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국 (제2차 세계 대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175.214.156.235(토론)의 편집을 Trainholic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344번째 줄:
*{{국기그림|폴란드|1928}} [[폴란드 제2공화국]] : 1939년 9월 1일
*{{국기나라|오스트레일리아}} : 1939년 9월 3일
*{{국기그림|프랑스|1794}} [[프랑스 제3공화국]] : 1939년 9월 3일 <ref>[[자유 프랑스]] [[망명 정부]]는 1940년 6월 18일부터 1944년 8월 19일까지 영국과 함께 전쟁을 치루었다. [[필리프 페탱]]의 [[비시 프랑스]] 정부는 공식적으로 1940년 6월 22일에 항복하고 이후 추축국의 협력국이 되었다. [[자유 프랑스]]의 연합군의 전쟁 노력의 기여는, [[프랑스 공화국 임시 정부]]가 공식적으로 1944년 10월 23일에 프랑스의 합법적인 정부로 연합군에게 인정받았다([http://www.ordredelaliberation.fr/fr_doc/1_1_1_1.html Ordre de la Libération] {{웨이백|url=http://www.ordredelaliberation.fr/fr_doc/1_1_1_1.html |date=20090704122524 }}). 1940년 페탱의 항복으로 법적으로는 비시 정권이 합법적인 정부였다([http://www.legifrance.gouv.fr/affichTexte.do;jsessionid=E79852A4775DD1EE2B2FFC999A64A723.tpdjo06v_2?cidTexte=LEGITEXT000006071212&idArticle=&dateTexte=20090916 ref])</ref>
*{{국기나라|뉴질랜드}} : 1939년 9월 3일
*{{국기나라|영국}}: 1939년 9월 3일
**{{국기그림|인도|영국령}} [[영국령 인도 제국]]: 1939년 9월 3일 <ref name="Britannica 1" /><ref name = "UN Declaration 2" /><ref>외국과 군사 사무는 영국이 통치하는 동안, 영국 정부는 인도에게 특정 문제에 대해 행동할 수 있게 [[유엔 연맹]] 이후 자치권이 주어졌다.</ref><ref name="UN Charter" />
*{{국기그림|남아프리카 공화국|1928}} [[남아프리카 연방]]: 1939년 9월 6일
*{{국기나라|캐나다|1921}}: 1939년 9월 10일
*{{국기나라|덴마크}}: 1940년 4월 9일 <ref>독일은 1940년 덴마크를 점령하고 덴마크 정부는 항복했다. 1942년 덴마크 정부는 해산되고 나치 독일의 직접적인 통치를 받게 되었다. 덴마크는 1945년 UN 창립 회원으로 인정받았다.</ref>
*{{국기나라|노르웨이}}: 1940년 4월 9일
 
359번째 줄:
*{{국기나라|네덜란드}}: 1940년 5월 10일
*{{국기그림|그리스|왕국}} [[그리스 왕국]]: 1940년 8월 28일
*{{국기나라|유고슬라비아 왕국}}: 1941년 4월 6일 <ref name="yugo">[[추축국]]의 정식 국가가 된 기간은 1941년 3월 25일부터 4월 6일까지로,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처음으로 유고슬라비아 왕국 망명 정부로 연합군에게 합법 정부로 인정받았다.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은 [[제2차 AVNOJ 컴퍼런스]]에서 왕국을 성공하게 되고, 1943년 11월 29일에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에 의해 [[유고슬라비아 파르타잔]]을 세우고, 이틀 후 [[테헤란 회담]]에서 공식적인 유고슬라비아 무장 저항군으로 인정되었다.</ref>
 
