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14)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27번째 줄:
 
== 개요 ==
[[파일:Japanese Prisoner of War Interrogation Report No. 49 p1.png|섬네일|1944년 10월 1일 [[미군]]에 의한 [[미얀마|버마]] [[미치나]]의 [[한국인]] 일본군위안부 보고서 페이지 1 <ref name="대기원시보20140317"/>]]
[[파일:Japanese Prisoner of War Interrogation Report No. 49 p2.png|섬네일|1944년 10월 1일 미군에 의한 버마 미치나의 한국인 일본군위안부 보고서 페이지 2]]
[[파일:Japanese Prisoner of War Interrogation Report No. 49 p3.png|섬네일|1944년 10월 1일 미군에 의한 버마 미치나의 한국인 일본군위안부 보고서 페이지 3]]
231번째 줄:
* 2015년 12월 28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은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20여년을 끌어온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가 "최종 해결됐다"고 선언했다.
 
* [[2016년]] [[12월 23일]], 기부금은 한국 정부에 의해 설립 된 '화해 · 치유 재단 "에 의해 위안부로 현금 지급되며, 생존 위안부 중 46 명 중 36 명이 수신을하고있다. 사망 한 위안부에 대해 35 명의 유족이 인수를 표명하고있다. <ref>위안부 34 명이 현금 지급 받아 한국 정부의 재단 발표
[http://www.asahi.com/articles/ASJDR5401JDRUHBI01H.html] </ref>
 
419번째 줄:
* 양석일, 《다시 오는 봄》 (김응교 옮김, 산책, 2012)
* 하야시 히로후미, 《일본의 평화주의를 묻는다:전범재판 헌법 9조 동아시아 연대》(현대일본사회연구회 역, 도서출판 논형, 2012)
* 윤명숙 저. 최민순 역. 《조선인 군위안부와 일본군 위안소제도》. 이학사. 2015년. {{ISBN|9788961472128}} <ref>김혜영.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69&aid=0000052144 "위안부는 식민지 지배 책임의 문제… 日 우익에 말려들어선 안돼"]. 한국일보. 2015년 3월 15일.</ref>
* 정영환 저. 임경화 역. 《누구를 위한 화해인가》. 푸른역사. 2016년. {{ISBN|9791156120773}} <ref>[http://www.infinitelooper.com/?v=3aQvzrwVwhE&p=n 누구를 위한 화해인가 출판기념회(부분편집본) 2016.7.1.]</ref>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