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왕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211.251.168.128(토론)의 24094749판 편집을 되돌림
10번째 줄:
표면상에 아무 특징도 없는 천왕성과 달리 해왕성의 대기에서는 역동적이며 관측 가능한 기상 현상이 측정되고 있다. 1989년, 보이저 2호의 해왕성 [[행성 접근 통과|접근 통과]] 때 해왕성의 남반구에서 목성의 [[대적점]]에 필적하는 [[대암반]]이 발견된 것이 그 예들 중 하나이다. 이런 기상 현상들은 시속 2100 킬로미터 속도의, 태양계에서 가장 강력한 바람으로 유지된다.<ref name="Suomi1991">{{저널 인용 | 성=Suomi | 이름=V. E. | 저자2=Limaye, S. S. | 저자3=Johnson, D. R. | 날짜=1991 | 제목=High Winds of Neptune: A possible mechanism | 저널=[[사이언스|Science]] | volume=251 | issue=4996 | 쪽=929–932 | 출판사=AAAS (USA) | doi=10.1126/science.251.4996.929 | pmid=17847386 }}</ref> 태양에서 엄청나게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해왕성의 바깥쪽 대기는 태양계에서 가장 추운 장소들 중 하나이며, 구름층의 꼭대기는 거의 −218 [[섭씨|℃]](55 [[켈빈|K]])에 달한다. 반면 행성 중심부의 온도는 대략 5000 ℃(5400 K)이다.<ref name=hubbard>{{저널 인용 | 성=Hubbard | 이름=W. B. | 제목=Neptune's Deep Chemistry | 저널=Science | 날짜=1997 | volume=275 | issue=5304 | 쪽=1279–1280 | url=http://www.sciencemag.org/cgi/content/full/275/5304/1279 | 확인날짜=2008-02-19 | doi=10.1126/science.275.5304.1279 | pmid=9064785 }}</ref><ref name="nettelmann">{{웹 인용 | 성=Nettelmann | 이름=N. | 저자2=French, M. | 저자3=Holst, B. | 저자4=Redmer, R. | url=https://www-new.gsi.de/informationen/wti/library/plasma2006/PAPERS/TT-11.pdf{{깨진 링크}} | 형식=PDF | 제목=Interior Models of Jupiter, Saturn and Neptune | 출판사=University of Rostock | 확인날짜=2008-02-25 }}{{깨진 링크|url=https://www-new.gsi.de/informationen/wti/library/plasma2006/PAPERS/TT-11.pdf%7B%7B%EA%B9%A8%EC%A7%84 }}</ref> 해왕성에는 파편으로 이루어진 희미한 [[행성의 고리|고리 구조]]가 있는데, 1960년대에 이에 대한 존재에 대해 논란이 있다가 1989년에 보이저 2호의 탐사를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다.<ref name=ring1>{{뉴스 인용 | 성=Wilford | 이름=John N. | 날짜=1982년 6월 10일 | 제목=Data Shows 2 Rings Circling Neptune | 출판사=The New York Times | url=http://query.nytimes.com/gst/fullpage.html?sec=technology&res=950DE3D71F38F933A25755C0A964948260&n=Top/News/Science/Topics/Space | 확인날짜=2008-02-29 }}</ref>
 
== 해왕성 연구의 역사 ==
== 해왕성 연구의 역사 ==응아니야 있다. 하지만 갈릴레오는 [[목성]] 옆에 있던 해왕성을 [[붙박이별]]로 착각했으므로,<ref>{{서적 인용 | 이름=Alan | 성=Hirschfeld | 제목=Parallax: The Race to Measure the Cosmos | 날짜=2001 | 출판사=Henry Holt | 출판위치=New York, New York | isbn=0-8050-7133-4 }}</ref> 해왕성을 행성으로서 발견한 사람은 아니다. 1612년 12월의 첫 관측 당시 해왕성은 막 [[겉보기 역행 운동|역행 운동]]으로 돌아선 때였기 때문에 겉보기상으로는 움직이지 않았다. 해왕성이 역행 주기를 시작했을 때엔 움직임이 너무 미약해서 갈릴레오의 부실한 [[망원경]]으로는 감지하기에 무리였을 것이다.<ref>{{서적 인용 | 이름=Mark | 성=Littmann | 저자2=Standish, E. M. | 제목=Planets Beyond: Discovering the Outer Solar System | 날짜=2004 | 출판사=Courier Dover Publications | isbn=0-4864-3602-0 }}</ref> 한편 [[멜버른 대학교]]의 천문학자 데이비드 제이미슨은 2009년 7월에, 갈릴레오가 자신이 발견한 별이 다른 붙박이별들과 달리 움직였다는 것을 알아차렸다는 새로운 증거가 발견되었다고 주장했다.<ref>{{웹 인용| | 제목=Galileo discovered Neptune, new theory claims | 이름=Robert Roy | 성=Britt | 날짜=2009 | 출판사=MSNBC News | 확인날짜=2009-07-10 | url=http://www.msnbc.msn.com/id/31835303 }}</ref>
 
1821년에 [[알레시 부봐르]]가 해왕성의 이웃 행성, 천왕성의 [[궤도]]에 대한 천문표를 출판했다.<ref>{{서적 인용 | 이름=A. | 성=Bouvard | 날짜=1821 | 제목=Tables astronomiques publiées par le Bureau des Longitudes de France | 출판사=Bachelier | 출판위치=Paris }}</ref> 그런데 이후의 관측에서 천문표와 어긋나는 결과가 상당량 발견되었으며, 부봐르는 미지의 물체가 [[중력]]적 상호 작용을 통해 천왕성의 궤도에 [[섭동 (천문학)|섭동]]을 일으킨다는 가설을 세웠다.<ref name=MNRAS7 /> 1843년에는 [[존 쿠치 애덤스]]가 천왕성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상의 여덟 번째 행성의 궤도를 계산했다. 애덤스는 자신의 계산 결과를 [[왕실천문관]] [[조지 비델 에어리|조지 에어리 경]]에게 보냈는데, 에어리는 애덤스에게 해명을 좀더 요구했다. 애덤스는 답신의 초고를 쓰기 시작했지만 보내지는 않았으며, 이후 천왕성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루지 않았다.<ref>{{웹 인용| | 이름=John J. | 성=O'Connor | 저자2=Robertson, Edmund F. | 날짜=2006-03 | url=http://www-groups.dcs.st-and.ac.uk/~history/Extras/Adams_Neptune.html | 제목=John Couch Adams' account of the discovery of Neptune | 출판사=University of St Andrews | 확인날짜=2008-02-18 }}</ref><ref>{{저널 인용 | 이름=J. C. | 성=Adams | url=http://adsabs.harvard.edu/cgi-bin/nph-bib_query?bibcode=1846MNRAS...7..149A&db_key=AST&data_type=HTML&format=&high=42c888df4622238 | 제목=Explanation of the observed irregularities in the motion of Uranus, on the hypothesis of disturbance by a more distant planet | 저널=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 volume=7 | 쪽=149쪽 | 날짜=1846-11-13 | 확인날짜=2008-02-18 | 출판사=Blackwell Publishing}}</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