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관가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24.53.134.212(토론)의 23146998판 편집을 되돌림
Weidooooo (토론 | 기여)
마한이 변한, 진한을 지배했다는 기록은 없습니다. 출처없는 글 삭제. 역사왜곡이 심하네요. 가야의 어느 국인지 몇백호인지도 모르는데 30만명이라는 내용들. 금관가야는 종발성 전투에선 멸망하지 않음. 금관가야는 보호령이 아니고 신라의 공격으로 항복함. 거의 소설수준.
1번째 줄:
{{출처 필요 문단|날짜=20182019-0803-2816}}
{{한국사}}
'''금관가야'''(金官伽倻), '''본가야'''(本伽倻)는 [[42년]]부터 [[532년]]까지 존재했던 나라로, [[신라]]에게 멸망하기 전 국명은 '''가락국'''(駕洛國)이었다이라고도 불렸다.
 
가락국은가락국중에 하나인 금관가야는 [[1세기]] 중엽부터 [[4세기]] 말까지 전기 [[가야]] 연맹체의 맹주였으나, [[4세기]] 말에 [[왜]]와 연합하여 [[신라]]를 공격하다가 [[400년]]에 신라로부터 구원 요청을 받은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공격으로 오히려 [[종발성]](부산 추정) [[낙동강]]의공격에 동·북쪽세력이 지역(현재의약화되었고 [[부산]],국가는 [[양산시|양산]],지속되었으나 [[밀양]])을후기 [[신라]]에 빼앗긴가야 연맹체인 [[반파국|대가야]] [[안라국]]에 가야 연맹체의 맹주 자리를 내주었다.
 
== 국명 ==
{{참고|가야#6가야|고령가야|설명=금관가야의 명칭에 관해서는}}
가락국(駕洛國)이라는 이름은 [[고려]]의 삼국유사에 나오는 국명이며 삼국유사 이전에는 금관가야 혹은 구야국, 가야라고 기록되어 있다.
금관가야(金官伽倻)라는 이름은 [[가야]] 시대로부터 한참 후대인 [[고려]]의 [[왕건]]이 붙인 이름이다.
 
금관가야에 대해 처음 사서에 전하는 이름은 '''[[구야국]]'''(狗邪國) 또는 '''[[구야한국]]'''(狗邪韓國)인데, '''狗'''자의 상고음(上古音)은 '가이'로, '''狗邪'''는 '가이야'나 '가야'로 읽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줄 15 ⟶ 16:
 
== 건국 설화 ==
*[[42년]]에 200~300명의 무리가 [[구간 (신화)|구간]]9명의 간(9간)(왕, 족장)]]과 함께 [[구지봉]]에 모였는데 모습은 보이지 않았으나 사람의 목소리가 구지봉에서 들려왔다. 그 소리가 “여기에 사람이 있는가” 라고 하자 사람들은 “네, 저희들이 있습니다." 라고 하자 “그럼 내가 있는 곳은 어디인가”라고 했더니 “구지봉입니다” 라고 다시 말하자 “하늘이 나에게 너희들의 왕이 되라고 명하셔서 이렇게 왔노라 그러니 너희는 지금 내가 시키는 대로 구지가를 부르며 춤을 추어라” 라고 하자 사람들은 기뻐하며 구지가를 불렀더니 하늘에서 자주색 줄이 내려오고 줄 끝에는 황금색 상자가 있었고 그 안에는 6개의 황금 알이 있었다. 그 상자를 귀하게 여겨 12일 동안 [[아도간]]의 집에 놔두었더니 12일 후에 사내아이로 바뀌고 10일이 다시 지나자 사내아이 중 키가 9자, 얼굴은 [[전한 고조]], 눈썹은 [[요 (군주)|요]] 임금, 눈동자는 [[순 (군주)|순]] 임금 같은9자인 사내아이가아이가 있었는데태어났는데 그 달 보름달에 왕위에 올랐는데 처음 나타냈다는 뜻으로 [[수로왕]] 혹은 수릉 이라고 했다.
;건국 설화의 뜻
*
*[[42년]]에 200~300명의 무리가 [[구간 (신화)|구간]](9간)과 함께 [[구지봉]]에 모였는데 모습은 보이지 않았으나 사람의 목소리가 구지봉에서 들려왔다. 그 소리가 “여기에 사람이 있는가” 라고 하자 사람들은 “네, 저희들이 있습니다." 라고 하자 “그럼 내가 있는 곳은 어디인가”라고 했더니 “구지봉입니다” 라고 다시 말하자 “하늘이 나에게 너희들의 왕이 되라고 명하셔서 이렇게 왔노라 그러니 너희는 지금 내가 시키는 대로 구지가를 부르며 춤을 추어라” 라고 하자 사람들은 기뻐하며 구지가를 불렀더니 하늘에서 자주색 줄이 내려오고 줄 끝에는 황금색 상자가 있었고 그 안에는 6개의 황금 알이 있었다. 그 상자를 귀하게 여겨 12일 동안 [[아도간]]의 집에 놔두었더니 12일 후에 사내아이로 바뀌고 10일이 다시 지나자 사내아이 중 키가 9자, 얼굴은 [[전한 고조]], 눈썹은 [[요 (군주)|요]] 임금, 눈동자는 [[순 (군주)|순]] 임금 같은 사내아이가 있었는데 그 달 보름달에 왕위에 올랐는데 처음 나타냈다는 뜻으로 [[수로왕]] 혹은 수릉 이라고 했다.
 
