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로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Suroking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38번째 줄:
[[신라 유리왕]] 19년(42년) 가락국 북쪽 구지봉(龜旨峰)에 하늘로부터 떨어진 6개의 금란(金卵)이 모두 변하여 6가야국의 왕이 되었다고 하는데 김수로도 그 가운데 하나로, 김해 김씨의 시조이다.
 
수장변한(首長弁韓)에서는 왕(王)을 간(干)이라고 부른 것을 알 수 있는데 9명의 간이라는 뜻인 구도간(九刀干)들이 수로를 왕으로 추대하였으며, 나라를나라 세워이름을 가락국이라 하였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의하면 하늘에서 내려온 6개의 황금 알 중 가장 먼저 깨어난 9척(약 2m<ref>한나라때 1척은 약 23cm였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37221&cid=200000000&categoryId=200000971 자(두산백과)]</ref>)의 소년이 수로왕이 되었다고 하나,
45번째 줄:
 
== 생애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의하면 [[변한]]의 [[구야국]]에는 주민들이 각 촌락별로 나뉘어 생활하고 있었다. 그런데 [[42년]] [[3월]] 부족장을 기다리는변한의 [[구야국]] 왕들인 9명의 간(干)들이들에게 지도자들에게하늘에서부터 "너희의너희들의 왕을 내려 보낸다"라는 계시를 주고 왕을 계시와내려보내기 함께,위해선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놓아라. 그러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라는 노래를 부르라는부르라고 소리가하는 하늘에서소리가 들려왔다. 하늘의 계시를 들은 부족장들은 [[가락국]] 9간(干)9명의 간들과 이하2백 수백3명의 명이백성들이 김해의 [[구지봉]](龜旨峰)에 올라가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춤을 추면서 하늘에서 들려온 말대로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놓아라. 그러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라고 [[구지가]](龜旨歌)를 불렀다.
 
부족변한의 주민들의구야국 수가백성들이 늘어나모여들며 노래소리가노랫소리가 커지자 하늘에서 빛이 나더니 곧 붉은 보자기에 싸인 금빛 상자가 내려오고, 그 안에 둥근 황금색여섯의 황금 여섯 개가알이 들어있었다. 12일 후 이들 알에서금알에서 사내아이들이 태어났는데, 그 가운데 키가 9척이며 제일 먼저 알에서 깨어난 아이가 수로였다. 부족장들은9명의 간들은 그를 6가야 중 수도이자 영토가 넓은 [[가락국]]의 왕으로 추대하여 주민들은 그를 [[가락국]]의 왕으로 받들었고, 또한 나머지 아이들도 각각 5[[가야]]의 왕이 되었다고 한다.
 
[[신라]]의 학자 [[최치원]]이 여러 고을을 돌아다니며 기록들을 수집하여 쓴 [[석이정전]](釋利貞傳)의 내용에 따르면 가야산의 여신 정견모주(正見母主)가 하늘의 신(神)인 이비가지(夷毗訶之)에 감응하여 두 아들을 낳았는데 한 명은 이름이 [[뇌질주일]](惱室朱日)이었고, 다른 한 명은 [[뇌질청예]](惱窒靑裔)였다라고 하였다. [[금관가야]]의 시조가 된 [[뇌질청예]]([[김수로왕]])는 여신 정견모주를 닮아 얼굴이 희고 갸름했으며 [[대가야]]의 시조가 된 뇌질주일([[이진아시왕]])은 이비가지를 닮아 얼굴이 해와 같이 둥글고 붉었다고 한다. 이는 금관가야의 시조인 수로왕이 맏형이었다고 한 ≪가락국기≫에 전하는 금관가야 중심의 형제설화와는 대비되는 것이다.
 
[[석탈해]]와 재주를 겨룬 뒤 이겨 가락국의 왕 자리를 지켰고, 102년, [[파사 이사금]]의 요청으로 [[실직곡국]]과 [[음즙벌국]] 사이의 영토 분쟁을 중재하였다. 이에 파사 이사금이 6부에 명하여 수로를 위한 연회에 모이게 하였는데, 5부는 모두 이찬으로서 접대 주인을 삼았으나 오직 한기부만은 지위가 낮은 사람으로 주관하게 하였다 .수로가 노하여 탐하리(耽下里)에게 명하여 한기부의 우두머리 보제를 죽이게 하고 돌아갔다.
 
