급제하여 지평·정랑·장령·교리 등을 역임하고, 1603년 한성부우윤을 거쳐 이듬해 경기도관찰사(觀察使)에 이르렀다.
* [[이달]](李達) : 삼당시인(三唐詩人)
* [[이준섭]](李俊燮, 1933년 ~ 2015년) : 제10대 국회의원
* [[이의경 (약학자)|이의경]](李儀卿, 1962년 ~ ) : 성균관대학교 약학과 교수. 제5대 [[식품의약품안전처]]장.
 
|== 집성촌 = =
* [[충청남도]] [[당진시]]
* [[충청남도]] [[홍성군]]
* [[충청남도]] [[예산군]]
* [[충청남도]] [[서산시]]
* [[충청남도]] [[아산시]]
* [[충청남도]] [[청양군]]
* [[세종특별자치시]]
* [[충청북도]] [[보은군]] 내북면 산성리
* [[충청북도]] [[청주시]]
* [[충청북도]] [[괴산군]]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리(생골이씨 : 증참판 휘 원벽후손)
*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화석리(화골이씨 : 증참판 휘 원벽후손, 종손이 거주)
* [[경기도]] 장단군 강상면 마상리
* [[경기도]] 용인시 내사면 주북리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 검산리
* [[전라북도]] [[완주군]] 조촌면 동산리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이촌리
 
== 인구 ==
* 2000년 10,241가구 33,185명
* 2015년 39,872명
 
==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