== 역사 ==
=== 건국 ===
{{출처 필요 문단|날짜=2019-03-16}}
김해 일대는 장유면 등지에서 지석묘 등의 청동기유적이 발견되어 태고적부터 사람이 거주하고 있었다. 단군조선이금관가야의 [[위만]]에게대표적인 병탄되고고분은 [[위만조선]]이대성동 내부혼란과고분이 [[전한]]의 개입으로 패망한데 이어 [[고구려]]가 부여에서 분리되어 건국되는 등 북방의 혼란이 가중되자 일련의 북방 조선유민들의 남하가 이루어져 삼한일대의 사회상을 변화시키기 시작했다있다. 그 일단의 집단중에 박혁거세 집단이 경주에당시 정주해진한에서는 [[사로국]]을 건국한 뒤 이를 중심으로 진한이 [[마한]]에서 독립한데 이어건국하고 [[온조]]와 [[비류]]로 대표되는 [[백제]]인들이 남하하여 한강일대를 기반으로 [[백제]]를 세운 뒤 서기 9년에 백제가 마한을 합병함으로써 삼한을 지배하던 마한의 세력이 변한에서 소멸하자 변한도 크게 동요했다합병하였다. 그 무렵 조선유민중에 일파인변한에서는 [[수로왕]]의 세력이 구야국에 정주하자 구야국의 9간세력은 이들을구도간들을 중심으로 재결집하기결집하기 시작했다. 수로왕을 중심으로 재결집된결집된 구야국에 도전한 첫 세력은 [[탈해 이사금|탈해]]세력이었다. 탈해세력은 수로왕의 세력에 대패해 진한지역으로 도주했고 수로왕은 탈해세력을 200척의 대함대로 추격하기까지 했다.
 
=== 전기 가야 연맹 ===
[[전기 가야 연맹]]은 [[42년]]부터 [[400년]], [[고구려]]의 [[광개토왕광개토대왕]]의 공격을 받아서 무너지지 전까지 [[358]]년 동안 지속된 연맹이다. 탈해세력을 격퇴하는 것으로 기반이 공고해진 수로왕의 가락국은 그 후 나머지 변한제국(弁韓諸國)을 결집해 그 맹주자리에 오르는 한편 해상무역을 기반으로 곧 동아시아 해상무역의 허브로 발전해 번영을 구가하기 시작했다. 금관가야에서 생산된 [[철]]은 [[삼한|한]], [[예맥|예]], [[왜]], [[낙랑군]], [[대방군]]에등에 공급되었다.<ref>{{서적 인용 |제목= 유물로 읽는 우리 역사 | 저자= [[이덕일]] |연도= 1999 |출판사=세종서적 |쪽= 18 |id={{ISBN|8984070203}}|인용문= 서기 3세기 경의 정황을 전해주는 『삼국지』위서 동이전 한(韓)조에는 이런 기록이 나온다. "국(國)에서 철을 생산하는데 한, 예, 왜가 모두 와서 철을 얻어간다. 장사지낼때에는 철을 사용하는데 이는 마치 중국에서 돈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 또 철을 두 군(낙랑군․대방군)에군에 공급한다." 여기서 '국(國)'이 어디를 뜻하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문맥상 가야가 위치했던 변한일 가능성이 높다. 그 중에서도 김해의 구야국(가락국)이 가장 유력한 후보이다. }}</ref><ref>{{서적 인용 |제목= [[삼국지]] | 저자= [[진수 (서진)|진수]] |연도= 3세기 |장= [[:zh:s:三國志/卷30|三國志 卷30 烏丸鮮卑東夷傳]] |인용문= 國出鐵,韓、濊、倭皆從取之。諸巿買皆用鐵,如中國用錢,又以供給二郡。}}</ref> 구야국에서는 많은 양의 철이 산출되었고 이로 인해 시스템화된 제철공업이 발전해 철정(鐵鋌)으로 규격화된 철상품이 일본과 중국으로 수출되었고 한동안 가락국의 철은 동북아의 철 시장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다시피하게 되었다. 철이라는 상품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한 가락국은 이어서 중국과 한반도, 일본열도를일본열도와 대륙을 잇는 무역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시작했다. 중국의 선진문물이 구야국에서 일단 도착한 뒤 일본에서 수입된 원자재 및 낙동강 수로를 통해 집적된 변한의 물품과 교환되었고 그렇게 입수된 선진문물은 다시 한반도 내륙과 일본열도로 전해졌던 것이다.
 
