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위안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14)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32번째 줄:
[[한국전쟁]] 중이었던 [[1951년]] 한국 정부는 한국군 위안소를 운영했다.<ref name="Soh215">{{서적 인용|last= Soh |first= Sarah |title= The Comfort Women: Sexual Violence and Postcolonial Memory in Korea and Japan |url=http://books.google.co.kr/books?id=GIHcaFVxXf0C&pg=PA347&dq=Special+Comfort+Unit&hl=en&sa=X&ei=tFPKU7nwIdGB8gXexoH4DA&ved=0CCIQ6AEwAQ#v=onepage&q=Special%20Comfort%20Unit&f= |publisher=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Press]] |year=2009 |ISBN= 0226767779 |page= 215}}</ref><ref name=중앙일보20020224>[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113096&ctg=12 "한국전때 군위안부 있었다"] {{웨이백|url=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113096&ctg=12 |date=20140728005603 }} 중앙일보 2002.02.24</ref><ref name="경남도민일보20020223">[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7382 "한국군도 위안부 운영" 충격] 경남도민일보 2002년 02월 23일 </ref><ref name="한겨레20140704">[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45560.html “조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소녀들의 충정은…”] 한겨레 2014.07.04</ref> 이 한국군 위안소는 [[대한민국 국군]] 장병들과 유엔군 장병들이 이용했다.<ref name=프레시안20140703>[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18436 "위안부 아니라 위안소 문제, 명백한 국가 범죄"] [[프레시안]] 2014.07.03</ref><ref name=newdaily20090601a/><ref name="Höhn51">{{서적 인용 |last= Höhn |first= Maria |title= Over There: Living with the U.S. Military Empire from World War Two to the Present |url=http://books.google.co.kr/books?id=PvwcGFI0C9sC&pg=PA46&dq=Yanggongju+prostitue&hl=en&sa=X&ei=-zdhUZbJDMWOige_t4HgCw&redir_esc=y#v=onepage&q=Yanggongju%20prostitute&f= |publisher= Duke University Press |year=2010 |ISBN= 0822348276 |page= 51}}</ref> 이때 위안소 여성들은 별칭으로 '''특수 위안대''', '''제5종 보급품''' 등으로 불리었다.<ref name="Soh215"/><ref name=newdaily20090601a/> 미군이 이용한 위안부 중에서는 위안부 한 명씩 드럼통에 넣어져 [[트럭]]으로 [[최전선]]에 투입된 여성들도 있었다.<ref name=newdaily20090601a/> [[차규헌]] [[육군]] [[4성 장군|대장]]과 [[채명신]] [[육군]] [[중장]]은 이때의 위안소 설치 사실을 증언했으며<ref name="경남도민일보20020223"/> [[1956년]]에 [[대한민국 육군본부]]가 작성한 후방 전사 위안대에 대해 적혀있다.<ref name="한겨레20140704"/><ref name="일요시사20020326">[https://web.archive.org/web/20030221104346/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323/TM_0302.html ‘한국군 위안부’문제 제기한 김귀옥 박사 “밝혀진 건 퍼즐의 일부”] 일요시사신문 2002년 3월 26일 323호</ref>
 
{{인용문|표면화한 이유만을 가지고 간단히 국가시책에 역행하는 [[모순]]된 활동이라고 단안하면 별문제이겠지만 실질적으로는 [[사기]]앙양은 물론 전쟁사실에 따르는 피할 수 없는 폐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대가 없는 전투로 인하여 후방 내왕이 없으니만치 이성에 대한 동경에서 야기되는 생리작용으로 인한 성격의 변화 등으로 [[우울증]] 및 기타 지장을 초래함을 예방하기 위하여 본 '''[[특수 위안대]]'''를 [[설치]]하게 되었다.<br>''[[대한민국 육군본부]] 군사감실 "후방전사 인사편", [[1956년]], 148쪽'' <ref name=newdaily20090601a/>}}
 
