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드 신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2번째 줄:
북유럽 신화에 대해 현존하는 기록 대부분은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공식적으로 북유럽이 기독교 사회가 되어버린 이후에도 2세기 이상 구전되며 보존되어 있었다. 13세기에 학자들은 이 구두로 남아 있었던 신화를 기록하기 시작했다. 특히 기독교 이전의 신들이 실제 역사적 인물로 추적할 수 있다고 믿었던 학자, [[스노리 스투를루손]]을 통해 《[[신 에다]]》(산문 형식의 에다로 새로 지은 에다)나 《[[헤임스크링글라]]》가 쓰여졌다. 이들은 스칸디나비아의 기독교 개종 이후에 자료를 남겼지만 옛 신들을 악마로 매도하지 않고 학문적으로 탐구하려는 자세를 보였다.
 
노르드 이외의 초기 게르만 사회의 신화에 대한 정보를 담은 자료는 《[[앵글로색슨 전기]]》, 《[[베오울프]]》,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데인인의 사적]]》<ref>[[삭소 그라마티쿠스]]의 《[[데인인의 사적]]》은 북유럽 신들을 보다 강하게 에우헤메리즘화(euhemerism) 즉, 신을 인간이 신격화 된 것이라는 해석한 것이다.</ref> 등이 있다.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에도 제한적으로나마 정보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에다]]”라고 불리는 두 작품, 즉 스노리의《[[신 에다]]》와 《[[고 에다]]》가 노르드 신화 연구에 가장 귀중한 자료이다.
 
《[[신 에다]]》(산문 에다)를 13세기 초기에 쓴 [[스노리 스투를루손]]이라는 인물은 뛰어난 시인이자, 지도자로 [[아이슬란드]]의 외교관이기도 했다. 이 ‘에다’는 본래 그 기법을 배우고자 하는 시인들을 위한 입문서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이 작품에는 전통적인 케닝(완곡표현 기법)이나 시에 담긴 은유 표현을 산문 형식으로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있다. 이러한 산문체의 이야기가 북유럽의 신들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체계적이고, 시작과 끝을 일관되게 한 것이다.
21번째 줄:
 
[[프랑크 왕국]]의 [[카를 대제]]는 게르만족의 기독교 이전 기록을 많이 수집했다고 하지만 이는 그의 사후 다른 이들이 없애 버렸다.
[[File파일:Rökstenen.jpg|thumb섬네일|left|150px|[[룬돌]] 중 하나인 레이크 룬돌]]
레이크 룬돌(Rök Runestone)과 크비네비 목걸이(Kvinneby amulet)처럼 표면에 새겨져 있는 극소수의 [[룬 문자]]의 비문에도 신화에 대한 언급이 존재한다. [[토르]]의 낚시 여행과 볼숭 사가의 장면, [[오딘]]과 [[슬레이프니르]]와 [[펜리르]]에 삼켜지는 오딘 등 북유럽 신화의 장면을 그린 룬 비석이나 그림 비석도 있다. 현존하는 훈네스타트 비석(Hunnestad Monument) 중 하나에는 늑대에 걸터앉아 [[발드르]]의 장례식에 가는 [[히로킨]]이 그려져 있다.
 
29번째 줄:
 
==세계관==
[[File파일:Yggdrasil.jpg|thumb섬네일|260px|right|세계수 [[이그드라실]]]]
북방 민족은 세상에 아홉 개의 세계가 있다고 믿었다.
 
54번째 줄:
북유럽 신화의 우주관은 강한 이원론적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낮과 밤은 낮의 신 [[다그]]와 그가 타는 말 [[스킨팍시]], 밤의 신 [[노트]]와 그가 타는 말 [[흐림팍시]]가 신화에서 상응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태양의 여신 [[솔 (노르드 신화)|솔]]을 쫓는 늑대 [[스콜 (노르드 신화)|스콜]]과 달의 신 [[마니 (노르드 신화)|마니]]를 쫓는 늑대 [[하티 흐로드비트니손|하티]]도 역시 그러한 요소이다. 세계의 기원이 되는 [[니플헤임]]과 [[무스펠스헤임]]이 모든 면에서 상반되고 있는 점도 그러한 관점에서 찾을 수 있다. 이것은 세계 창조의 대립에서 깊은 형이상학적 신앙을 반영한 것일 수도 있다.
 
== 각주 ==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