조선 초기 김해도호부(金海都護府)의 인구는 속현인 [[웅천현|웅신현]](熊神縣)의 인구까지 포함해 7~8천명이었다. 3세기 경의 가락국의 인구는 김해도호부의 3배가 넘는 2만 5천명이었다. 이는 [[삼국지]] 위지동이전의 인구규모로 본 삼한소국의 분류에 따르면 대국(大國)에 속했다. 이런 해상무역을 통한 부의 축적은 가락국을 변한제국내에서 맹주로서의 지위를 공고하게 해주었지만 한편으로 이에서 소외된 변한제국의변한제국들의 시기와 질투를 유발했다. 3세기 초입에 가락국에 눌려 해상무역에서해상무역에 명함조차힘을 내밀지쓰지 못하고 있던못했던 변한 남해안의 7개국과 역시 가락국으로 인해 해상무역에서 힘을 못쓰고 있던 전남의 [[침미다례]]세력의 중심인 보라국(保羅國)<ref>나주</ref> 이 연합해 [[포상팔국]]을 형성했고 곧이어 그 포상팔국이 해상무역권을 빼앗기 위해 가락국과 가야전체에 대항해 오기 시작했던 것이다. [[209년]]에 포상팔국은 가락국과 가야의 두 번째 중심국이었던 [[안라국]]을 침공했고 중과부적으로 패했던 가락국은 당시에인접국이자 유력한 적국(敵國)이었던경쟁국인 신라에 구원을 요청할 수 밖에 없었다.
신라군은 [[물계자]]장군을 앞세워 이를 구원하였고 이후 전쟁은 포상팔국과 신라의 전쟁으로 비화되어 [[215년]]에 포상팔국 중에 3개국 연합함대의 울산 공격을 마지막으로 포상팔국의 패퇴로 끝나고 말았다. 포상팔국과의 전쟁에 신라의 지원을 받음으로서 가락국의 위신은 추락했고 가야 전체의 맹주자리도 위협당하기 시작했다. 더욱이 이후 가락국의 해상무역은 다소 침체되기 시작했고 설상가상으로 [[백제]]가 [[고이왕]]대에서 [[근초고왕]]때에 걸쳐 [[백제]]가 중국의 대 가락국 무역항이 있던 요서와 산동을 점령하여점복하여 백제의 영토로 편입함으로써편입시킴으로써 중국문물의대륙 무역의 수입로가 차단당했다.<ref>당시에는 아직 중국 남해안과 한반도를 잇는 직항로가 개척되어 있지 않아 산동반도에서 출발해 황해도 서해안으로 온 다음에 한반도 연안으로 내려오는 항로를 이용했다.</ref> 독자적인 무역루트가 끊어지자 가락국도 중국의대륙과의 문물을무역을 수입하려면하려면 고구려나 백제같은 외국에 기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도래했던 것이다. 주요 수출품이었던 철의 수출도 신라가 자체적으로 광산을 개발해 운영하면서 [[광공업]]이 발전하고 그 생산력이 가락국을 능가하여 상대적으로 가락국의 광공업은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가락국의 패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바로 신라와의 전쟁이었다.
 