부인은 [[월지국]] 혹은 [[마우리아 왕조]] 공주공주로 추측되는 [[허황옥]](許黃玉)이며, 189년까지 무려 158년 동안이나 살았다는 신화적 인물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82&aid=0000252037 <nowiki>[삼국유사 속 바다이야기] <7> 해양 강국을 이룩한 김수로왕</nowiki>]</ref> 수로왕은 허황옥을 태우고 온 15명의 아유타국 선원들에게 450필의 비단을 내렸는데 이는 대단히 많은 물량이며 또한 옷감 450필, 쌀 150섬을 싣고 움직일 수 있는 배를 이미 갖고 있었다는 것은 가야가 연안 항해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뱃길도 꿰뚫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그러한 물량은 단순한 하사품이라기보다 교역 물량이라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ref>{{서적 인용 |제목= 왕의 리더십(성공한 군주들이 들려주는 역사의 교훈 | 저자= 박기현 |연도= 2011 |출판사=원앤원북스 |쪽=50 |id={{ISBN|9788960602083}} |인용문=김수로왕은 허황옥 왕후를 태우고 온 15명의 아유타국 선원에게 도합 450필의 비단을 내렸는데 이것은 대단히 많은 물량이다. 옷감 450필, 쌀 150섬을 싣고 움직일 수 있는 배를 이미 갖고 있었다는 것은 가야가 연안 항해가 아니라 국제적인 뱃길도 꿰뚫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단순한 하사품이라기보다 교역 물량이라고 보는 것이 맞을 만큼 엄청난 양이다.}}</ref>
 
== 신라 종묘 편입 배경 ==
[[문무왕|문무대왕]] 때 수로왕의 위패를 [[신라]]의 종묘에 봉향하고 제를 올린 적이 일시적으로 있었다. 문무왕은문무대왕은 김수로왕의 15대 외손에 해당된다. 이 설에 의하면 [[김유신]] 가(家)는 "구형왕 - 무력 - 서현- 유신"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구형왕 - '''[[노리부|세종]]''' - 무력 - 서현 - 유신"으로 이어져 [[삼국유사]]나 [[삼국사기]]의 [[신라본기]]의 내용과 배치된다차이가 있다.<ref name="dol1">역사 인물 편찬 위원회 지음, 불멸의 세월: 김유신 (출판사 역사디딤돌 | 2009) 188</ref>
 
《삼국유사》가락국기에는 [[문무왕|문무대왕]]이 외가의 조상인 [[가락국]]의 김수로왕 제사에 관한 교서를 내린 사실을 전하고 있다
{{인용문2|가야국 시조의 9세손인 [[구형왕]]이 [[신라]]에 항복할편입될 때에 거느리고 온 아들인 [[노리부|세종]]의 아들이 솔우공([[김무력]])이고, 그 아들인 서운([[김서현]])의 딸 [[문명왕후]]께서 나를 낳으셨다.<ref name="dol1"/> 때문에 시조인 수로왕은 나에게는 15대 조가 된다. 나라는 이미 없어졌지만 그 묘가 아직 남아 있으니 종묘에 합사하여 제사를 계속하도록 하라.<ref name="dol1"/>|《[[삼국유사]]》가락국기|[[문무왕|문무대왕]]의 특별교서}}
 
《삼국유사》가락국기에 따르면 [[문무왕|문무대왕]]은 [[가야국]]의 태조 김수로왕을 [[신라]] 왕실의 종묘에 합사하도록 특별교서를 내리면서, 자신을 "구형왕 - [[노리부|세종]] - 김무력 - 김서현 - 문명왕후"로 이어지는 외가의 후손으로 칭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김무력]]은 [[노리부|세종]]의 아들로 [[구형왕]]의 손자가 되는데, 이는 [[김무력]]을 [[구형왕]]의 아들, [[노리부|세종]]의 동생으로 보는 통설과는 상반된다.
 
== 탄생 신화 ==
{{참고|가야김수로왕신화|설명=[[가야]] [[김수로왕]]에 대한 [[전설]]이나 [[신화]]에 대해서는}}
《[[삼국유사]]》 [[가락국기]]의 기록에 따르면, 3월의 재계일(齋戒日)에 구지봉(龜旨峰)에 9간(干:족장 또는 왕)들이 203명의 무리를 거느리고 모였을 때, 하늘로부터 “하늘이 나로 하여금 이곳에 새로 나라를 세워 다스리라 명하므로, 내가 거기로 내려가고자 한다”는 소리를 들었다. 그리고 6개의 황금알이 담긴 금합(金盒)을 받았는데, 몇 시간 뒤 그 알 속에서 나온 아기들이 6가야국의 왕이 되었으며, 그 중 가장 먼저 나와 ‘수로’라는 이름으로 불린 키가 가장 큰 인물이 김해김씨의 시조이자 금관가야의 건국자가 되었다는 신화이다. 특히 이 [[신화]]는 하늘의 신이 아도간(我刀干) ·여도간(汝刀干) 등 9족장들이9명의 부족을간들이 부족들을 다스리는 부족(9간) 연합사회의 통치자로서 인간사회에 내려왔다는 것과, 인간사회가 그를 환영의 극치인 ‘춤과 노래’로 스스럼없이 맞아들여 왕으로 삼은 영신(迎神)신화라고 해석하고 있다.
 
== 가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