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검색 엔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Fheg43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52번째 줄:
검색엔진의 상업성 추구는 컨텐츠를 전면에 내세우는 이른바 포털화로 진행된 사례가 많다. [[다음]]은 이메일 서비스의 수요자를 기반으로 포털화에 성공하기 위해 야후의 검색결과를 이용한 바 있다.{{출처|날짜=2011-10-27}} [[네이버]]에 대해서는 최근에도 네이버 블로그나 카페의 검색 결과를 우대해 사용자의 유출을 막고 저작권 문제를 방치한다든지, 검색 결과를 정치적 의도에 따라 조작한다는 등의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ref>{{서적 인용|저자=김인성|제목=한국 IT산업의 멸망|연도=2011년|출판사=북하우스|쪽=392|isbn=9788956055220}} [http://minix.tistory.com/218 저자의 관련 블로그 글]</ref>
한편 [[구글]]은 타 검색 엔진 사이트의 포털화 당시에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웹 검색과 광고를 분리해 검색 서비스를 단순화했다. 구글은 현재 광고 외에도 많은 사업과 몇몇 수익원을 두고 있다.
 
=== 측정 ===
세계 웹 브라우저 시장 통계는 나라에 따라 크게 다르다. 스탯카운터 자료에 따르면 2019년 5월기준 국내 웹브라우저 점유율은 다음과 같다. <ref>(gs.statcounter.com)http://gs.statcounter.com/search-engine-market-share/all/south-korea/#monthly-201905-201905-bar</ref>
 
{| class="wikitable"
|-
!순위!! 웹브라우저 !! 점유율
|-
| 1||[[구글]] || 76.23%
|-
| 2||[[네이버] || 18.24%
|-
| 3||[[야후]] || 1.78%
|-
| 4||[[빙]] || 1.51%
|-
| 5|| [[다음]] || 1.37%
|}
 
==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