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운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Gcd822 (토론 | 기여)
잔글 118.221.147.33(토론)의 편집을 Sangjinhwa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39번째 줄:
[[조선총독부]]의 공식 기록에는 집회인수가 106 만여 명이고, 그 중 사망자가 7,509명, 구속된 자가 4만 7천여 명이었다. 한편 뉴라이트 신복룡 교수나 일본의 야마기 겐타로는 약 50만 명 정도가 3·1 운동에 참여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ref name="shin216"/><ref name="yamabegen"/>
 
3·1 운동을 계기로 다음 달인 [[1919년]] [[4월 11일]] 일본중국 도쿄에서[[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한편 3·1 운동을 계기로 군사, 경찰에 의한 강경책을 펴던 [[조선총독부]]는 민족분열책인 일명 [[문화통치]]로 정책을 바꾸게 되었다.
49번째 줄:
[[데라우치 마사타케]]에서 육군대장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 총독으로 계승된 [[무단 통치]]는 “3·1독립운동”이라는 뜻하지 않은 결과를 발생케 했다.
 
이런 가운데 [[제1차 세계대전|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파리강화회담]]에서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제안한 14개조의 전후처리 원칙 중에 '각 민족의 운명은 그 민족이 스스로 결정하게 하자'라는 소위 [[민족자결주의]]가 알려지면서 조선의 독립 운동가들 사이에 희망의 분위기가 일어났다. 일부 독립 운동가들은 [[1918년]] 말부터 치밀하게 사전 계획을 세우고 있었고 [[파리 강화회의]]에 우리의 목소리를 알리기 위해서는 누군가 소요사태를 일으켜야 한다는 [[김규식]]의 발언과 [[1919년]] 초 갑작스럽게 사망한 [[고종 황제]]의 죽음 등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면서 절묘하게 기회를 포착하였다.
 
=== 사전 준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