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언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출처 필요|날짜=2012-11-27}}
'''메타언어'''는 대상을 직접 서술하는 언어 그 자체를 다시 언급하는 언어나 심볼(symbol)<ref>2010. ''Cambridge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ictionary online. Available from http://dictionary.cambridge.org/dictionary/british/metalanguage Internet. Retrieved 20 November 2010</ref>로서 '''고차언어'''(高次言語)라고도 한다. 메타 언어의 문장이나 절의 구조는 [[메타문법]]으로 기술된다.<ref>van Wijngaarden, A., et al. "[https://link.springer.com/chapter/10.1007/978-3-642-95279-1_2 Language and metalanguage]." Revised Report on the Algorithmic Language Algol 68. Springer, Berlin, Heidelberg, 1976. 17-35.</ref>
 
줄 10 ⟶ 9:
== 개념의 등장 배경 ==
메타언어는 다양한 [[거짓말쟁이의 역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도입된 개념이다. 고대 그리스시대에 탄생된 역설인 [[에우불리데스]](Εὑβουλίδης)의 역설부터 대표적인 집합론적 역설의 하나인 러셀의 역설과 의미론적 역설의 하나인 [[이발사의 역설]] 등까지 오랫동안 정확히 참 또는 거짓으로 증명할 수 없어 해결 불가능한 난제로 여겨져 왔던 다양한 거짓말쟁이의 역설들은 20세기 폴란드의 논리학자이자 수학자인 [[알프레트 타르스키]] 에 의해 해결되었다. 그는 어떤 사실에 대해 말하는 말과 그것에 대해 다시 말하는 말이 서로 계층을 달리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해 두 언어를 분리하여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부터 거짓말쟁이의 역설과 같은 논리적 모순이 발생한다고 설명하였다. 이 과정에서 타르스키는 전자의 말을 후자의 말의 목표가 되는 대상언어로, 후자의 말은 전자의 말을 다시 한 번 서술하는 메타언어로 규정하였다.
 
== 같이 보기 ==
* [[범주론]]
* [[메타 커뮤니케이션]]
* [[메타윤리학]]
* [[메타픽션]]
* [[메타철학]]
* [[반언어적 표현]]
* [[자기언급]]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http://pespmc1.vub.ac.be/METALARE.html Metalanguage], ''[[Principia Cybernetica]]''.
* [http://lists.village.virginia.edu/lists_archive/Humanist/v20/0091.html Willard McCarty (submitted 2006) Problematic Metaphors], ''Humanist Discussion Group'', Vol. 20, No. 92.
 
[[분류:메타논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