==== [[신라]]와의한반도 항쟁세력 쟁탈 ====
;신라는 가야사를 통해 가야의 가장 유력한 적이었다.
*건국시기에 탈해세력이 [[수로왕]]과 가락국을 놓고 경쟁하다 패하여 신라로 도망한 이래 [[탈해 이사금]]이 신라왕에 즉위하자 신라는 서기 [[79]]년경에 우시산국(于尸山國)과 거칠산국(居柒山國)을 합병해 낙동강 및 동부경남으로 진출을 개시함으로써 그 일대를 지배하고 있던 가야와 충돌을 빛기 시작한 것이다.
*[[77년]] 가을 8월에 가야는 [[탈해 이사금]]의 신라와 교전하였는데 [[신라]]의 [[아찬]] [[길문]](吉門)에 의해 [[황산진]](黃山津)<ref>지금의 경남 양산시 물금읍 물금리 황산역터 근처. 전덕재, 삼국시대 황산진과 가야진에 대한 고찰, 한국고대사연구 제47권, 2007년 9월, 35~75면 참고</ref> 어구에서 1천명의 가야군 전사자가 발생하였다.<ref>《[[삼국사기]]》<[[: s: 삼국사기/신라본기/제1권/탈해 이사금|신라본기 제1권 탈해 이사금 條]]></ref>
줄 36 ⟶ 35:
*이후 한동안 가야와 신라의 전쟁은 소강상태를 유지했는데 [[102년]] 음력 8월, 파사왕이 진한제국의 맹주자격으로 [[음즙벌국]]과 [[실직곡국]] 사이의 영토 분쟁을 해결해줄 것을 요청받자, [[수로왕]](首露王)에게 이를 의뢰했고. 수로왕은 분쟁지역을 음즙벌국에 귀속되게 하였다. 그러나 그 후의 이를 축하하는 잔치에서 벌어진 사소한 사건이 살인사건으로 비화되자 이를 기화로 분쟁당사국을 침공해 합병한 파사왕은 [[106년]]에 가야를 침공해 파사왕 다음인 [[지마 이사금]]때인 [[115년]]~[[116년]]까지 전쟁이 벌어져 결국 신라의 패퇴로 끝났다.
*이후 [[포상팔국]] 전쟁에서 신라에 왕자를 볼모로 보낼만큼 빚을 진 가야는 신라와 직접 전쟁을 피하는 대신에 일본의 소국들을 매수하여 신라를 공격하게 했다. 일본의 소국들은 철 생산능력이 없어 가락국을 '쇠나라(須那羅)'라고 부를만큼 자국의 철 수요를 전적으로 가락국에 의존했고 가락국 및 가야는 철의 공급력을 이용해 일본의 소국들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는데 이를 이용해 신라를 공격한 것이다. 신라는 모든 것이 가야의 사주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이후 일본소국들의 공격에 시달리기 시작했다.
*[[233년]] [[왜구]]가 신라의 서라벌을 포위했다가 천명이 전사한 것을 시작으로 [[유례 이사금]]대인 [[286년]]~[[295]]년에 수차의 일본군의왜군의 침공이 있었다. 신라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일본의 중심지인 [[오사카|나니와]](難波)근방의 [[아카시 시|아카시노우라]](明石浦)를 공격하기까지 했고 이로인해 한동안 왜구의 침입이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ref>[[안정복]]의 [[동사강목]]-제 2상 을묘년, 신라 유례왕 12년. [[김세렴]]의 [[해사록]]- 왜황 응신(22년)때 신라측이 명석포에 들이닥쳤다. 일본이 강화와 군대해산을 요청함. 응신 22년은 유례왕 8년이었다." 일본[[연대기]]. 이창일본전. 기타</ref>
*[[흘해 이사금]]대인 [[346년]]에 또다시 일본의 침공이 있었고 [[내물왕]]대인 [[364년]]과 [[393]]년에 두차례의 일본의 공격이 있었는데 이 두차례는 특히 가야의 신라침공을 위한 전초전이었다. 당시에 신라는 고구려와 제휴하고동맹적인 관계에 있었고 이에 고구려와 전쟁을 벌이고 있던 백제가 신라에게 반감을 품고 유력한 동맹국이었던 가야를 부추기고 있었던 것이다. 그무렵 가야의 전체 인구는 30만 정도였고 동원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락국을 포함해 가야소국 전체의 정규군 수는 2만명 안팎이었다. 여기에 가야는 일본의 소국들에서 수입한 [[용병]]단 3만명을 더해 신라를 치기로 한 것이다.
 
