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전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냠냠미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출처 필요|날짜=2013-6-6}}
'''막 전위'''(膜電位, {{lang|en|Membrane potential}})는 [[지질막]]으로 둘러싸인 구조의 안과 밖의 [[전위차]]를 의미한다. 주로 [[세포막]]에서 발생하는 [[전위차]]를 의미하는 [[세포 전위]]의 개념으로 많이 사용된다. 세포 밖을 기준으로 막 전위 값은 보통 -40 mV에서 -80 mV사이를 갖는다.
 
모든 동물 세포들의 세포막들은 단백질들이 껴있는 [[지질 이중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온의 이동을 막거나 확산을 돕는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 [[막관통 단백질]] 혹은 이온 펌프는 활발히 이온을 세포막 너머로 보내며 막 안팎의 농도 기울기를 형성한다. 반면 [[이온 통로]]는 마찬가지로 이온을 막 너머로 보내지만 이러한 농도차를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온 펌프와 이온 통로는 세포막에 삽입된 전기적으로 [[배터리]]와 [[저항기]]와 관계와 같으며 이와 같이 세포 안과 밖의 전압을 만들어 준다.
활성화되지 않은 일상 상태에서의 전위를 [[휴지 전위]](resting potential)이라 하며, 세포에 따라 -50 mV에서 -200 mV 정도를 보인다. [[신경 세포]] 등 [[흥분성 세포]]가 활성화될 경우 +40 mV에 이르는 [[활동 전위]](action potential)를 발생시킨다.
 
대부분의 원형질막은 안팎의 전위차를 갖고 있으며 대체로 막의 바깥에 대해 안쪽이 음전하를 띤다<ref>{{서적 인용|url=https://www.worldcat.org/oclc/887605755|제목=Molecular biology of the cell|성=Alberts, Bruce,|판=Sixth edition|위치=New York, NY|isbn=9780815344322}}</ref>. 막 전위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기본적인 기능을 갖는다. 첫째로 세포막에 있는 다양한 분자들의 작동으로 에너지를 얻음으로 세포의 배터리와 같은 기능을 한다. 둘째로 [[신경 세포|신경세포]]과 근육세포와 같은 세포들에서 전위차를 이용해 서로 다른 세포 간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신호는 한 지점의 이온 통로를 열거나 닫음으로써 세포막에 부분적으로 전위차의 변화를 주는 것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전하상 변화는 빠른 속도로 인접하거나 혹은 좀 더 먼 곳에 위치한 세포막 상의 이온 통로를 열거나 닫도록하여 신호의 재생산을 일으킨다.
 
한편, 세포들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막 전위값을 갖는 상태를 [[휴지 전위]]라 부른다. [[신경 세포]]에서의 휴지 전위는 주로 -70 mV에서 -80 mV 사이로 측정되며 이온 통로의 열고 닫힘으로 휴지 전위로부터의 탈출이 일어난다. 세포 내부의 전하가 -70 mV에서 -60mV 정도로 휴지 전위에 비해 음성을 덜 띠게 될때를 [[탈분극]] 상태라 부르고, 세포 내부의 전하가 -70 mV에서 -80mV 정도로 더욱 음성을 띠게 될 때를 [[과분극]] 상태라 부른다. 신경세포와 근육세포와 같은 흥분이 일어나는 세포에서 일어나는 충분한 탈분극은 막 전위가 짧은 시간(1에서 100 밀리세컨드 사이)에 빠르고 분명하게 변화하는 [[활동전위|활동 전위]]를 일으킨다. 활동 전위는 특정 전압의존성 이온통로(Voltage-gated ion channel)에 의해 생성된다.
 
신경 세포에서 막 전위를 변화시키는 요소들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수많은 종류의 이온 통로를 지녔으며 일부는 화학적으로, 일부는 전압의존적으로 기능을 수행한다. 전압의존성 이온 통로들은 같은 이온 통로의 전위차 변화나 복잡한 기작을 지닌 일시적으로 막 전위의 변화를 일으키는 활동 전위의 진동과 재생산 과정과 같은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s)의 영향을 받아 조절된다.
 
== 흥분성 세포 ==
줄 10 ⟶ 16:
* [[시냅스후 전위]]
 
== 외부 링크 ==
 
* https://en.wikipedia.org/wiki/Membrane_potential
{{토막글|생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