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국민당: 오타 수정
247번째 줄:
당시의 대도시이던 서울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압도적으로 승리하였고 부산에서도 접전을 벌인 반면, [[경상북도]]와 지방 도를 중심으로는 [[박정희]] 후보가 다수의 득표를 하였다. 정부여당과 인구가 많은 영남의 적극적 지지를 배경으로 한 박정희 후보는 6,342,828표로 김대중 후보의 5,395,900표보다 946,928표를 더 확보하였다. 하지만, 야당을 중심으로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였는데 [[김대중]]은 자서전에서 본인의 투표를 포함하여 서울 마포구 동교동의 투표가 선관위 관계자의 확인이 없다는 이유로 통째로 무효처리된 사례를 회고하였다. 야당의 이러한 의혹과 관권선거 주장 논란과 더불어, 표차가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제6대 대통령 선거]] 보다 상당히 줄어들었기 때문에 제5대 선거에 비해 표차가 컸음에도 [[박정희 정부]]로서는 더이상 현행 헌법으로는 장기집권을 달성하기 힘들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박정희의 임기는 이번이 마지막이었다.) 이는 얼마 뒤 치러진 [[대한민국 제8대 총선|제8대 총선]]에서 신민당이 개헌저지선(204석 가운데 69석이 개헌저지선이며, 실제로 확보한 의석은 89석)보다 많은 의석을 확보함으로써 더욱 확실해진다.
 
특히 영남의 박정희와 호남의 김대중이 격돌하는 대선의 특성상 선거 운동 과정에서 지역감정 선동이 극심했는데, 김대중은 처음으로박정희 정부 내내 소위제기돼오던 "호남 소외론"을 내세워적극 이용해 당시 상황적으로 발전이 더디던 호남 지역의 지역감정적 호응을 이끌어 내었다. 박정희 측에서는 "[[신라]] 대통령론"과 선거 3일전 호남에서 영남인의 물품을 불매하기로 했다는 내용의 허위전단을 뿌려 영남지역의 강한 지지를 이끌어 내었고, 이는 호남의 김대중 지지율에 비해 영남의 박정희 지지율이 더 압도적으로 높은 선거결과로도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이 선거가 최초로 영호남 지역갈등을 부추긴 선거라고 보아 김대중과 박정희 측을 비판하기도 하지만, 신라 대통령론은 1963년 대선 때부터, 호남 소외론은 박정희 정부 1기 때부터 제기되오던 것이다. 반면 이러한 대결구도는 충청과[[기호 강원에는지방]]에서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는데, 67년특히 대선처럼63년 동여서야가대선 두드려졌지만,때는 윤보선을 지지했다가 67년에 이르러 미세하게 박정희를 지지한 충청도는 박정희에게 더 많은압도적 지지를 보냈다. (이것은 충남 아산출신인 윤보선과 호남 출신인 김대중의 연고지 차이라는 분석이 있다.) 일각에서는 이 선거가 최초로 영호남 지역갈등을 부추긴 선거라고 보아 김대중과 박정희 측을 비판하기도 한다.
 
헌법상의 마지막 임기를 시작한 [[박정희]]는 임기의 반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을 단행하지만, 얼마 후 "그동안 진행해오던 국책사업의 안정적 이행과 평화통일을 위한 안정적 국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는 명목으로 성명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계엄령과 국회 해산을 통해 [[10월 유신]]을 선포하게 된다. 그러나 유신헌법은 [[신대통령제]]적 헌법으로 삼권분립을 파괴하고 견제장치를 모두 제거한 반민주적 헌법이었으며, 이에 자연히 야당과 재야 정치 세력의 강력한 비판과 저항을 받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