=== 가야연맹의 패망세력 약화 ===
[[399년]]에 가야의 [[철기군]]은 신라의 주요항구인 울산으로 북상을 시작했고 여기서 상륙해 있던 일본군과왜군과 합류했다. 일본군을왜군을 그 지휘하에 넣은 가야군은 남천가에서 신라군의 주력을 격파한 뒤 곧바로 서라벌을 공격했고 신라는 국가멸망의 위기에 빠졌다. 그러나 신라의 [[내물 마립간]]은 급히 고구려의 평양으로 사신을 보내 백제를 견제하기 위해 남하해 있던 [[광개토왕광개토대왕]]에게 구원요청을 했고 곧이어 가야와 마찬가지로 철기병이 주축인 5만명의 [[고구려]]군이 서라벌을 기습공격했다. 서라벌의 전투에서 일본군이왜군이 고구려군에 궤멸당해 와해되고 말았고 가야군도 1만 5천 안팎의 자국병력은 유지한 채 [[동래군|종발성]]으로 후퇴해야만 했다. 고구려와 가야의 철기군은 대등한 능력을 지녔지만 숫적으로 불리했던 가야군은 결국 고구려에 패퇴하고 말았고 이 전쟁으로 가야는가야 패망하고연맹체의 말았다.수장격이였던 가야가금관가야는 패망한세력이 뒤 변한지역은 [[반파국]]의 대가야가 등장하기까지 한동안 미증유의 혼란에 휩싸여야 했다약해졌다. 한편금관가야의 가야가세력 패망해약화는 맹주지위를변한에서 상실한고령에 가락국은 낙동강 수로와위치한 [[고 김해만반파국]]의 배후였던 부산지역을 상실했고 이는 결국 가락국이 멸망하게 되는 원인이 됐다. 해상무역이 적잖이 중요했던 가락국으로서는 무역로가 끊겨서 영향력이대가야가 줄어들었기부상하게 때문이다되었다.
 
=== 가락국의 멸망 ===
금관가야(구야국)의 세력 약화로 고령에 위치했던 '''반파국'''이 [[대가야]]국이 가야의 맹주로 떠올랐다.
가야의 패망이후로 가락국은 나라이름을 '''금관국'''(金官國)으로 바꾸었으리는 견해가 있다. 왜냐하면 이후에 변한지방의 맹주로 떠오른 '''반파국'''이 [[대가야]]국을 표방했기 때문에 비록 "가야"라는 이름의 본 주인이었지만 더 이상 가야라든가 가락이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어쨌든 금관국이라는 국호는 가락국의 또다른, 혹은 새로운 이름이 되었고 여기서 "'''금관가야'''"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가야의 멸망에서 [[대가야]]에 이르기까지 가락국은금관가야는은 소국으로 간신히 명맥만 유지하고 있었다. 대가야의 후기에 들어서 대가야가 백제와 신라라는 양대 강국사이에서 쇠락의 길을 걷게 되자 가락국은 자주권을 잃고 신라의 보호령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아직 대가야가 호남 동부를 차지하면서 극성하던세력이 강했던 [[496년]]에 가락국은 신라에 화친의 표시로 "흰 꿩"을 보냈다. 이는 사실상 신속의 의미였다. 대가야의 다른 지역에서 고총(高塚)이라는 대규모 고분이 조성되고 있을 때 가락국은금관가야는 그런중규모의 규모의 고분 조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음이고분이 확인될있었음을 정도로보면 가락국은 완전히 쇠퇴해 있었던 것이다. [[529년]] 신라장군 [[이사부]]는 가락국의 [[다대동|다다라]](多多羅)를 기지로 삼아 군사행동을 개시했다. [[임나일본부|안라왜신관]]에 소속되어 [[안라국]]의 명령으로 가락국의 자주독립을 지원하고 있던 [[오미노 케누]](近江毛野)의 일본군을왜군을 웅천(熊川)에서 공격한데 이어서 [[531년]]에는 구례모라(久禮牟羅)의 백제군을 패퇴시켰고 [[안라국]]을 중심으로 결집되어 있던 남가야는 산라와세력이 백제 양쪽으로 위협에 시달려야 했다약해졌다. 그 와중에 532년 가락국왕인 [[구형왕]]은 결국 신라에 나라를 바쳐 투항함으로써<ref>《[[삼국사기]]》 〈[[:s:삼국사기/권34|권34]]〉 至十世仇亥王, 以梁中大通四年, 新羅法興王十九年, 率百姓來降,“10세(世) 구해왕에 이르러, 양 [[중대통]](남조 양(梁)의 무제(武帝)의 연호(529~534)이다.) 4년(신라 법흥왕 19년, 532년)에 백성들을 이끌고 와서 항복하였다. ”</ref> 가락국은가야 완전히귀족들은 멸망하고 말았다. 구형왕과 그 후손들은 구 가락국의 영역을 발판삼아신라의 진골로 편입되어 여전히 그 세력을 유지했고 이는 나중에 [[김유신]] 등의 후손들이등이 신라의 정계로 진출하는 기반이 되었다.
 
