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섬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개요: 링크추가
→‎개요: 링크추가
9번째 줄:
광섬유의 국내기술개발은 한국과학기술연구소(현 [[한국과학기술원]]) 응용광학연구실을 주축으로 1977년부터 시작한 광섬유 국산화 기술개발 연구가 그 시초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소에서는 [[대한전선주식회사]]·금성전선주식회사(현 [[LS전선]])와 함께 1979년 말 광섬유의 형태를 추출, 1980년 2월부산의 [[한국전력]] 지점과 남부산변전소간의 1.3km에 달하는 국산 광섬유를 마련하였다.
 
현재 광섬유는 국내 수요는 물론 수출까지 하고 있고, 광통신도 이미 대덕과학단지와[[대덕과학단지]]와 대전전화국 사이, 구로동과[[구로동]]과 안양 사이 등에서 실용화되어 있다. 정부에서는 2001년 안에 종합정보통신망([[ISDN]])을 구축하기로 하고, 1987년에 대도시국간 전송로에 광케이블을 공급하겠다고 발표하였다. 또, 세계적으로도 대서양과 태평양간의 해저횡단케이블이 광케이블로 마련될 예정이다.
 
이렇게 광섬유를 근거리통신망([[LAN]])·종합정보통신망·사무자동화 등 광통신 분야에 응용하여 고도정보화사회를 이룩하는 것은 물론, 광센서·영상전달·조명용기구·광고·장식품 등 인간생활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데 이용하고 있다.
 
 
1950년대에 코어(core), 클래드(clad) 구조의 광섬유, 즉 빛을 통과하는 핵심 부분인 코어의 굴절률보다[[굴절률]]보다 빛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차단층인 클래드의 굴절률을[[굴절률]]을 약간 작게 하여 코어에 입사된 빛이 굴절률이 다른 코어와 클래드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를[[전반사]]를 반복하면서 전파하는 광섬유가 개발되었다(그림 1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