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Darkbosal/선거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내용을 "{{둘러보기 상자 | 이름 = 수리논리학 | 상태 = {{{state|off}}} | 제목 = 수리논리학 | 내용속성 = hlist <!---------------- 일반 -----..."(으)로 바꿈
 
1번째 줄:
{{둘러보기 상자
{{정리 필요|날짜=2017-05-07}}
| 이름 = 수리논리학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은 [[주한 미군]]이 [[대한민국]] [[경상북도]] [[성주군]]에 [[THAAD|사드]]를 배치하도록 한 것에 대하여 발생한 논란으로, 한국 내부 뿐만 아니라 중국, 미국과의 갈등을 부각시켰다.
| 상태 = {{{state|off}}}
| 제목 = [[수리논리학]]
| 내용속성 = hlist
 
<!---------------- 일반 ----------------->
== 찬성측의 주장 ==
| 묶음1 = 일반
=== 한반도 방어용 ===
| 내용1 =
[[파일:From china to na.png|섬네일|오른쪽|300px|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중국에서 미국 본토를 향해서 미사일을 발사하면 북극을 지나서 날아가게 된다. 중국에서 미국을 향해 발사하는 미사일은 한반도 상공을 지나가지 않으며 한반도에 배치 되는 사드는 미국 본토 방어용이 아니라 한반도 방어용이다.<ref name="pressian.com170630">{{뉴스 인용|url=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33174|제목=문재인 대통령 “사드 번복없다”…미 의회 “감사하다”|성=김태호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날짜=2017-06-30|뉴스=프레시안|확인날짜=2018-08-19}}</ref>]]
* [[형식 언어]]
* [[Formation rule]]
* [[형식 체계]]
* [[형식 증명]]
* [[형식 의미론]]
* [[논리식]]
* [[집합]]
* [[원소 (수학)| 원소]]
* [[모임 (집합론)|모임]]
* [[고전 논리]]
* [[공리]]
* [[자연 연역]]
* [[추론 규칙]]
* [[관계 (수학)|관계]]
* [[정리]]
* [[논리적 결과]]
* [[공리계]]
* [[형 이론]]
* [[논리기호]]
* [[통사 (logic)|통사]]
* [[Theory (mathematical logic)|Theory]]
 
<!---------------- 명사논리학 ----------------->
2017년 6월 9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사드는 [[북한]]의 점증하는 위협으로부터 [[대한민국|한국]]과 [[주한미군]]을 보호하기 위해 결정한 것"이라고 발표했다.<ref name="서울경제170609">{{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1&aid=0003049208|제목=정의용 靑 안보실장 "사드, 北 위협으로부터 국민과 주한미군 보호하는 것|성=윤상언 인턴기자|날짜=2017-06-09|뉴스=서울경제|확인날짜=2018-08-19}}</ref><ref name="뉴시스180819">{{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8003168|제목=靑 "사드, 韓·주한미군 보호용…동맹변화 의도 없어|성=김태규 기자|날짜=2017-06-09|뉴스=뉴시스|확인날짜=2018-08-19}}</ref><ref name="세계일보170612">{{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2&aid=0003181476|제목=한국 정부, 사드 합의 유지키로 확언|성=박종현 특파원|날짜=2017-06-12|뉴스=세계일보|확인날짜=2018-08-19|인용문=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도 9일 사드 배치와 관련, “사드는 북한의 점증하는 위협으로부터 한국과 주한미군을 보호하기 위해 결정한 것”이라며 “정권이 교체되었다고 해서 이 결정을 결코 가볍게 여기지 않을 것이며 미국과 계속 긴밀히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ref>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6월 20일]] [[청와대]]에서 [[CBS (미국의 방송사)|CBS]], [[워싱턴포스트]] 인터뷰를 가졌고 사드 배치 관련 질문에서 “사드 배치 결정은 우리 한국과 주한미군의 안전을 위해서 한·미동맹에 근거해 한국과 미국이 합의해서 결정한 것”이라고 대답했다.<ref name="세계일보170621">{{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22&aid=0003184757&date=20170621&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14|제목=사드배치… 번복 없다" 못박은 文대통령, 의도는|성=박성준 기자|날짜=2017-06-21|뉴스=세계일보|확인날짜=2018-08-19}}</ref> [[동부 표준시|미국 동부시간]]으로 [[2017년]] [[6월 29일]], [[문재인]] [[대통령]]은 [[워싱턴D.C.]] [[미국 의회]] [[폴 라이언]] [[하원의장]] 등 하원 지도부와 가진 간담회에서 “사드는 한미동맹에 기초한 합의이고 한국 국민과 주한미군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ref name="아시아투데이180819">{{뉴스 인용|url=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70630010015519|제목=문재인 대통령 “사드 번복없다”…미 의회 “감사하다”|성=김동현 기자|날짜=2018-08-19|뉴스=아시아투데이|확인날짜=2018-08-19}}</ref>
| 묶음2 = [[명사논리학]]
| 내용2 =
* [[명제]]
* [[추론]]
* [[논증]]
* [[타당성]]
* [[Cogency]]
* [[삼단논법]]
* [[대당관계]]
* [[벤 다이어그램]]
 
<!----------------명제 논리 ----------------->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1966년]] 이후 [[전략미사일군]]인 '제2포병'(第二砲兵)을 유지해 왔는데, 2016년부터 로켓군(火箭軍)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동 부대는 [[ICBM]], [[IRBM]], [[SLBM]]과 같은 주요 미사일 체계를 운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육·해·공군에는 [[지대공 미사일|지대공]], [[함대함 미사일|함대함]], [[공대공 미사일|공대공]] 등 다양한 미사일 체계가 배치·운용되고 있다. [[중국]]은 거의 모든 종류의 [[미사일]] 체계를 운용하고 있는데,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짧은 [[북극]]의 굴곡을 감안하여 ICBM 부대를 배치하고 있다. [[미국]]을 겨냥한 중국의 ICBM 부대는 [[둥베이|동북 3성]] 지역에 편중되어 있고, [[러시아]] 및 [[유럽]]을 겨냥한 ICBM 부대는 서북지역에 편중되어 있다.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짧은 [[북극]]의 굴곡을 감안하여 중국의 ICBM 부대는 [[둥베이|동북 3성]] 지역에 배치되어 있고 중국 [[둥베이|동북 3성]] 지역에서 미국 본토를 향해서 미사일을 발사하면 [[북극]]을 지나서 날아가게 된다.<ref name="pressian.com170630"/>
| 묶음3 = {{longitem|[[명제 논리]]<br/>[[불 논리]]}}
| 내용3 =
* [[불 함수]]
* [[명제 논리]]
* [[규범논리]]
* [[논리 연산]]
* [[진리표]]
 
<!----------------술어 논리 ----------------->
사드 레이더 [[AN TPY-2]]는 미국이 개발한 지상 배치형 레이더로, 1,000 km 거리를 탐지할 수 있는 레이더이다. 미사일 방어 체계인 사드의 일부 장비이며, 원거리에 위치한 미사일을 탐지하는 장비이다. [[이스라엘]], [[터키]], [[일본]], 대한민국에 배치된 사드는 요격모드로 600 km 거리에서 미사일을 추적할 수 있다. 1,000 km 모드에서는 미사일을 탐지만 할 수 있지만 600 km 모드에서는 탐지는 물론, 추적도 가능하다.<ref name="missiledefenseadvocacy.org">{{웹 인용|url=http://missiledefenseadvocacy.org/missile-defense-systems-2/missile-defense-systems/u-s-deployed-sensor-systems/armynavy-transportable-radar-surveillance-antpy-2/|제목=Army/Navy Transportable Radar Surveillance (AN/TPY-2)|성=Zach|이름=Berger|날짜=2017-04-00|웹사이트=MMDA|확인날짜=2018-08-19}}</ref><ref name="radartutorial.eu">{{웹 인용|url=http://www.radartutorial.eu/19.kartei/02.surv/karte015.en.html|제목=AN/TPY-2|성=Christian|이름=Wolff|날짜=|웹사이트=radartutorial.eu|확인날짜=2018-08-19}}</ref> 문재인 대통령은 "사드 배치는 한국의 주권적 사안이라"며 "중국이 부당하게 간섭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ref name="이데일리170702">{{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8&aid=0003864604|제목=文대통령 “사드 배치 주권적 사안…중국 부당 간섭 옳지 않다”|성=김성곤 기자|날짜=2017-07-02|웹사이트=이데일리|확인날짜=2018-08-19}}</ref><ref name="YTN170701">{{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2&aid=0001028539|제목=문재인 대통령 "사드 배치는 주권 사안...중국 간섭 부당|성=김도원 기자|날짜=2017-07-01|뉴스=YTN|확인날짜=2018-08-19}}</ref>
| 묶음4 = [[술어 논리]]
| 내용4 =
* [[1차 논리]]
* [[양화 (logic)|양화]]
* [[술어 (mathematical logic)|술어]]
* [[2차 논리]]
* [[Monadic predicate calculus]]
 