가락국의 왕손들은 이후 신라황실의 성(姓)인 김씨에 대해 신김씨라 불리며 명목상 진골에 편입되었지만 한동안은 신라의 상류사회로부터 차별이 있을수 있었다고 본다.대중매체등에서는 추측하기도 하지만 삼국사기나 사서에 그런 증거는 없다.이런 신김씨의 위상이 높아졌던 것은 [[김유신]]이 나중에 [[태종무열왕]]이 되는 김춘추와 결혼동맹으로 제휴하면서부터로 이후 김유신은 김춘추를 왕위에 올리는데 노력하는 한편 삼국통일 전쟁에서 높은 전공을 세웠다. 그 자신도 생전의 전공으로 사후에 흥무대왕에 추증되어 신라왕이 되었다. 김유신의 손자인 [[김윤중]]은 당나라의 발해침공시와 때를 같이하여 북방의 말갈족을 평정하는 전공을 세우기도 했다. 이런 신김씨의 위세가 몰락한 계기는 [[780년]] [[혜공왕]]이 [[대공의 난]](大恭之亂)중에 피살당하는 것으로 무열왕계가 끊기고 [[선덕왕]]의 [[내물왕]]계가 왕위를 잇게 되면서부터인데 무열왕계의 황실과 밀착하고 있던 신김씨는 무열왕계가 멸망하자 기댈 곳이 없어졌고 다른 진골귀족들로부터도 다시금 경원당하면서 심지어 6두품의 하급귀족으로 추락했다. 고려시대 이후 신 김씨는 본관을 김해로 지정받아 '''[[김해 김씨]]'''가 되었다. 가락국의 고토는 신라의 병합이후 금관군(金官郡)으로 편입되었고 [[680년]] 김유신의 조카인 [[문무왕]]에 의해 금관소경(金官小京)으로 승격하고 16년뒤에 [[김해경|김해소경]](金海小京)으로 개명해 지금의 [[김해]]라는 지명이 탄생했다. 문무왕은 가야왕실의 외손으로 [[김수로왕]]의 능역을 대대적으로 정비하기도 했다. 신라말이 되자 가야왕실의 후손인 [[김인광]](金仁匡)이 강력한 사병군단을 기반으로 지김해부진례성제군사명의장군(知金海府進禮城諸軍事明義將軍)을 칭하며 진례성(進禮城)을 중심으로 김해와 창원일대를 장악하였다. 김인광은 김해지역에 잔류해 있던 신김씨의 후손으로 봉림사의 건립을 후원하여 선종9산의 하나인 봉림산파(鳳林山派)의 후견인 구실을 하였다. [[906년]]에 김인광은 소충자(蘇忠子, 일명 蘇忠至)·소율희 형제에 축출당했고 이듬해에 충자가 사망하자 그 아우인 소율희가 김해부지군부사(金海府知軍府事)가 되어 김해, 창원및 함안지역을 다스렸다. 소율희는 나중에 자신의 성을 金씨로 고쳤고<ref>蘇자가 "쇠"를 가차한 것이라</ref> 관직명도 지진례성제군사(知進禮城諸軍事)로 개칭하고 김해 지방에 대한 지배력을 더욱 강화시켜 나갔다. 김인광, 김율희의 활약으로 고려시대에 김해지역이 역사상 "'''금관가야'''"로 인식되었다.
가야의 멸망에서 [[대가야]]에 이르기까지 가락국은 소국으로 간신히 명맥만 유지하고 있었다. 대가야의 후기에 들어서 대가야가 백제와 신라라는 양대 강국사이에서 쇠락의 길을 걷게 되자 가락국은 자주권을 잃고 신라의 보호령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아직 대가야가 호남 동부를 차지하면서 극성하던 [[496년]]에 가락국은 신라에 화친의 표시로 "흰 꿩"을 보냈다. 이는 사실상 신속의 의미였다. 대가야의 다른 지역에서 고총(高塚)이라는 대규모 고분이 조성되고 있을 때 가락국은 그런 규모의 고분 조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음이 확인될 정도로 가락국은 완전히 쇠퇴해 있었던 것이다. [[529년]] 신라장군 [[이사부]]는 가락국의 [[다대동|다다라]](多多羅)를 기지로 삼아 군사행동을 개시했다. [[임나일본부|안라왜신관]]에 소속되어 [[안라국]]의 명령으로 가락국의 자주독립을 지원하고 있던 [[오미노 케누]](近江毛野)의 일본군을 웅천(熊川)에서 공격한데 이어서 [[531년]]에는 구례모라(久禮牟羅)의 백제군을 패퇴시켰고 [[안라국]]을 중심으로 결집되어 있던 남가야는 산라와 백제 양쪽으로 위협에 시달려야 했다. 그 와중에 532년 가락국왕인 [[구형왕]]은 결국 신라에 나라를 바쳐 투항함으로써<ref>《[[삼국사기]]》 〈[[:s:삼국사기/권34|권34]]〉 至十世仇亥王, 以梁中大通四年, 新羅法興王十九年, 率百姓來降,“10세(世) 구해왕에 이르러, 양 [[중대통]](남조 양(梁)의 무제(武帝)의 연호(529~534)이다.) 4년(신라 법흥왕 19년, 532년)에 백성들을 이끌고 와서 항복하였다. ”</ref> 가락국은 완전히 멸망하고 말았다. 구형왕과 그 후손들은 구 가락국의 영역을 발판삼아 진골로 편입되어 여전히 그 세력을 유지했고 이는 나중에 [[김유신]] 등의 후손들이 신라의 정계로 진출하는 기반이 되었다.
 
