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교육: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14)
편집 요약 없음
태그: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1번째 줄:
{{다른 뜻|일제 강점기의 교육|광복 후의 교육|광복([[1945년]]) 전의 교육}}
 
'''대한민국의 교육'''은 분야가 크게 유아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 평생교육으로 나뉘고,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은 의무교육이다. 학제는 6·3·3·4제로, 모든 학생이 동일한 학교 계통을 밟을 수 있게 하는 단선형 학제이다. [[대한민국 정부]] [[교육부]]에서 관장한다. 상당히 높은 교육열에 힘입어 거의 모든 학생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진학하며, 대학 진학률은 67%에 달한다. 한국의 교육은 근 40년 가까이 학생들을 무한 경쟁에 내모는 입시 위주 교육이라는 비판을 들어 왔다. 역대 모든 정부가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 개혁을 자주 시도하였으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것은 하나도 없다. 대한민국 학생의 70%가 공교육을 불신하여 사교육을 받는 문제<ref name=":2">{{웹 인용본문|url=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697|제목=국가지표체계|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도대한민국 끊임없이교육의 지적받아 왔다. 저출산의 여파로 1980년 대비 2017년 학생 수는 크게 감소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37|제목=국가지표체계|언어=ko|확인날짜=2018-10-23역사}}</ref>
 
== 역사 ==
{{본문|대한민국 교육의 역사}}
대한민국 교육의 역사는 [[고조선]], [[준왕]]이 [[위만]]에게 박사 직위를 수여한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원삼국 시대]]에는 중국에서 한자를 들여와 사용할 만큼 초보적인 교육 체계가 발달하였으며, [[삼국 시대]]에 들어와서는 중국의 유학을 흡수하고 무예를 연마하게 할 만큼 발전하였다. [[고려]] 때는 [[음서]]와 [[과거제]]가 등장하였고, [[조선]]은 [[성균관]], [[집현전]], [[서당]]으로 [[성리학]] 연구를 장려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근대적 교육 제도가 도입되었다.
=== [[미 군정기]] ===
줄 70 ⟶ 67:
{{본문|대한민국의 초등학교}}대한민국의 초등교육은 초등학교에서 받을 수 있다. 의무교육이므로 모든 교육은 전액 무료로 제공된다. 만 6세가 되는 해에 입학하는 것이 원칙이나, 만 5세 또는 7세에 입학하는 것도 가능하다. 6·3·3·4 학제의 첫 단계로서, 일반적으로 6학년제이다. 초등교육을 제대로 이수하지 못하고 취학 연령을 초과한 경우 [[공민학교]]에서 3년간 초등교육을 받을 수 있으나, 현재 운영되는 공민학교는 없다. 2017년 기준 대한민국에는 교육부로부터 인가받은 초등학교가 6천 개 가량 있으며, 이 가운데 99%가 국공립이다.<ref name=":0" /> 초등학교 취학률은 97.3%이다.<ref name=":1" />
 
학기는 보통 3월에 시작하여 7, 8월에 여름방학이 있고, 12월, 1월에 겨울방학을 지낸 뒤 익년 2월에 종업 또는 졸업을 한다. 등교 시각은 9시이며, 1교시 수업은 9시 10분에 시작한다. 매 교시는 40분, 쉬는 시간은 10분이다. 최대 수업 시간은 6교시이다. 학생들은 학교에 있는 시간의 대부분을 자기 반 교실에서 보낸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주 5일제로 수업한다. 초등학교 1, 2학년은 오후 1시에, 3, 4학년은 오후 2시에, 5, 6학년은 오후 3시에 모든 수업이 끝난다. 맞벌이 부부가 많아지면서 오후 2~6시에 아이를 맡길 곳을 찾지 못하는 부모가 늘어났다. 이들은 대개 '학원 뺑뺑이'를 돌리거나 직장을 그만두고 '경력단절여성'이 되는 길을 택한다. 이에 대한 방책으로 정부는 초등학교 수업 시간을 늘리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11/0200000000AKR20171211136800017.HTML|제목=저출산 해법으로 초등 수업시간 확대 검토…교육계는 반대|성=서한기|날짜=2017-12-15|뉴스=연합뉴스|언어=ko-KR|확인날짜=2018-10-23}}</ref> 초등학생들의 82.3%는 사교육을 받으며, 월 평균 30만 원을 사교육비로 지출한다.<ref name=":2">{{웹 인용|url=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697|제목=국가지표체계|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
 
성적 제도는 [[절대평가]]이다. 시험을 치르기는 하나 성적이 수치화되어 기록에 남지는 않고, 대개 '잘함', '보통', '부족'과 같이 대략적으로만 나눈다. 급식은 [[무상급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