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산말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1번째 줄:
'''백산말갈'''(白山靺鞨)은 [[말갈]]의 7부족 중 하나로 위치에 대해서는 [[백두산]] 주변과 [[연변]] 지역 일대로 보는 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최근 [[함경도]] 쪽으로 내려 보거나 연변 지역과 한반도 동북부 지역을 모두 포괄한 것으로 보는 설이 제기되었다.<ref>{{서적 인용|author=김현숙|authorlink=|title=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series=|publisher=모시는사람들|year=2005|isbn=9788990699305|page=438~479}}</ref> 그러나 백산말갈의 동쪽으로 비정되는 어떠한 말갈 세력도 없음을 감안하여 연해주 남부 일대까지를 고고학적으로 백산말갈의 맥락에서 이해해도 큰 지장은 없기 때문에, [[고구려]]의 책성 치소로 꼽히는 연변과 함께 연해주 일대도 백산말갈의 거주지로 추정된다.<ref>{{저널 인용|저자=강인욱|제목=고고자료로 본 백산말갈과 고구려의 책성|url=https://www.kci.go.kr/kciportal/mSearch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insiId=INS000002388&sereArticleSearchBean.sereId=002002&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88958|날짜확인=2019년 6월 6일|총서=동북아역사논총|호=61|날짜=2018년|쪽=46~47}}</ref>
'''백산말갈'''(白山靺鞨)은 [[말갈]]의 7부족중의 하나로 [[지린 성]] (吉林省) 지방에 거주하였다. 속말부(粟末部)의 동남 쪽에 있으며 현재 지린 성 [[돈화]](敦化), [[연변]](延辺), [[파이산]](白山)<ref>[[백두산]]</ref> 및 [[옌볜]] [[조선족 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와 [[연해주]] ({{llang|ru|Приморский край}})지방 [[하산 (프리모르스키 크라이)|하산]]/[[하산스키]] 군 ({{llang|ru|Хасан / Хасанский район}})지방을 포함한다. 옛 북옥저 지역에 있는 백산부(백산말갈)는 예맥계인 옥저에 숙신계가 혼합 되어있었고, 점차 고구려화된 부족이다.{{출처|날짜=2018-08-01}} 백산말갈은 일찍이 고구려에 부용되었다. 주민들은 반농반수렵(半農半狩獵)을 주로 하였다.
 
요대에[[요나라|요대]]에 장백산삼십부여진(長白山三十部女眞)은 백산말갈(白山靺鞨)에서 기원한다.기원한다고 추정하기도 하는데, 당·요(唐遼)때 일부 남하한 말갈-여진인을 받아들였으나 이 부의 주체는 그다지 큰 변화가 없었다없었다고 한다. [[요나라]] 때에 이르러 이 갈레의 여진인들은 지금의 중국 연변 지구, 통화(通化) 지구 남부와 [[두만강]] 이남과 [[북한]]의 함경남·북 양도, [[량강도]]·[[자강도]], 곧 [[함흥평야]] 지구 일대였다일대에 거주했다. [[요 성종]] 개태 원년(1012)에, 장백산삼십부여직(長白山三十部女直) 추장이 와서 공물을 바치고 작위와 봉록을 내려달라고 청하였다. 같은 해, 여진추장 마시저(馬尸底)<ref>《[[고려사]]》원문은 '麻尸底'로 표기되어있다.</ref>가 삼십성부락(三十姓部落)의 자제들을 거느리고 와서 [[고려]]에 토마(土馬)를 바쳤다고 하는데, 삼십성부락(三十姓部落)은 곧 장백산삼십부여진(長白山三十部女眞)이다. 이 두개의 사료는 동시에 설명될 수 있을 것 같으니, 적어도 이 때가 바로 [[1012년]], 장백산여진(長白山女眞)이 이미 30부로 발전하여 부락연맹을 결성하고 적극적으로 외부관계에 관여하였다. 이 부는 《[[고려사]]》 등에서 동여진(東女眞)·동번(東蕃)·동북여진(東北女眞)으로도 칭하였다. 이는 지역으로부터 출발하여 고려를 중심으로 그 방향에 따른 칭호였다. 장백산삼십부녀진(長白山三十部女眞)은 요나라의 외십부(外十部)의 하나에 속하였는데, 요나라는 여기에 장백산여진국대왕부(長白山女眞國大王府)를 설치하였다. 이와 동시에 고려와도 일부 의부관계가 존재했다.<ref>孟古托力(2000), 「女眞及其金朝與高麗關系中幾個問題考論」, 『滿語硏究』, 67~69쪽</ref>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