가락국의 왕손들은 이후 신라황실의 성(姓)인 김씨에 대해 신김씨라 불리며 명목상 진골에 편입되었지만 한동안은 신라의 상류사회로부터 차별이 있을수 있었다고 본다.하지만 삼국사기나 사서에 그런 증거는 없다.이런 신김씨의 위상이 높아졌던 것은 [[김유신]]이 나중에 [[태종무열왕]]이 되는 김춘추와 결혼동맹으로 제휴하면서부터로 이후 김유신은 김춘추를 왕위에 올리는데 노력하는 한편 삼국통일 전쟁에서 높은 전공을 세웠다. 그 자신도 생전의 전공으로 사후에 흥무대왕에 추증되어 신라왕이 되었다. 김유신의 손자인 [[김윤중]]은 당나라의 발해침공시와 때를 같이하여 북방의 말갈족을 평정하는 전공을 세우기도 했다. 이런 신김씨의 위세가 몰락한 계기는 [[780년]] [[혜공왕]]이 [[대공의 난]](大恭之亂)중에 피살당하는 것으로 무열왕계가 끊기고 [[선덕왕]]의 [[내물왕]]계가 왕위를 잇게 되면서부터인데 무열왕계의 황실과 밀착하고 있던 신김씨는 무열왕계가 멸망하자 기댈 곳이 없어졌고 다른 진골귀족들로부터도 다시금 경원당하면서 심지어 6두품의 하급귀족으로 추락했다. 고려시대 이후 신 김씨는 본관을 김해로 지정받아 '''[[김해 김씨]]'''가 되었다. 가락국의 고토는 신라의 병합이후 금관군(金官郡)으로 편입되었고 [[680년]] 김유신의 조카인 [[문무왕]]에 의해 금관소경(金官小京)으로 승격하고 16년뒤에 [[김해경|김해소경]](金海小京)으로 개명해 지금의 [[김해]]라는 지명이 탄생했다. 문무왕은 가야왕실의 외손으로 [[김수로왕]]의 능역을 대대적으로 정비하기도 했다. 신라말이 되자 가야왕실의 후손인 [[김인광]](金仁匡)이 강력한 사병군단을 기반으로 지김해부진례성제군사명의장군(知金海府進禮城諸軍事明義將軍)을 칭하며 진례성(進禮城)을 중심으로 김해와 창원일대를 장악하였다. 김인광은 김해지역에 잔류해 있던 신김씨의 후손으로 봉림사의 건립을 후원하여 선종9산의 하나인 봉림산파(鳳林山派)의 후견인 구실을 하였다. [[906년]]에 김인광은 소충자(蘇忠子, 일명 蘇忠至)·소율희 형제에 축출당했고 이듬해에 충자가 사망하자 그 아우인 소율희가 김해부지군부사(金海府知軍府事)가 되어 김해, 창원및 함안지역을 다스렸다. 소율희는 나중에 자신의 성을 金씨로 고쳤고<ref>蘇자가 "쇠"를 가차한 것이라</ref> 관직명도 지진례성제군사(知進禮城諸軍事)로 개칭하고 김해 지방에 대한 지배력을 더욱 강화시켜 나갔다. 김인광, 김율희의 활약으로 고려시대에 김해지역이 역사상 "'''금관가야'''"로 인식되었다.
 
