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비히 판 베토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클래식 음악 이동; 예쁘게 바꿈
46번째 줄:
==== [[모차르트]]와의 만남 ====
 
모차르트의 전기작가인 오토 얀(Otto Jhan)은 모차르트가 베토벤의 천재성에 감탄했다는 일화를 전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ref>베토벤 평전과 작품, 현음사, 음악평론가 이순열 저, 1984년 7월 30일 1쇄 발행, 1992년 12월 10일 3쇄 발행, 38쪽</ref>
 
{{인용문|베토벤이 17살이 되던 해인 1787년, 오스트리아의 수도인 빈으로 여행을 떠난다. 그 여행의 목적이 베토벤 자신은 모차르트를 만나기 위해서라고 단정짓고 있지만, 꼭 그때문만은 아니었다. 이때까지 접해보지 못했던 새로운 자연과 새로운 음악을 접하고 싶은 마음도 충분히 내재하고 있었을 것이다. 모차르트는 베토벤이 만나고 싶다는 청을 듣고 거절할 마음도 있었지만, 베토벤의 고향인 본에서 유명한 작곡가라는 말에 베토벤을 만나게 된다. 모차르트의 요구에 의해 베토벤은 즉흥곡을 연주했는데, 모차르트는 베토벤이 그것을 암기하고 치는거라 여기고 별로 탐탁치 않게 생각했다. 그러자 베토벤은 평상시에 가장 자신있던 즉흥실력을 모차르트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모차르트에게 즉흥곡의 테마 주제를 요청한다. 흥이 일기만 하면 즉흥연주에 뛰어난 솜씨를 자랑하던 그였고, 베토벤의 뛰어난 연주는 모차르트를 감탄시키기에는 너무나 충분하였다. 그 즉흥곡을 듣고, 모차르트는 여러 친구들이 모여있는 옆방으로 뛰어가 이렇게 외쳤다. "저 사내를 잘 지켜보게, 나보다 유명하게 될 존재가 나타났다네." }}
109번째 줄:
1801년에 베토벤은 친구들에게 편지를 보내어 자신의 증상을 설명하고 이로 인해 음악 활동과 사회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알렸다.(그러나 그의 가까운 친구 일부는 이미 청력 상실을 알고 있었던 것 같다.)<ref name="Cooper108">[[#Cooper|Cooper (2008)]], p. 108</ref> 베토벤은 의사의 조언에 따라 빈 외곽에 있는 작은 마을인 [[하일리겐슈타트]]에서 1802년 4월부터 10월까지 지내며 자신의 증세에 적응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하일리겐슈타트 유서]]를 쓰는데, 베토벤은 음악 활동을 위하여 계속 살겠노라는 자신의 결심을 담았다.<ref name="Cooper120">[[#Cooper|Cooper (2008)]], p. 120</ref> 시간이 지나면서 청력 상실은 심해졌다. 이에 관한 확실한 일화가 있는데, 자신의 [[교향곡 9번 (베토벤)|교향곡 9번]]을 초연할 때 연주가 끝나자 아무것도 들리지 않던 그는 베토벤이 [[청각 장애|청각장애인]]임을 배려한 여가수 카롤리네 웅거의 도움으로 객석을 향해 뒤돌아서자, 그제서야 관객들이 떠들썩하게 박수를 치고 있음을 보았고, 관객들의 환대에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ref>{{저널 인용|제목=Some Tributes to Beethoven in English Verse|이름=Felix|성=White|저널=The Musical Times|권=Vol. 68|번호=No. 1010|발행월=1 April|연도=1927}}</ref> 베토벤은 청력을 잃었어도 작곡을 계속할 수 있었으나, 수지맞는 돈벌이 수단이던 공연 연주는 점점 어려워졌다. 1811년에 그는 연주회에서 [[피아노 협주곡 5번 (베토벤)|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를 연주하려 하였으나 실패한 뒤로 그는 다시는 사람들 앞에서 연주하지 않았다.
 