| 묶음5 = [[소박한 집합론]]
=== 중화인민공화국의 위협 ===
| 내용5 =
중화인민공화국은 600개 이상의 미사일을 한국에 겨냥하고 있다.<ref name="YTN170304">{{뉴스 인용|url=http://www.ytn.co.kr/_ln/0101_201703040506062099|제목=中, 한반도 겨냥 미사일 1,000여기...사드는 보복|성=김주환 기자|날짜=2017-03-04|뉴스=YTN|확인날짜=2018-06-09}}</ref> [[인민해방군]]은 [[백두산]] 인근 [[지린 성]], [[산둥 성]], [[랴오닝 성]]에 중국 전략지원군 예하 3개 유도탄 여단의 [[둥펑 (유도탄)|둥펑]](東風·DF) 계열 미사일 600여 기를 배치해 [[한국군]]과 [[주한미군]] 기지 등을 조준하고 있다.<ref name="문화일보160304">{{뉴스 인용|url=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6071301070530114001|제목=中도 남한 향해 레이더·미사일… “사드 반대 명분없다”|성=정충신 기자|날짜=2016-07-13|뉴스=문화일보|확인날짜=2019-05-04}}</ref> 지린성 [[퉁화 시]] 인근의 제816여단, 산둥 성 [[라이우 시]] 부근의 제822여단, [[다롄 시]] 인근의 제810여단은 모두 한반도를 작전구역으로 삼은 부대다. 중국은 한반도를 담당하는 북부전구를 지원하는 제51기지 예하에 3개 여단 등 총 4개 여단을 한국 겨냥 부대로 지정해놓았다. 이 가운데 3개 여단, 600개 이상의 중·단거리 탄도미사일이 한국을 겨누고 있다.<ref name="YTN170304"/><ref name="신동아160823">{{뉴스 인용|url=http://shindonga.donga.com/3/all/13/728163/1|제목=한국 기습용 미사일 600기 실전 배치|성=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날짜=2016-08-23|호=2016년 9월호|뉴스=신동아|확인날짜=2019-06-17}}</ref>DF-15 미사일은 500~650㎏의 재래식 탄두를 탑재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90kt급 전술핵탄두 1기를 탑재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이 미사일을 이용해 한국에 대한 핵 공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ref name="신동아160823"/><ref name="YTN170304-1">{{뉴스 인용|url=http://www.ytn.co.kr/_ln/0101_201703040858177169|제목=中, 한반도 겨냥 미사일 1,000여 기 감춘 채 '사드 보복'|성=김주환 기자|날짜=2017-03-04|뉴스=YTN|확인날짜=2018-06-09}}</ref>
* [[Set (mathematics)|Set]]
* [[Empty set]]
* [[Element (mathematics)|Element]]
* [[Enumeration]]
* [[Extensionality]]
* [[Finite set]]
* [[Infinite set]]
* [[Subset]]
* [[Power set]]
* [[Countable set]]
* [[Uncountable set]]
* [[Recursive set]]
* [[Domain of a function|Domain]]
* [[Codomain]]
* [[Image (mathematics)|Image]]
* [[Map (mathematics)|Map]]
* [[Function (mathematics)|Function]]
* [[Binary operation|Relation]]
* [[Ordered pair]]
 
| 묶음6 = [[집합론]]
중국군은 지린 성 퉁화에 위치한 제816 미사일 여단에 사정거리 800~1000km에 달하는 단거리탄도탄, [[SRBM]] 1,200여 기를 집중 배치해 놓고 있고 중국 내륙 [[쓰촨 성]] [[황룽]]에도 한반도를 겨냥한 중거리 탄도탄, [[IRBM]] 수 백여 기를 배치해 놓고 있다.<ref name="YTN170304"/><ref name="YTN170304-1"/> 사드에 반대하는 중국의 속내는 "중국이 유사시 한국 타격용으로 쓸 미사일들이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국책연구소는 "중국이 퉁화에서 한국의 중요 군사·산업시설이 밀집한 남부 지역을 향해 DF-15를 쏠 경우 사드에 막힐 가능성이 크다"며 "중국은 이를 두고 '전략·안보 이익이 훼손된다'고 주장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f name="조선171003">{{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03/2017100300193.html|제목=中 사드반대 속내… "제2 한국戰 대비한 中미사일 무력화 우려"|성=이용수 기자|날짜=2017-10-03|뉴스=뉴시스|확인날짜=2019-06-09}}</ref> 중국시보(中國時報)는 1000개가 넘는 중국군의 미사일이 한국과 일본을 조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ref name="뉴시스180201">{{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3&aid=0008425961&date=20180202&type=1&rankingSectionId=104&rankingSeq=6|제목=중국, 전쟁시 미사일 1000기 한일·괌 미군기지에 선제 발사|성=이재준 기자|날짜=2018-02-01|뉴스=뉴시스|확인날짜=2019-06-09}}</ref>
| 내용6 =
* [[Foundations of mathematics]]
* [[Zermelo–Fraenkel set theory]]
* [[Axiom of choice]]
* [[General set theory]]
* [[Kripke–Platek set theory]]
* [[Von Neumann–Bernays–Gödel set theory]]
* [[Morse–Kelley set theory]]
* [[Tarski–Grothendieck set theory]]
 
| 묶음7 = [[모형 이론]]
[[대한민국 공군]] 방공포 사령관 [[권명국]]은 “중국의 사드 배치 반대 논리는 자기들은 600개의 미사일을 한반도를 향해 겨누고 있으면서 한국에는 무방비로 가만히 있으라는 격”이라고 발표했다.<ref name="문화일보160304"/> 중국은 600개의 칼을 한국에 겨누고 있으면서 한국은 방패 1개도 들지말라고 요구하고 있는 격이라는 것이다.<ref name="YTN170304"/><ref name="YTN170304-1"/> 사드 레이다 AN/TPY-2는 미국이 개발한 지상 배치형 레이다로, 1,000 km 거리를 탐지할 수 있는 고성능 레이다이다.<ref name="missiledefenseadvocacy.org"/><ref name="radartutorial.eu"/> 미사일 방어 체계인 사드의 일부 장비이며, 원거리에 위치한 탄도체를 탐지하는 장비다. 한반도에 배치 되는 사드는 요격용으로 600 km 거리를 탐지한다. 중국 정부는 사드 레이다 사거리가 2,000 km 라고 주장하지만 AN/TPY-2의 사거리는 1,000 km임으로 중국 내륙까지 들여다볼 수 없다.<ref name="missiledefenseadvocacy.org"/><ref name="radartutorial.eu"/>중국은 한국이 사드를 직접 구매해서 한국이 사드를 직접 운용한다 하더라도 한국의 사드 배치를 반대하겠다고 했다. 미국이 사드를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이 사드를 직접 운용한다 할지라도 반대하겠다는 것이다. 중국은 한국을 향해 600개 이상의 미사일을 겨냥하고 있으면서 한국이 사드를 운용하든지 미국이 사드를 운용하든지 상관없이 사드를 반대하겠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ref name="연합170612">{{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329471|제목=中매체 "韓 송영무 국방장관 지명은 사드 직접운용 고려 의미|성=김진방 기자|날짜=2017-06-12|뉴스=연합뉴스|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KBS170612">{{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56&aid=0010466837|제목=中매체 "韓 송영무 국방장관 지명은 사드 직접운용 고려 의미|성=윤봄이 기자|날짜=2017-06-12|뉴스=KBS|확인날짜=2019-06-09}}</ref>
| 내용7 =
* [[Structure (mathematical logic)|Model]]
* [[Interpretation (logic)|Interpretation]]
* [[Non-standard model]]
* [[Finite model theory]]
* [[Truth value]]
* [[Validity]]
 