==지리==
오늘날, 경남 [[김해시]]인 이곳은 금관가야가 존재했을 당시에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바다나 갯벌이었다. 일제강점기인 20세기 초 [[낙동강]] 제방공사로 인해 평야지대로 탈바꿈하였지만, 그 이전까지는 낙동강의 본류가 지금처럼 구포 방면으로 흐른 것이 아니라 선암다리 밑으로 흐르고 있었다. 부분적으로 수몰되지 않은 얕은 구릉에서는 어김없이 조개무지인 패총(貝塚)이 나오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ref>{{서적 인용 |제목= 유물로 읽는 우리 역사 | 저자= [[이덕일]] |연도= 1999 |출판사=세종서적 |쪽= 17~18 |id={{ISBN|8984070203}}|인용문= 오늘날 우리가 김해평야로 부르고 있는 이곳은 옛날 가락국이 존재했을 당시에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바다나 갯벌이었다. 일제 시대인 20세기 초 낙동강 제방공사로 인해 평야지대로 탈바꿈하였지만, 그 이전까지는 낙동강의 본류가 지금처럼 구포 방면으로 흐른 것이 아니라 선암다리 밑으로 흐르고 있었다. 부분적으로 수몰되지 않은 얕은 구릉에서는 어김없이 조개무지인 패총(貝塚)이 나오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ref>
 
== 산업 ==
{{출처 필요 문단|날짜=2018-08-28}}
가락국과 그 외의 가야소국들은 전형적인 상업도시 국가였다. 가락국을 허브로 동북아연안 바다에서 해상무역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가령 중국에서는 [[신나라]](新--)시대에 아주 잠깐 사용되었던 화천(貨泉)이라는 동전이 한반도에서 일본에까지 다수 출토되기도 하였다. 가락국의 주요산업이 해상무역이었음은 가락국의 초기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탈해세력을 해군으로 쫓아내었다는 기록은 가락국의 해상력의 막강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수로왕비인 [[허황옥]]의 세력이 도래할 때 가져온 문물을 한사잡물(漢肆雜物)-한나라의 온갓물건이라 하여 중시 한 점에서 구야국은 건국초기부터 강력한 해상권을 기반으로 해외무역을 발전시켰음을 알 수 있다. 주요 무역상품은 철(鐵)이었다. 봉황대에서는 송풍구과 슬래그등의 제철소 유적이 확인되었다. 가락국은 "여뀌잎" 같다는 표현대로 땅이 좁아 농업기반은 취약한 대신에 철이 많이 산출되어 조선전기까지 상당한 철을 국가에 공납했을 정도였다.
 
가락국의 농업기반이라면 [[김해평야]]를 생각하겠지만 당시에 김해평야는 [[고 김해만]]이라는 바다여서 농사를 지을 수 없는 대신에 천혜의 무역항구를 가락국에 제공했다. 농업에서 뭔가 경제적인 이득을 기대할 수 없는 가락국으로서는 싫든 좋든 공업을 발전시켜 외국과 교역을 해야만 했고 그 교역의 길이 막힌 순간에 쇠망의 길을 걸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렇더라도 아주 농업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던지 회현동 패총 인근 마을 유적에서 탄화미와 벼가 출토되었다. 1차 산업은 어업이 주가 되었다. 회현리 등, 많은 수의 [[조개무지]](貝塚)가 발견되었다. 조개무지 안에서는 많은 량의 조개껍질과 함께 다양한 종류의 생선뼈가 확인되었고 그 중에서는 심지어 고래, [[참치]], [[상어]]도 발견되었다. 가락국은 농업으로는 수요를 채울 수 없는 식량을 외국과의 교역과 함께 어업에 의존했을 것이다.
 
== 문화 ==
줄 62 ⟶ 54:
 
== 역대 국왕 ==
금관가야는 한국사에서 유일하게 처음부터 끝까지 왕위가 부자에게 정통적으로 세습된 국가이다.
 
#태조[[수로왕]] (<small>재위</small> [[42년]] ~ [[19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