== 기지촌 여성 ==
50번째 줄:
=== 성병 감염 ===
[[파일:66 percent of comfort women infected with venereal disease reported by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1959.jpg|섬네일|왼쪽|전국 접객여인 검진 결과 위안부 66%가 보균자라는 1959년 10월 18일 동아일보 기사]]
[[1972년]]의 주한미군 1천 명당 [[성병]] [[발생]] 건수는 692건이었다.<ref name="한겨레20121130">[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63197.html 유신공주는 양공주 문제엔 관심이 없었다] 한겨레 2012.11.30</ref> 대한민국은 [[성병]]에 걸린 [[미군]]이 자신의 상대방으로 지목한 여성을 찾는 접촉자 추적조사를 하여<ref name="여성신문20140721" /><ref name="StarsandStripes20141218" /> 지목된 여성들을 "멍키 하우스"라고 불리는 낙검자 수용소에 보냈다.<ref name="donga200508c">[http://woman.donga.com/docs/magazine/woman/2005/08/02/200508020500023/200508020500023_3.html 25년간 기지촌 ‘양색시’로 살다 기지촌 운동가로 변신한 김연자”성매매는 사랑받지 못하고 존중받지 못해 생긴 마음의 병에서 비롯 전문적이고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해요”] [[동아일보]] 2005년 08월호</ref><ref name="nytimes20090107">[http://www.nytimes.com/2009/01/08/world/asia/08korea.html?pagewanted=1&_r=3&sq=Comfort Ex-Prostitutes Say South Korea and U.S. Enabled Sex Trade Near Bases] [[뉴욕 타임스|New York Times]] January 7, 2009 </ref><ref name="한겨레20121130" /> 미군과 한국 정부는 수용소에서 여성들의 성병 검사를 했는데,<ref name="경향신문20140720">[[:en:Katharine Moon|Katharine Moon]]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7202141485&code=970201 캐서린 문 미 브루킹스연구소 초대 한국석좌 “기지촌 여성 문제도 보편적 여성 인권과 인신매매의 관점에서 봐야”] [[경향신문]] 입력2014-07-20 수정2014-07-21</ref> 이때 성병에 걸린 여성들은 성병이 완치될 때까지 일반 의료 행위보다 과도한 페니실린을 투입받았고 이로 인해 생긴 [[페니실린]] 쇼크로 사망하는 여성들도 상당했다.<ref name="프라임경제20131106" /><ref name="joong20050731" /><ref name="hankyoreh20140704a" /><ref name="한겨레20140815a" /><ref name="StarsandStripes20141218" /> 하지만 의료 사고 낸 의사들을 [[불기소]] 처분하겠다는 공문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이들이 실제 처벌받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ref name="hankyoreh20140704a" /><ref name="한겨레20140815a" />
 
=== 90년대 이후 ===
76번째 줄:
[[한미연합군사령부|한미연합군사령관]] [[커티스 스캐퍼로티]]([[:en:Curtis Scaparrotti|en]]) [[4성 장군|대장]]은 미국 병사에게 매춘과 주스바를 금지했다.<ref name=washingtonpost20141031>[http://www.washingtonpost.com/news/checkpoint/wp/2014/10/31/the-u-s-militarys-long-uncomfortable-history-with-prostitution-gets-new-attention/ The U.S. military’s long, uncomfortable history with prostitution gets new attention] [[워싱턴 포스트] October 31, 2014</ref>
== 미군 위안부라는 명칭에 대한 논란 ==
1990년대 초까지 위안부라는 표현은 군인을 대상으로 성매매를 하던 사람을 포함하는 말로 사용됐다. 오늘날에는 [[위안부]]라는 말이 국가에 강제로 동원된 여성을 뜻하는 말로 쓰여 기지촌 여성을 위안부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한지 논쟁이 있다. '미군 위안부' 단어 사용을 반대하는 측에서는 민간에 의한 인신매매와 국가의 관리가 있었을 뿐이라며 기지촌 여성을 미군 위안부로 지칭하는게 반대하고 있다. <ref>장익창.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2&aid=0002594444 유승희 "박정희 시절‘미군위안부’관리, 대통령 친필 결재 서류 존재"]. 세계일보. 2013년 11월 6일.</ref> <ref>김효섭.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2373545 유승희 “박정희 정부, 기지촌 여성 직접 관리”]. 서울신문. 2014년 11월 7일.</ref>
<ref>허재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238249 “조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소녀들의 충정은…”]. 한겨레. 2014년 7월 5일.</ref> <ref>허재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242882 미군 위안부, 우린 일본 우익 망언에 당당한가]. 한겨레. 2014년 8월 17일.</ref>
 
== 문화 속의 여성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