| 묶음8 = [[증명 이론]]
==== 러시아판 사드를 실전 배치한 중국 ====
| 내용8 =
2014년 11월,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러시아판 사드 [[S-400]] 1포대를 30억 달러(약 3조3천억원)에 수입하기로 계약 체결했고,<ref name="연합141127">{{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4/11/27/0606000000AKR20141127001300080.HTML|제목=러시아, 중국과 첨단 방공미사일 S-400 수출 계약|성=유철종 특파원|날짜=2014-11-27|뉴스=연합뉴스|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TV조선170112">{{뉴스 인용|url=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12/2017011290206.html|제목=중무장하는 중국…러시아판 사드·스텔스 전투기 배치|성=안형영 기자|날짜=2017-01-12|뉴스=TV조선|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연합170324">{{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24/0200000000AKR20170324096500083.HTML?input=1195m|제목=시진핑의 공산당-푸틴의 통합러시아, 정당채널도 '밀월'|성=김진방 특파원|날짜=2017-03-24|뉴스=연합뉴스|확인날짜=2019-06-09}}</ref>중국판 사드 [[HQ-19]]를 자국의 기술로 개발중이다.<ref name="TV조선170112"/><ref name="헤럴드160217">{{뉴스 인용|url=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60217001182|제목=美사드 반대하는 中, 남중국해 인공섬에 '러시아판 사드' 배치|성=|날짜=2016-02-17|뉴스=해럴드경제|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연합161113">{{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1/11/0200000000AKR20161111140400009.HTML?input=1195m|제목=러시아판 '사드' S-500 실전배치 임박…고도 200㎞ ICBM 요격|성=김선한 기자|날짜=2016-11-13|뉴스=연합뉴스|확인날짜=2019-06-09}}</ref> 중국은 정작 자신들은 러시아판 사드를 도입하면서 한국의 사드 배치에 대해서는 강하게 반발하며 보복하고 있다.<ref name="TV조선170112"/><ref name="연합170324"/><ref name="헤럴드160217"/><ref name="연합161113-1">{{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6/11/11/0619000000AKR20161111140400009.HTML|제목=중국, '러시아판 사드' S-400 1개 연대 인수...곧 실전배치|성=김선한 기자|날짜=2016-11-13|뉴스=연합뉴스|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뉴시스180513">{{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rankingType=popular_day&oid=003&aid=0008592303&date=20180513&type=1&rankingSectionId=104&rankingSeq=12|제목=중국, '러시아판 사드' S-400 1개 연대 인수...곧 실전배치|성=이재준 기자|날짜=2018-05-13|뉴스=연합뉴스|확인날짜=2019-06-09}}</ref>중국이 러시아판 사드 수입을 계약 체결한 시점은 2014년 11월임으로 동북아 지역 미사일 방어체계 경쟁은 중국이 먼저 촉발시킨 것이다.<ref name="연합141127"/><ref name="TV조선170112"/><ref name="헤럴드160217"/><ref name="연합170324"/>
* [[Formal proof]]
* [[Deductive system]]
* [[Formal system]]
* [[Theorem]]
* [[Logical consequence]]
* [[Rule of inference]]
* [[Syntax (logic)|Syntax]]
 
| 묶음9 = [[계산 가능성 이론]]
러시아가 개발한 사드 S-400은 미국의 사드와 매우 유사하고 S-400 레이다망으로 [[대한민국]] 전역을 감시할 수 있다.<ref name="TV조선170112"/><ref name="헤럴드160217"/><ref name="연합161113-1"/><ref name="뉴시스180513"/> 중국의 러시아판 사드는 [[한반도]] 전역을 감시할 수 있고 항공기와 탄도미사일은 물론, 전투기까지 요격할 수 있다.<ref name="TV조선170112"/><ref name="헤럴드160217"/><ref name="연합170324"/><ref name="연합161113-1"/> 중국은 러시아판 사드를 포함하여 사드 2개 포대를 도입해 2017년에 실전 배치했다.<ref name="TV조선170112"/><ref name="헤럴드160217"/><ref name="연합161113-1"/> 중국은 네이멍구에 한국과 일본 전역을 감시할 수 있는 최첨단 레이다를 설치한 것으로 확인됐다.<ref name="연합170324"/><ref name="YTN170313">{{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52&aid=0000986146&date=20170314&type=2&rankingSectionId=104&rankingSeq=28|제목=탐지거리 3천㎞ '중국판 사드' 설치...韓日 전역 감시권|성=박희천 기자|날짜=2017-03-13|뉴스=YTN|확인날짜=2019-06-09}}</ref> 그리고 중국은 이미 헤이룽장성과 푸젠성 등지에 탐지거리 5,500km의 [[조기경보레이다]]를 설치해 한반도와 일본은 물론 태평양의 괌까지 샅샅이 들여다 보고 있다.<ref name="TV조선170112"/><ref name="헤럴드160217"/><ref name="연합161113-1"/><ref name="YTN170114">{{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52&aid=0000958267&date=20170114&type=2&rankingSectionId=100&rankingSeq=21|제목=美·日엔 침묵, 韓엔 보복...중국 '사드 이중잣대'|성=강정규 기자|날짜=2017-01-14|뉴스=YTN|확인날짜=2019-06-09}}</ref>
| 내용9 =
{{계산 가능성 이론 목록}}
 
<!--| below = ...-->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외교부는 "소국(小國)이 대국(大國)에 대항해서 되겠냐, 너희 정부가 사드 배치를 하면 단교 수준으로 엄청난 고통을 주겠다"라고 하며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를 강력하게 반대하였지만<ref name="=" kbs170116""="">{{뉴스 인용|url=http://news.kbs.co.kr/news/view.do?ncd=3406579&ref=A|제목=中, 외교 결례 거듭…“계산된 압박 전술”|성=강정규 기자|날짜=2017-01-16|뉴스=KBS|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한겨레170115">{{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politics/diplomacy/777429.html|제목=중 외교부 간부 “한국 사드 배치땐 단교 버금가는 조치”|성=김지은 기자|성2=김외현 특파원|이름2=|날짜=2017-01-05|뉴스=KBS|확인날짜=2019-06-09}}</ref>[[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대한민국]] 전역을 감시하는 레이다망을 이미 오래전부터 운영해왔고 한국의 사드가 자국을 감시할 수 있다는 이유로 한국의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것은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격인 것이다.<ref name="TV조선170112"/><ref name="헤럴드160217"/><ref name="연합161113-1"/> 중국이 배치하는 사드는 '착한 사드'이고 한국이 배치하는 사드는 '나쁜 사드'라는 논리인 것이다.<ref name="TV조선170112"/><ref name="헤럴드160217"/><ref name="연합161113"/>심재철 국회 부의장은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특별대표와의 2017년 4월 11일 회담에서 중국이 네이멍구(內蒙古)와 헤이룽장(黑龍江)성에 각각 탐지거리 3천km, 5천500km 레이더를 둔 점을 거론하며 "중국은 한반도를 손바닥처럼 들여다보면서 왜 우리는 방어용도 배치 못 하느냐"고 지적했다.<ref name="연합170411">{{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180504&viewType=pc|제목=X밴드레이더 탐지 800km냐 2천km냐"…심재철·우다웨이 설전|성=정아란 기자|날짜=2017-04-11|뉴스=연합뉴스|확인날짜=2019-06-09}}</ref>
}}<noinclude>
{{documentation|content=
{{collapsible option}}
 