[[파일:Beethoven Mähler 1815.jpg|섬네일|left왼쪽|180px|1815년의 베토벤]]
 
베토벤은 [[피아노]] 소리를 조금이라도 감지하기 위하여, 피아노 공명판에 막대기를 대고 입에 물어서, 그 진동을 턱으로 느꼈다. 독일 본의 베토벤하우스 박물관에는 그가 사용한 나팔 기구 등 보청 기구들이 전시되어 있다. 청력상실은 분명 큰 걱정거리였지만, 카를 체르니는 베토벤이 1812년까지는 그럭저럭 사람의 말이나 음악을 들을 수 있음을 알고 있었다.<ref>{{저널 인용|제목=Of Ear Trumpets and a Resonance Plate: Early Hearing Aids and Beethoven's Hearing Perception|이름=George Thomas|성=Ealy|저널=19th-Century Music|권=Vol. 17|번호=No. 3|발행월=Spring|연도=1994|쪽=pp. 262–273|url=http://www.jstor.org/pss/746569}}</ref> 그러나 1814년 베토벤은 거의 대부분 청력을 잃었으며, 그가 손님들 앞에서 피아노로 시끄러운 아르페지오나 우레같은 베이스 음표를 연주할 때, "Ist es nicht schön?"(아름답지 않소?)라고 말할 때 손님들은 그의 익살과 용기에 깊은 동정을 느꼈다.<ref>Solomon (2001){{pn}}</ref>
 
베토벤이 청력을 잃으면서 특이한 사료가 보존되었다. 바로 그의 대화록이었다. 죽기 전 10년 또는 몇 년 동안 그의 친구들은 그에게 할 말을 수첩에 써서 전하였으며, 베토벤은 말로 대답하거나 쓰기도 하였다. 이 책들은 음악이나 다른 화제에 대한 토론을 담고 있고, 그의 생각을 전해주고 있으며 음악과 자신의 관계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했는지 그리고 자신이 자기 작품의 연주를 어떻게 느꼈을지에 대한 연구의 자료가 되고 있다.<!--how he felt his music should be performed(번역 검토 필요)--> 불행히도 베토벤이 죽은 뒤 그의 비서 [[안톤 신틀러]](Anton Schindler)가 베토벤을 이상화된 모습으로 그리려고 이러한 대화록 400권 중 264권을 파손해 버리거나 수정하였다.<ref name="Clive239">[[#Clive|Clive]], p. 239</ref>
 
=== 후원 ===
[[파일:Rudolf-habsburg-olmuetz.jpg|섬네일|오른쪽|upright위오른쪽|베토벤의 후원자였던 [[오스트리아의 루돌프 (추기경)|루돌프 대공]].]]
 
베토벤 이전까지의 음악가와 귀족간의 관계는 종속관계였다. 바하, 헨델, 하이든, 모짜르트 등등의 작곡가들도 마찬가지 였다. 하이든도 에스테르하지 가문 소속의 음악가였지만 에스테르가문의 후계자가 워낙 음악에 관심이 없던 탓에 말년이 돼서야 에스테르하지 가문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며, 모짜르트도 귀족과의 종속관계를 벗어나기 위해 아르코 백작에게 발길질을 당하는 수모까지 겪은 끝에 결국 종속관계에서 벗어났지만, 그 덕분에 후원을 받지 못하여 가난한 말년을 보내게 된다. 모짜르트의 말년 작품들이 더 성숙했던 이유는 귀족과의 종속관계에서 귀족의 요구대로 작곡했던 틀을 벗어나 좀더 자신의 감정이 반영된 영향이 큰 이유였다.
154번째 줄:
== 작품 ==
{{본문|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작품 목록}}
=== 장르별 목록 ===
==== [[교향곡]] ====
* [[교향곡 1번 (베토벤)|교향곡 1번]] C 장조, Op. 21 (1800년)
* [[교향곡 2번 (베토벤)|교향곡 2번]] D 장조, Op. 36 (1803년)
* [[교향곡 3번 (베토벤)|교향곡 3번]] E flat 장조 “영웅”, Op. 55 (1805년)
* [[교향곡 4번 (베토벤)|교향곡 4번]] B flat 장조, "낭만적", Op. 60 (1807년)
* [[교향곡 5번 (베토벤)|교향곡 5번]] c 단조, "운명", Op. 67 (1808년)
* [[교향곡 6번 (베토벤)|교향곡 6번]] F 장조 “전원”, Op. 68 (1808년)
* [[교향곡 7번 (베토벤)|교향곡 7번]] A 장조, "대곡", Op. 92 (1813년)
* [[교향곡 8번 (베토벤)|교향곡 8번]] F 장조, "소곡", Op. 93 (1814년)
* [[교향곡 9번 (베토벤)|교향곡 9번]] d 단조 “합창”, Op. 125 (1824~5년)
* [[교향곡 10번 (베토벤)|교향곡 10번]] E flat 단조 Bia. 838 (1824~7년)
 
한때 베토벤의 초기 교향곡으로 알려졌던 “예나” 교향곡(C 장조)은 [[프리드리히 비트]]의 작품으로 밝혀졌다.
171번째 줄:
미완성 교향곡으로 알려진 10번 교향곡은 [[베리 쿠퍼]]에 의해 단악장 교향곡으로 재구성되었으며 한국에서는 1989년에 초연되었다.
 