=== 소련 침공 이후 ===
{{참조|바르바로사 작전}}
*{{국기나라|소련|1924}}: 1941년 6월 22일
**[[파일:Flag of Ukrainian SSR (1937-1949).svg|22px]]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우크라이나 SSR]]: 1941년 6월 22일 <ref>소련은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의 지배국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동맹의 지배에서 스탈린을 안심시키고 전쟁 끝에 영국과 미국은 별도의 전쟁국으로 인정했다.</ref>
**[[파일:Flag of Byelorussian SSR.svg|22px]]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벨로루시 SSR]]: 1941년 6월 22일
*[[파일:Flag of the Tuvan People's Republic (1933-1939).svg|22px]] [[탄누 투바|탄누 투바 공화국]]: 1941년 6월 25일 (1944년 소련에게 합병)
379번째 줄:
*{{국기나라|온두라스}}: 1941년 12월 8일
*{{국기나라|니카라과|1908}}: 1941년 12월 8일
*{{국기나라|중화민국}}: 1941년 12월 9일 <ref>[[일본 제국]]과는 1937년부터 전쟁하였다.</ref>
*{{국기나라|과테말라}}: 1941년 12월 9일
*{{국기나라|쿠바}}: 1941년 12월 9일
*{{국기그림|필리핀|1919}} [[필리핀|필리핀 연방]]: 1941년 12월 9일 <ref name="Britannica 1" /><ref name="UN Declaration 2" /><ref name="UN Charter" >{{웹 인용|url=http://www.un.org/en/members/growth.shtml |제목=United Nations member States – Growth in United Nations membership, 1945–present |publisher=Un.org |date= |accessdate=2010-05-15}}</ref><ref>필리핀 외교 및 군사 업무는 미국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망명정부는 1942년 6월 10일 서명했다.</ref>
*{{국기나라|대한민국 임시정부}}: 1941년 12월 10일 <ref>[http://korean.cqnews.net/html/2012-06/08/content_16419455.htm 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중국측 페이지 중 대일선전포고에 관한 내용 발췌] {{웨이백|url=http://korean.cqnews.net/html/2012-06/08/content_16419455.htm |date=20130731071306 }} -"한국광복군은 창설 이후 1942년 ‘조선의용대’까지 편입하여 4개 지대와 특파단 공작대 등을 편성함으로써 조직적인 군사력을 갖게 되었다. 이 같은 한국광복군의 무장력을 바탕으로 임시정부는 1941년 12월 태평양전쟁이 일어나자 ‘대일선전성명서’를 발표하고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할 것을 천명하였다. 그리고 중국군은 물론 영국군과 미군과도 연합작전을 수행하여 인도와 미얀마 전선에까지 공작대를 파견하여 전투를 별였고 정보수집, 선전활동 등에 주력해 활동하기도 하였다. 그런가 하면 1944년에는 미군전략정보처와 군사합작을 합의하여 광복군 선발 대원들이 특수훈련을 받아 국내에 진공할 만반의 준비를 다 하였다."</ref><ref>[http://mpva.tistory.com/1518 보훈처 대일선전포고 70주년 기념식 내용 발췌 부분] "2011년 12월 10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일선전포고 7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대일선전포고는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닙니다. 1941년 12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일선전포고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존재를 세계에 알리고,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을 향한 기개와 저력을 세계 만방에 천명한 날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항일 투쟁의 구심점이었던 임시정부가 진주만을 습격해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 일본에 대해 응징을 선언함으로써 연합국의 일원으로서 존재감을 각인시키는 계기도 되었습니다. 하루 앞선 12월 9일 오늘 오전 11시, 백범기념관에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일선전포고 70주년 기념식이 진행되었는데요.박유철 광복회장, 최완근 서울지방보훈청장을 비롯하여 독립운동 관련 단체장과 광복회원 등 300여 명이 기념식에 참석하셨습니다. 70주년 기념식은 한국독립유공자협회장의 식사와 한국광복군동지회장의 대일선전포고문 낭독에 이어 서울지방보훈청장, 광복회장의 축사, 3.1여성동지회의 독립군가 합창, 원로 애국지사의 만세삼창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중략)...</ref>
*{{국기그림|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 1941년 12월 16일 <ref>[[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는, 1939년 3월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결성되었다. 망명중인 체코는 전쟁 초기부터 연합군과 같이 전쟁하였다.</ref>
 
=== 연합국 공동 선언 이후 ===
390번째 줄:
*{{국기나라|멕시코|1934}}: 1942년 5월 22일
*{{국기나라|브라질|1889}}: 1942년 8월 22일
*{{국기나라|에티오피아|1897}}: 1942년 12월 14일 <ref>이전에 [[아비시니아 위기]]로 인해 [[이탈리아 왕국 (1861-1946)|이탈리아]]를 통해 합병되었다.</ref>
*{{국기나라|이라크|1924}}: 1943년 1월 17일 <ref name="Occupied by Allies in 1941">1941년에 연합군이 점령했다.</ref>
*{{국기나라|볼리비아}}: 1943년 4월 7일
*{{국기나라|콜롬비아}}: 1943년 7월 26일
*{{국기그림|이란|1925}} [[팔라비 왕조]]: 1943년 9월 9일 <ref name="Occupied by Allies in 1941"/>
*{{국기나라|이탈리아 왕국}}: 1943년 8월 13일<ref>추축국 구성원이였다. 이탈리아는 1943년 9월 8일 연합군에게 항복하고 10월 13일에 독일에게 선전포고하였다. 이탈리아는 7월 14일에 일본에게 선전포고했다. 이 나라는 전쟁 중 유엔에 가입하지 않았다.</ref>
*{{국기나라|라이베리아}}: 1944년 1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