==See also==
==== 핵 개발 물자를 북한에 수출한 중국 ====
*{{tl|Set theory}}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를 받고 있는 [[북한]]이 어떻게 [[핵]]과 [[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물자를 조달 받았을까 하는 의문이 있어왔는데, [[북한]]에 유입돼선 안 될 핵심 물자들을 꾸준히 공급해온 중국의 국유기업이 적발되었다.<ref name="중앙160925">{{뉴스 인용|url=http://news.joins.com/article/20633748|제목=중국, 북한과 핵물자 거래한 훙샹그룹 관련 北기업인들 조사|성=신경진 기자|날짜=2016-09-25|뉴스=중앙일보|확인날짜=2019-06-09}}</ref> [[중국]]은 [[북한]] 최대 무역항인 남포항을 통해 2011년부터 북한의 4차 핵실험 넉 달 전인 2015년 9월까지 핵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물자를 수출해왔다.<ref name="동아160922">{{뉴스 인용|url=http://news.donga.com/Main/3/all/20160922/80389700/1|제목=“훙샹그룹, 北과 위조달러도 거래…마샤오훙 회장 등 11명 中당국에 체포”|성=구자룡 특파원|성2=이승헌 특파원|이름2=|날짜=2016-09-22|뉴스=동아일보|확인날짜=2019-06-09}}</ref> 그 중엔 고순도의 알루미늄괴와 산화알루미늄, 텅스텐 등 핵과 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핵심 재료 4종류가 포함되어있다. 중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은 지원해줬으면서 한국에게는 방어적인 무기조차도 배치하지 말라며 경제적 보복을 하고 있다.<ref name="중앙160925"/><ref name="MBC160920">{{뉴스 인용|url=http://imnews.imbc.com/replay/2016/nwdesk/article/4121049_19842.html|제목=중국, 북한에 핵물자 수출한 '훙샹그룹' 수사 공식 확인|성=김연석 특파원|날짜=2016-09-20|뉴스=MBC|확인날짜=2019-06-09}}</ref>핵 개발 물자를 북한으로 수출한 중국은 북한의 한반도 핵 위협에 대한 책임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도입되는 사드를 중국이 반대할 명분이 없다.<ref name="MBC160920"/><ref name="조선160921">{{뉴스 인용|url=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9/21/2016092100901.html|제목=북한에 핵물자 수출한 중국 여성 기업인...대북 무역으로 급성장|성=오광진 특파원|날짜=2016-09-21|뉴스=조선일보|확인날짜=2019-06-09}}</ref>
{{Logic templates}}
 
[[Category:Mathematics navigational boxes]]
==== 일본의 사드 배치는 인정한다는 중국 ====
[[Category:Philosophy and thinking navigational boxes]]
[[중국]]은 [[일본]] [[교토]]와 [[아오모리 현]]에 배치되어 있는 2개의 [[X밴드 레이다|X-밴드 레이다]]가 한반도를 넘어 중국 내륙까지 들여다 볼 수 있다는것에 대해서는 침묵하면서도 한국의 사드 배치에 대해서만 강력하게 반대하며 경제적으로 보복하고 있다.<ref name="YTN170114"/><ref name="중앙150417">{{뉴스 인용|url=https://jmagazine.joins.com/monthly/view/305867|제목=중국이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이유 - “한·미·일 방어체제, 감시의 ‘눈’은 이미 작동 중이었다”|성=박지현 월간중앙 기자|날짜=2015-04-17|호=201505호|뉴스=월간중앙|확인날짜=2019-06-09}}</ref> [[미국]]의 해상 기반 X-밴드 [[레이다]]의 최대 탐지 범위는 4,800km이고 한반도에 배치될 예정인 사드 [[레이다]]의 4배에 달하기 때문에 일본 동쪽 2,000여 km 해상에 배치 되어 있는 미국의 X-밴드 레이다가 중국을 샅샅이 들여다 보고 있는 것이다.<ref name="YTN170114"/><ref name="중앙150417"/> 그러나 중국은 미국의 해상 기반 X-밴드 레이다에 대해서는 아무런 반발을 하지 않고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해서만 반발하고 있다.<ref name="YTN170114"/><ref name="중앙150417"/>
 
}}
[[한반도]] 사드 배치를 문제 삼아 [[한국]]에 [[경제]] 보복을 하고 있는 [[중국]]은 [[일본]]의 사드 배치는 ‘방어용 방패’라고 규정하며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ref name="동아170404">{{뉴스 인용|url=http://news.donga.com/Main/3/all/20170404/83675271/1|제목=中 “日의 사드 배치는 방어용” 이중잣대|성=구자룡 특파원|성2=장원재 특파원|성3=윤완준 기자|날짜=2017-04-04|뉴스=동아일보|확인날짜=2019-06-09}}</ref> 중국 외교부는 “일본은 자발적으로 원해서 사드를 도입하는 것이고, 실제적으로 일본 자위대의 군사 방어 능력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라며 “일본의 사드는 방어를 위한 방패”라고 설명했다.<ref name="동아170404"/> 중국은 한국의 사드 배치는 강력하게 반대하며 경제적 보복조치를 취하고 있는 반면에 일본의 사드 배치는 인정하겠다는 이중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ref name="동아170404"/>
 
=== 한미상호방위조약 이행 ===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6월 20일 [[청와대]]에서 [[CBS]], [[워싱턴포스트]] 인터뷰를 가졌고 “사드 배치 결정은 우리 한국과 주한미군의 안전을 위해서 한·미동맹에 근거해 한국과 미국이 합의해서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ref name="세계일보170621"/><ref name="한겨레170621">{{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8&aid=0002369270|제목=전작권 환수 당연한 일…비핵화 진전때 개성공단 재개|성=이세영 기자|날짜=2017-06-21|뉴스=한겨레|확인날짜=2019-06-09}}</ref>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의하면 [[대한민국]]과 [[미국]]은 서로를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ref name="한미상호방위조약">{{웹 인용|url=http://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6379&pageFlag=|제목=한.미상호방위조약|성=양영조 연구위원|날짜=2007-12-01|뉴스=국가기록원|확인날짜=2019-06-09}}</ref> [[한미상호방위조약]]은 [[미국]]이 일방적으로 [[한국]]을 보호하는 조약이 아니라 [[한국]]과 [[미국]]이 쌍방으로 서로를 보호하는 조약이기 때문에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따라 [[한국]]도 [[미국]]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으므로 한국은 사드를 배치하여 [[주한미군]]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ref name="한미상호방위조약"/>
 
[[더불어민주당]]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사드와 관련, "현재 박근혜 정부가 한미 정부간 협상을 통해 결정한 것은 그것 대로 존중하겠다는 것이 저의 입장" 이라고 밝혔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동네에서 두는 장기판에서도 한 수 후퇴가 안 되는데 그것을 물렀을 때 얼마나 큰 손해가 오는지 계산하지 않느냐" 고 하며 사드 배치 재협상론을 비난했다.<ref name="연합170117">{{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17/0200000000AKR20170117121100063.HTML?input=1195m|제목=안희정 "사드, '찬성=보수 반대=진보' 이분법 안돼"|뉴스=연합뉴스|성=한종구 기자|날짜=2017-01-17|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노컷170118">{{뉴스 인용|url=http://www.nocutnews.co.kr/news/4720268#csidxf3936690b08df3d80e884f3f96ba982|제목=안희정, 문재인과 '안보' 각 세우기|뉴스=노컷뉴스|성=조은정 기자|날짜=2017-01-18|확인날짜=2019-06-09}}</ref> [[안희정]] 지사는 사드 배치와 관련해서 "사드는 미군의 해외주둔지 방어 체계로 미국이 보내는 것이고 주한미군을 위한 방어 체계를 거부하는 것은 한미동맹의 근본을 흔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안희정 지사의 주장은 주한미군을 보호하기 위해 한반도에 배치되는 사드를 거부하면 주한미군이 위험에 노출되고 한미상호방위조약의 근본이 흔들리게 된다는 것이다.<ref name="한미상호방위조약"/><ref name="SBS170214">{{뉴스 인용|url=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041504&plink=ORI&cooper=NAVER|제목=안희정 "사드 거부는 한미동맹 근본 흔드는 것"|뉴스=SBS|성=윤영현 기자|날짜=2017-01-17|확인날짜=2019-06-09}}</ref> 현재 200개의 [[북한]] 미사일과<ref name="YTN170307">{{뉴스 인용|url=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041504&plink=ORI&cooper=NAVER|제목=사드 체계 일부 도착...사드 배치 시작|뉴스=YTN|성=왕선택 기자|성2=김대영 연구위원|날짜=2017-03-07|확인날짜=2019-06-09}}</ref> 600개의 [[중국]] 미사일이<ref name="신동아160823"/> [[한반도]]를 향해 조준되어 있어서 [[한국군]]과 [[주한미군]]이 위협을 받고 있다.ref name="YTN170307"/><ref name="신동아160823"/>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따라 [[한국]]과 [[미국]]은 쌍방으로 서로를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으므로 [[한국]]은 [[사드]]를 배치하여 [[주한미군]]을 보호해야 한다.<ref name="한미상호방위조약"/>
 