==== [[협주곡]] ====
* [[피아노 협주곡 0번 (베토벤)|피아노 협주곡 0번]] E flat 장조 WoO. 4 (1784년)
* [[피아노 협주곡 1번 (베토벤)|피아노 협주곡 1번]] C 장조 Op. 15 (1796년 ~ 1797년)
251번째 줄:
* [[피아노 삼중주 4번 (베토벤)|피아노 삼중주 4번]] B flat장조 Op. 11 "거리의 노래" (1797년)
* [[피아노 삼중주 5번 (베토벤)|피아노 삼중주 5번]] D 장조 Op. 70-1 "유령" (1808년)
* [[피아노 삼중주 6번 (베토벤)|피아노 삼중주 6번]] E flat장조 Op. 70-2 (1808년)
* [[피아노 삼중주 7번 (베토벤)|피아노 삼중주 7번]] B flat장조 Op. 97 "대공" (1811년)
* [[피아노 삼중주 8번 (베토벤)|피아노 삼중주 8번]] E flat장조 WoO. 38 (1791년)
264번째 줄:
* 피아노 4중주 3번 C 장조 WoO. 36-3
 
==== 이중주 ====
===== [[바이올린 소나타]] =====
* Op. 12 (1798년)
286번째 줄:
 
==== [[무곡]] ====
* [[미뉴에트 (베토벤)|미뉴에트곡집]] WoO 10 그 중에 [[미뉴에트 사장조 (베토벤)|2번 사장조]]가 유명함
 
==== 성악곡 ====
===== [[미사곡]] =====
* [[미사 (베토벤)|미사곡 C장조 작품86]] (1807년)
357번째 줄:
* [[피아노 소나타 4번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4번]] E flat 장조, Op. 7 (1797년)
* Op. 10 (1798년)
** [[피아노 소나타 5번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5번]] c 단조
** [[피아노 소나타 6번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6번]] F 장조
** [[피아노 소나타 7번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7번]] D 장조
* [[피아노 소나타 8번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8번]] c 단조 “비창”, Op. 13 (1798년)
*: {{미디어 항목
|파일 이름=Beethoven-Pathetique.ogg
|제목=비창 소나타
383번째 줄:
** [[피아노 소나타 20번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20번]] G 장조
* [[피아노 소나타 21번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21번]] C 장조 “발트슈타인”, Op. 53 (1803년)
** [[안단테 파보리]] - 발트슈타인 소나타의 두 번째 악장의 원곡, WoO. 57 (1804년)
* [[피아노 소나타 22번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22번]] F 장조, Op. 54 (1804년)
* [[피아노 소나타 23번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23번]] f 단조 “열정”, Op. 57 (1805년)
*: {{미디어 항목
|파일 이름=Beethoven Sonata op57 No23 Appassionata Mvt1.ogg
|제목=열정 소나타
429번째 줄:
 
=== 작품번호별 목록 ===
==== Opus 번호 별 목록 ====
# 독일어 Wikipeidia([[:en:WoO (Beethoven)|WoO]]를 거의 배제한)에서의 목록: [2012년 12월 17일 현재의 Liste der Werke Beethovens https://de.wikipedia.org/w/index.php?title=Liste_der_Werke_Beethovens&oldid=111778021]
 
467번째 줄:
[[분류:독일의 작곡가]]
[[분류:고전주의 작곡가]]
[[분류:19세기 서양고전음악클래식 작곡가]]
[[분류:오페라 작곡가]]
[[분류:오스트리아에 거주한 독일인]]
473번째 줄:
[[분류:19세기 독일 사람]]
[[분류:1778년 데뷔]]
[[분류:독일의 고전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분류:오르간 연주자]]
[[분류:본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