==== 사드 비용 미국이 부담 ====
사드 배치 비용과 사드 운영 비용은 모두 미국이 전액 부담하는 것으로 이미 합의되었다.<ref name="중부160902">{{뉴스 인용|url=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56750|제목=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 대사 인터뷰|성=한인섭 기자|날짜=2016-09-02|뉴스=중부메일|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한국경제160503">{{뉴스 인용|url=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50346651|제목="사드 운영비 미국 부담 정해졌다" 한민구 국방장관 밝혀|성=박종필 기자|날짜=2016-05-03|뉴스=한국경제|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데일리170430">{{뉴스 인용|url=http://daily.hankooki.com/lpage/politics/201704/dh20170430125224137530.htm|제목=트럼프 '사드 청구서' 발언에 김관진-맥매스터 "미국 분담" 재확인|성=이정현 기자|날짜=2017-04-30|뉴스=데일리한국|확인날짜=2019-06-09}}</ref>새로운 사드를 추가로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 본토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운용 중이었던 사드 부대를 한반도로 이동 하기로 합의되었다.<ref name="연합161002">{{뉴스 인용|url=https://www.yna.co.kr/view/AKR20161002017500014|제목=트럼프 '사드 청구서' 발언에 김관진-맥매스터 "미국 분담" 재확인|성=김귀근 기자|날짜=2016-10-02|뉴스=연합뉴스|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중앙161003">{{뉴스 인용|url=https://news.joins.com/article/20667985|제목=美텍사스주 사드 1개포대, 성주에 이동배치…조기배치 되나?|성=김태규 기자|날짜=2016-10-02|뉴스=중앙일보|확인날짜=2019-06-09}}</ref>2017년 2월, [[도널드 트럼프|트럼프]] 행정부의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한국은 이미 상당한 방위비를 분담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틸러슨 장관은 “한국과 일본은 이미 미군을 지원하는데 이미 많은 양을 기여하고 있다”면서 “향후 관련 대화가 생산적으로 진행되고, 공평한 분담금 합의가 이뤄질 것으로 낙관한다”고 말했다.<ref name="데일리170430"/><ref name="연합170209">{{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tv.co.kr/MYH20170209008300038/?did=1825m|제목=틸러슨 미 국무 “한국, 방위비 충분히 분담하고 있다”|날짜=2017-02-09|뉴스=연합뉴스TV|확인날짜=2019-06-09}}</ref>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사드 배치 비용 10억 달러(약 1조1천억원)를 한국에게 내라고 요구한 것에 대하여<ref name="연합170428">{{뉴스 인용|url=https://www.yna.co.kr/view/AKR20170428150800014?input=1179m|제목=중국은 사드보복, 미국은 청구서…차기정부 외교 딜레마"|뉴스=연합뉴스|성=조준형 기자|날짜=2017-04-28|확인날짜=2019-06-09}}</ref>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은 2017년 4월 30일 허버트 맥마스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전화 협의를 갖고 사드 배치 비용은 미국이 전액 부담한다는 기존 합의 내용을 재확인했다.<ref name="데일리170430"/>
 
중국이 러시아제 사드 1포대를 30억 달러(약 3조3천억원)에 수입하기로 한 것에 비하면 미국제 사드 10억 달러(약 1조1천억원)는 러시아제 사드의 3분의 1밖에 안되는 가격이다.<ref name="연합141127"/><ref name="TV조선170112"/><ref name="연합170324"/> 미국은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해방한 직후부터 1970년 5월까지 20년 동안 물자와 외화부족 문제를 무상으로 지원해주었으며, 특히 1950대말까지는 유일한 외자도입 창구로 한국 경제부흥에 미국의 한국 원조 정책이 가장 큰 기여를 해주었다. 미국의 한국 무상원조는 약 44억 달러, 유상원조는 약 4억 달러에 달하여 한국경제의 투자자원 마련, 국제수지 적자보전 및 경제성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고 미국의 원조는 그 당시 가난했던 한국 정부 예산에 큰 도움이 되었다. 1950~70년 한국의 경제는 미국 원조 경제 체제로, 미국으로부터 농산물, 소비재, 건축자재, 외화 등의 무상 지원을 받으면서 식량 문제를 해결하였고 1961년 기준으로 한국의 [[GDP]](국내총생산)가 23억 달러 수준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미국으로부터 받은 무상원조 44억 달러는 그당시 우리나라 [[GDP]]의 2배나 된다.<ref name="미국의 대한원조정책">{{웹 인용|url=http://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8856|제목=미국의 대한원조정책|성=이연호 교수|날짜=2008-10-13|뉴스=국가기록원|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fki.or.kr">{{웹 인용|url=http://www.fki.or.kr/fkiAct/promotion/report/View.aspx?content_id=f856adde-dc59-4d44-bbac-322f24eb4587|제목=정전 60주년 대한민국 경제성적표, 참전국 중 1위|성=김세엽 선임조사역 교수|날짜=2013-07-26|뉴스=전국경제인연합회|확인날짜=2019-06-09}}</ref>
 
==== 미국 국방 예산 담당 의원의 경고 ====
2017년 5월 31일, [[미국 상원]]에서 국방 예산을 담당하는 [[민주당 (미국)|미국 민주당]] 상원 원내총무 딕 더빈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한국이) 사드 배치를 원치 않으면 (미국정부가) 사드 배치 관련 예산을 다른 곳에 쓸 수 있다"고 경고했다.<ref name="연합170601">{{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9308755&isYeonhapFlash=Y&rc=N|제목=韓 사드 원치않으면 예산 다른데 쓸수 있다고 文대통령에 전해|성=고병준 기자|성2=조준형 기자|날짜=2017-06-01|뉴스=연합뉴스|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뉴시스170601">{{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3&aid=0007990522&date=20170602&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8|제목=美 더빈 의원 '사드예산 철회 가능성 발언' 논란|성=장윤희 기자|날짜=2017-06-01|뉴스=연합뉴스|확인날짜=2019-06-09}}</ref> 한국을 방문한 딕 더빈 미국 상원의원은, "우리(미국)는 어려운 예산 상황에 직면해 많은 프로그램을 삭감하고 있는데 한국이 사드를 원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사드 운영 비용) 9억2천300만 달러(약 1조300억원)를 다른 곳에 쓸 수 있다"고 문 대통령에게 말했다.<ref name="연합170601"/><ref name="뉴시스170601"/> 더빈 의원은 "내가 만약 한국에 산다면 북한이 한국에 퍼부을 수백 발의 미사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되도록 많은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원할 것 같다. (한국인들은) 왜 그런 정서가 논의를 지배하지 않는지 이해할 수 없다. 나는 국가 안보와 방어가 (논의를) 지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 정부 내 일부 인사들이 사드가 미국을 보호하기 위함이라는 주장을 펴는 것이 매우 걱정스럽다. 2만8천500명의 주한미군은 한국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자신들의 목숨을 걸고 있으며, 주한미군이 한국 국민들을 보호하듯이 주한미군도 보호받아야 한다"고 문 대통령에게 말했다.<ref name="연합170601"/><ref name="뉴시스170601"/>미국도 예산 긴축으로 많은 프로그램이 삭감되는 판인데 한국이 원하지도 않는 사드 배치와 운용에 (미국의) 국민 혈세 1조원 이상(9억2300만달러)을 쓸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ref name="해럴드170602">{{뉴스 인용|url=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70602000396|제목="美, 사드 뺄 수도 있다."까지 나간 보고누락 조사|날짜=2017-06-02|뉴스=해럴드경제|확인날짜=2019-06-09}}</ref> 사드는 주한미군 기지를 중국 미사일과 북한 미사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일차적 목표이기는 하지만 주한 미군과 그 장비 및 시설은 결국 한국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것들이다.<ref name="해럴드170602"/>
 
[[국민의당]] [[최명길]] 원내대변인은 "[[민주당 (미국)|미국 민주당]] 더빈 상원의원은 한국에서 사드 반대 기류가 있다는 데 대해 걱정한 것"이라며 "이 문제를 자꾸 진상조사 쪽에 초점을 맞춰서 마치 원점에서 되돌릴 수 있는 것처럼 비치는 게 국익에 아무 도움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ref name="연합170602">{{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310836&date=20170602&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28|제목=野3당 "사드 철수하면 심각한 안보위기"…대여 협공|성=강건택 기자|성2=박수윤 기자|뉴스=연합뉴스|날짜=2017-06-02|확인날짜=2019-06-09}}</ref>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만났던 미국의 [[민주당 (미국)|미국 민주당]] 딕 더빈 미국 상원의원은 [[민주당 (미국)|미국 민주당]] 원내총무이며 [[민주당 (미국)|미국 민주당]] 서열 2인자이고 미국 상원 세출위원회 국방소위 간사를 맡고 있는 미국 정계의 실력자이다. 사드는 일차적으로 주한미군 기지를 중국의 미사일과 북한의 미사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배치하는 것이고 주한미군은 한국을 지키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드는 한국을 지키기 위한 것이다. 주한미군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국토의 절반가량이 사드의 방어 범위에 들어가는 부수적 효과도 있다. 미국정부는 주한미군을 중국 미사일과 북한 미사일 위협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시킬 수 없다. 사드를 철회하면 주한미군의 대대적 감축이나 철수론이 본격적으로 등장할 수밖에 없고 한·미 동맹은 심각하게 흔들리게 된다.<ref name="조선170602">{{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6/01/2017060103705.html|제목=결국 나온 "한국이 원치 않으면 사드 빼겠다"|날짜=2017-06-02|뉴스=조선일보|확인날짜=2019-06-09}}</ref>
2017년 6월 7일(현지시간), [[민주당 (미국)|미국 민주당]] 2인자 딕 더빈 의원은 상원 세출위원회 육군예산 청문회에서 "내가 보기에 사드는 명백히 한국 국민과 그곳에 있는 주한미군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사드 미사일 방어체계를 제외할지 말지에 관한 문제가 한국에서 다시 정치적 논쟁이 된다는 사실이 당혹스럽다. 만약 내가 한국에 산다면 나는 한국 국민은 물론 그들을 지키기 위해 그곳에 주둔해 있는 주한미군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미사일 방어시스템을 원할 것이다. 미국은 예산을 삭감해야하는 어려운 상황인데 한국이 사드를 원하지 않는다면 사드 운용비용 9억2300만달러를 다른 곳에 쓸 수 있다”고 말했다.<ref name="연합170608">{{뉴스 인용|url=https://www.yna.co.kr/view/AKR20170608017300071?input=1179m|제목=사드, 한국방어에 필요한 것…韓의 사드 논란 이해 못하겠다|성=심인성 특파원|뉴스=연합뉴스|날짜=2017-06-08|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헤럴드170608">{{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16&aid=0001248207&date=20170608&type=0&rankingSectionId=100&rankingSeq=12|제목=野3당 "사드 철수하면 심각한 안보위기"…대여 협공|성=신대원 기자|뉴스=헤럴드경제|날짜=2017-06-08|확인날짜=2019-06-09}}</ref>
 
[[민주당 (미국)|미국 민주당]] 딕 더빈 상원 원내총무는 2017년 6월 13일(현지 시간) 워싱턴 의회 상원 원내총무실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한국의 사드 논란을 전해 들은 동료 의원들이 놀랍다는 반응을 보였다. 동료 의원들은 왜 한국을 보호하는 우리 주한 미군을 안전하게 지키지 못하는가라는 의문을 제기했다. 동료 의원들은 한국민의 안전과 생존을 위해 목숨을 걸고 한국에 있는 주한 미군의 안전을 위해서 사드가 필요하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면담 후 청와대를 나올 때 주한 미군의 안전이 걱정돼 상당히 기분이 상해 있었다. 북한이 매일 위협적인 무기를 내놓고 있는데 누군가 9억2300만달러짜리 방어 시스템을 제공해준다면 나라면 논의 좀 해보자 나중에 받겠다고 하지 않고 고맙다고 할 것이다. 한국이 사드를 배치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내린다면 미국 입장에선 9억2300만달러(약 1조3000억원)가 그냥 생기는 것이고 그 돈을 미국을 위해 필요한 다른 일에 쓸 수 있을 것이다. 이 같은 내용을 문 대통령을 만났을 때 분명히 이야기했다"고 말했다.<ref name="조선170615">{{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6/15/2017061500293.html|제목=한국 사드 논란 전해 들은 동료 의원들도 놀랍다더라|성=강인선 기자|뉴스=조선일보|날짜=2017-06-15|확인날짜=2019-06-09}}</ref>
 
==== 사드 번복 시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 ====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6월 20일 [[청와대]]에서 [[CBS]], [[워싱턴포스트]] 인터뷰를 가졌고 “사드 배치 결정은 우리 한국과 주한미군의 안전을 위해서 한·미동맹에 근거해 한국과 미국이 합의해서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ref name="한겨레170621"/><ref name="세계일보170621"/> 한반도 사드 배치는 미국본토 방어용이 아니라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과 한국을 보호하기 위해 결정했다는 것을 문재인정부가 인정한 것이다.<ref name="서울경제170609"/><ref name="뉴시스180819"/><ref name="세계일보170612"/><ref name="연합170630">{{뉴스 인용|url=https://www.yna.co.kr/view/AKR20170630008400001?input=1179m|제목=文대통령, 美의회 지도부에 "사드 번복 의구심 버려도 좋다"|성=노효동 기자|성2=이상헌 기자|성3=김승욱 기자|뉴스=연합뉴스|날짜=2017-06-30|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조선170630">{{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6/30/2017063000417.html|제목=文대통령, 美의회에 "사드 번복 의구심 버려도 좋다…절차적 정당성 꼭 필요"|성=김상윤 기자|뉴스=조선일보|날짜=2017-06-30|확인날짜=2019-06-09}}</ref> [[한미상호방위조약]]은 미국이 일방적으로 한국을 보호하는 조약이 아니라 한국과 미국이 쌍방으로 서로를 보호하는 조약이기 때문에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따라 한국도 미국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으므로 한국은 사드를 배치하여 주한미군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ref name="한미상호방위조약"/>
 
[[김창준]] 전 [[미국]][[하원의원]]은 “[[한국]]이 사드 번복 시 [[주한미군]]이 철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창준 전 미국하원의원은 "사드 배치 번복은 [[주한미군]] 철수하라는 얘기다. 사람들이 사드에 대해 잘 모르는 것 같다. 사드는 주한미군 2만8000여명을 보호하기 위해 갖다 놓은 거다. 미군이 있는 평택을 커버하려면 성주 뒤로 물러날 수가 없다. 이걸 철수하라고 하면 미국 의회에서 가만히 있겠나. 못 놓는다고 하면 주한미군이 철수할 수밖에 없지 않나."라고 말했다. [[김창준]] 전 [[미국]][[하원의원]]의 주장은 [[주한미군]]을 보호하기 위해 [[한반도]]에 배치되는 사드를 거부하면 [[주한미군]]이 위험에 노출되어 더 이상 한반도에 주둔 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ref name="일요170428">{{뉴스 인용|url=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052|제목="사드 번복 시 주한미군 철수” 김창준 전 연방하원의원|성=오두환 기자|뉴스=일요서울|날짜=2017-04-28|확인날짜=2019-06-09}}</ref>
 
[[스콧 스나이더]] 미국외교협회(CFR) 선임연구원은 "[[한국]] 정부가 [[주한미군]] 보호에 필요한 사드를 막는다는 인식이 형성된다면 주한미군의 한반도 주둔에 대한 미국 국민들의 여론이 급속히 악화될 것"이라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주한미군 철수를 위한 구실을 제공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ref name="연합170613">{{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331465|제목=사드 배치 결정 번복은 트럼프에게 주한미군 철수 구실|성=강영두 특파원|뉴스=연합뉴스|날짜=2017-06-13|확인날짜=2019-06-09}}</ref> 미군이 [[베트남]]에 주둔하는 것에 대한 미국 국민들의 여론이 악화되어 미국정부가 미군을 베트남에서 철수시킨 사례가 있다.<ref name="중앙170130">{{뉴스 인용|url=https://news.joins.com/article/21187186|제목=설 틈탄 북베트남 공세, 반전 여론 높여 미군 철수 불러|성=김재한 박사|뉴스=중알일보|날짜=2017-01-30|확인날짜=2019-06-09}}</ref> 한 때 50만에 달했던 주월(駐越)미군을 비롯하여 한국군 등 연합군 전투부대가 베트남에서 철수했고 미군은 자신들이 사용하던 최신 전투기를 비롯하여 미국의 최신 무기를 월남군에게 넘겨주고 떠났다.세계 4위의 공군력과 미군의 고성능 무기로 무장한 125만 월남 군대는 ‘거지 군대’나 다름없는 월맹군에게 기습 공격을 당한 지 불과 51일 만에 힘 한 번 제대로 써보지 못하고 참혹한 패배를 당했다. 경제력, 군사력, 군사장비 면에서 월등히 우세했던 월남이 허망하게 패망한 이유는 사회 각계각층에 침투한 월맹 간첩들 때문이었다.<ref name="미래150512">{{뉴스 인용|url=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803|제목=베트남 패망(敗亡)과 대한민국의 생존|뉴스=미래한국|날짜=2015-05-12|확인날짜=2019-06-09}}</ref>
 
[[미국]]의 [[닉슨]]대통령은 1967년 10월 대선후보였을 당시 "베트남 이후의 아시아"라는 논문을 발표했는데 미국이 더 이상 세계의 경찰이 될 수 없고, 베트남에서 미군은 철수되어야 하고, 아시아에서 미국의 개입을 줄여야 한다는 논문이었다.<ref name="중앙671212">{{뉴스 인용|url=https://news.joins.com/article/1144385|제목=중공위협에 대비할 지역 안전기구 필요|뉴스=중앙일보|날짜=1967-12-12|확인날짜=2019-06-09}}</ref> 1968년 11월 닉슨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며, 1969년 7월 25일 닉슨주의를 발표했다.<ref name="주한미군철수">{{웹 인용|url=http://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6392|제목= 주한미군철수|성= 백기인 교수|날짜=2007-12-01|뉴스=국가기록원|확인날짜=2019-06-09}}</ref> 이러한 닉슨주의에 따라, 주한미군 7사단과 주한미군 2사단을 모두 철수시키려 하였으며, [[박정희]] 정부는 한국과 사전 협의 없는 일방적인 주한미군 감축은 [[한미상호방위조약]] 위반이라는 성명을 여러차례 발표했다.<ref name="한겨레141003">{{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58197.html|제목=닉슨, 박정희의 뒤통수를 치다|뉴스=한겨레|성=박태균 교수|날짜=2014-10-03|확인날짜=2019-06-09}}</ref> 이러한 여러차례의 한국의 성명에도 불구하고, 1970년 7월 5일 미국정부는 7사단을 철수한다는 일방적 통고를 하였다.<ref name="데일리060220">{{뉴스 인용|url=http://dailynk.com/korean/read.php?cataId=nk09000&num=18888|제목=美닉슨, 주한미군 전면철수 검토했다|뉴스=데일리앤케이|성=양정아 기자|날짜=2006-02-20|확인날짜=2019-06-09}}</ref> 이에 대해 박정희 정부는 강력한 항의를 하였다.<ref name="한겨레141003"/> 미국의 닉슨대통령, [[포드]]대통령에 이어서, [[카터]]대통령은 1976년 11월 대선에서 주한미군 철수를 선거공약으로 내걸고 당선되었다. 대통령 취임 즉시 3단계 주한미군 철수안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공약은 박정희정부가 [[한미상호방위조약]] 위반이라는 성명을 여러차례 발표하여 제동을 걸었으며, 1979년 6월 카터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하면서 주한미군철수안이 완전히 백지화 되었다.<ref name="조선141202">{{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2/02/2014120200372.html|제목=카터, 70년대말 주한미군 철수 못시킨 까닭은|뉴스=조선일보|성=나지홍 특파원|날짜=2014-12-02|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경향090605">{{뉴스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6051757145|제목=1976년 지미 카터 주한미군 철수 공약|뉴스=경향신문|성=유신모 기자|날짜=2009-06-05|확인날짜=2019-06-09}}</ref> 미국의 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 주한미군 철수를 공약으로 언급한적이 있다.<ref name="연합160722">{{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7/22/0200000000AKR20160722075000009.HTML|제목=미군 철수' 또 꺼낸 트럼프…"미군 주둔에도 韓평화보장 안돼"|뉴스=연합뉴스|성=고미혜 특파원|날짜=2016-07-22|확인날짜=2019-06-09}}</ref>
 
[[조지타운 대학교]] [[빅터 차]] 교수는 “한국은 미국과 전략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어야 중국의 존중을 받고 더 나은 대우를 받을 수 있다”며 한미동맹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한국이 중국으로부터 존중받지 못하고 대우받지 못할 수 있다고 했다.<ref name="중앙110907">{{웹 인용|url=https://news.v.daum.net/v/20110907004203981|제목=빅터 차 "한국, 미국과 밀접해야 중국이 대접"|성=정재홍 교수|날짜=2011-12-01|뉴스=중앙일보|확인날짜=2019-06-09}}</ref> 2017년 기준으로 200개의 [[북한]] [[미사일]]과ref name="YTN170307"/> 600개 이상의 [[중국]] [[미사일]]이 [[한국군]]과 [[주한미군]] [[기지]]를 향해 조준되어 있다.<ref name="YTN170304"/><ref name="YTN170304-1"/> [[주한미군]]이 [[한반도]]에 주둔함으로서 [[미국]]이 얻고 있는 가장 주된 전략적 가치는 [[중국]]을 견제할 수 있다는 것이고 사드 배치가 철회되면 오히려 반대로 주한미군이 600개 이상의 중국 미사일로 인해 위협을 받게 되기 때문에 미국은 한반도를 더 이상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할 수 없게 된다.<ref name="조선170602"/><ref name="일요170428"/><ref name="YTN170304"/><ref name="YTN170304-1"/> 사드는 주한미군을 보호하는 것이 일차적 목표이고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이 북한과 중국의 미사일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는 한반도를 더 이상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이 중국 미사일의 인질로 잡혀 있는 형국이 되어 버린다.<ref name="조선170602"/><ref name="일요170428"/><ref name="YTN170304"/><ref name="YTN170304-1"/>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을 보호하기 위해 배치된 사드가 철회된다면 주한미군은 중국 미사일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위협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주한미군이 한반도에 주둔함으로서 미국이 얻을 수 있는 전략적 가치가 소멸되기 때문에 미국정부가 주한미군을 철수시킬 수밖에 없게 된다.<ref name="조선170602"/><ref name="일요170428"/><ref name="YTN170304"/><ref name="YTN170304-1"/> 중국은 민주혁명을 거치지 않은 공산당 1당체제 [[공산주의]] 국가이며<ref name="한겨레060524">{{뉴스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6051757145|제목=라이스 “중국은 민주혁명 없었던 일당 공산국가"|뉴스=한겨레|성=윤동영 특파원|날짜=2006-05-24|확인날짜=2019-06-09}}</ref> 중국은 "미국만 없었으면 한국은 진작에 손봤을 나라"라고 하며 한국을 군사적으로 위협하는 발언을 하였고 만약에 주한미군이 한반도에서 철수한다면 중국이 이 발언을 실행으로 옮길 가능성이 있다.<ref name="미래160318">{{뉴스 인용|url=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374|제목=오만무례한 中國 한국 향해 망언 연발|뉴스=미래한국|성=전경웅 미래한국 객원기자|날짜=2016-03-18|확인날짜=2019-06-09}}</ref><ref name="뷰스160318">{{뉴스 인용|url=https://www.viewsnnews.com/article?q=65357|제목=중국 "미국만 없었으면 한국은 진작에 손봤을 나라"|뉴스=뷰스앤뉴스|성=전경웅 미래한국 객원기자|날짜=2010-07-18|확인날짜=2019-06-09}}</ref>
 
=== 성주 배치 결정 ===
사드 부지로 여러 후보지가 검토되었지만, 2016년 7월 13일 최종적으로 성주로 결정되었다. 국방부 류제승 정책실장은 "음성과 칠곡, 군산, 원주, 평택 등을 애초에 후보지로서도 선정되지 않았다"며 "이 지역들을 제외한 후보지로 10여군데를 분석했다"고 발표했다.<ref name="뉴스1160713">{{뉴스 인용|url=http://news1.kr/articles/?2719148|제목=경북 성주, 평택·칠곡 제치고 사드 낙점된 이유는?|뉴스=뉴스1|성=권혜정 기자|날짜=2016-03-18|확인날짜=2019-06-09}}</ref>
 
그동안 언론으로 알려진 성주 선정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성주는 휴전선에서 260 km 거리에 있어서, 사거리 200 km인 북한 신형 [[방사포]]의 타격권 안에 포함되지 않는다. 스커드 미사일 등의 사거리에는 당연히 들어가지만, 방사포는 엄청난 수량을 발사해 요격이 쉽지 않은데 비해, 스커드 미사일은 매우 적은 수량을 발사하여, 패트리어트 등으로 요격하면 된다.
# 성주에 사드를 배치하면 한반도 대부분의 지역을 커버할 수 있다. 성주에서 서울은 210 km, 동두천 250 km, 평택 170 km, 부산 115 km, 광주 150 km 등 300 km 떨어진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 거의 전역을 방어할 수 있다. 사드의 유효사거리는 200 km라는 정보와, 250 km라는 정보가 혼재하는데, 일반적으로 미사일 최대 유효사거리는 군사기밀이어서 정확하게 최대치를 발표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드의 유효사거리는 250 km를 훨씬 넘어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른 분석에서는 사드 미사일을 지대지로 발사할 경우, 최대 사거리는 900 km라고 한다.
# 성주는 인구가 적다. 사드 기지는 북중러의 선제 핵공격인 [[제1격]]의 핵심 목표물이 될 수 있는데, 다른 후보지는 10만명에서 수십만명이 살고 있는데, 성주는 고작 170명이 살고 있다.<ref name="한겨레170228">{{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784577.html#csidxd278504e735e247a08a32044b28ff4b|제목=‘사드 배치’ 성주골프장 주변 주민들 “골짜기 살면 사람도 아니가”|뉴스=뉴스1|성=권혜정 기자|날짜=2017-02-28|확인날짜=2019-06-09}}</ref> 사드가 배치된 곳에서 1.5km 떨어져 있는 성주 도심은 고작 인구 4만5000명이다. 다른 지역보다 엄청나게 인구가 적다.
# 성주가 그나마 중국에서 가장 멀다. 사드 배치는 중국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데, 이를 고려해 최대한 후방으로 뺀 곳이 성주이다. 그러나 최근 미국의 시험발사에서 사드 레이더의 3000 km 탐지거리가 보도된 적이 있어서, 그정도면 한국의 어디에 배치해도 중국 거의 전역이 커버된다. 그러나, 여하튼 중국의 반발 때문에 최대한 후방으로 배치하기로 했다.
# 성주 호크 미사일 기지에 배치하기로 해서, 부지매입, 환경영향평가 등의 절차를 모두 생략하고 즉시 사드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후에 성주 골프장으로 변경되어, 부지매입, 환경영향평가 등의 절차를 진행중이다.
 
==== 휴대전화 보다 미약한 전자파 ====
2013년 [[일본]] [[교토]](京都)에 사드 배치 논의가 시작된 후 자문역을 맡았던 레이더 전문가 사토 도루(佐藤亨) [[교토대]] 교수는 "전문가들과 모여 논의한 끝에 사드 레이더의 전자파는 인체에 휴대전화만큼의 영향도 주지 못한다"는 3쪽 분량의 의견서를 제출했다.<ref name="동아160716">{{뉴스 인용|url=http://news.donga.com/3/all/20160716/79224109/1|제목=日배치때 자문 맡은 사토 교수 “사드 전자파, 휴대전화보다 영향 적어”|뉴스=동아일보|성=장원재 특파원|날짜=2016-07-16|확인날짜=2019-06-09}}</ref>
 
2016년 8월 18일 미국이 한국 국방관계자와 언론에 최초로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에 배치된 사드 기지를 공개하였고 괌 사드기지의 레이더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는 한국방송통신위원회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치인 10W/m<sup>2</sup>의 0.007% 수준이었다.<ref name="조선160804">{{뉴스 인용|url=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3&mcate=M1001&nNewsNumb=20160821103&nidx=21104|제목=사드괴담 확산의 중심에 선 왜곡언론들의 맞춤형 왜곡보도|뉴스=조선일보|성=유동열 원장|날짜=2016-08-04|확인날짜=2019-06-09}}</ref> 한국은 현재 이스라엘 [[그린파인 레이다|슈퍼그린파인 레이다]] 2기를 배치중이다. 사드 레이다 보다 고출력인데도, 그 두 지역 주민들은 아무런 시위도 반대도 하지 않고 있으며, 전자파 민원도 없다. 한국은 2025년까지 슈퍼그린파인 레이다 보다 고출력인 한화탈레스 [[L-SAM]] 레이다 4기를 배치할 것이다. 2016년 전자파 문제로 사드를 반대하는 [[더불어 민주당]]은 [[노무현 정부]] 당시 [[L-SAM]] 개발을 추진했던 집권당이었다.<ref>[http://www.factoll.com/page/news_view.php?Num=3382 비영리 언론 팩트올 - “사드 소음피해 심각하다”는 국내 보도는 사실일까?••• 교토시 측정결과는 달랐다.]{{깨진 링크}}</ref><ref>[http://factoll.com/page/news_view.php?Num=3398 비영리 언론 팩트올 - 일본 사드기지 동영상 공개④/ 주민들 “사드 소음 없다”... “노코멘트”.]</ref>{{깨진 링크}}
 
앤더슨 공군기지를 방문한 취재기자들은 사드 기지의 소음은 레이더에서 가까운 곳에서는 귀마개를 해야 할 정도였으나 500m 정도 떨어지자 아예 들리지 않았다고 전했다.<ref name="조선160804"/> 일본이나 괌의 사드기지의 소음은 레이더를 가동시키기 위한 자가 발전기에서 나오는 소음이나, 성주에 배치될 사이드 기지는 직접 한전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운용하기 때문에 소음논란은 원천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ref name="조선160804"/>
 
국방부와 환경부는 2017년 8월 12일 성주기지의 사드 사격통제 레이더(TPY-2TM)에 대해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한 결과, 측정된 전자파의 최대치라도 인체허용 기준치의 0.46%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사드에서 배출하는 전자파가 인체허용 기준치의 200분의 1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f name="뉴스1170812">{{뉴스 인용|url=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421&aid=0002887798&date=20170812&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1|제목=성주 사드레이더 전자파 '안전'…허용치의 0.46% 하회|뉴스=뉴스1|성=박정환 기자|날짜=2017-08-12|확인날짜=2019-06-09}}</ref>
 
 
==== 법령상 불가능한 환경영향평가 ====
현재 사드 부지 면적은 10만m<sup>2</sup>임으로 소규모 환경영향평가가 적법한 방식이고 [[청와대]]가 요구한 전략환경영향평가는 사업면적 33만m<sup>2</sup> 넘어야 되기 때문에 [[청와대]]가 요구한 대규모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주한미군]]에 부지를 추가로 더 공여해야만 한다. 국방부는 2017년 6월 6일 주한 미군 사드 배치와 관련, "법령에 따른 적정한 환경영향평가를 하라"는 청와대 지시를 이행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고 한민구 국방장관도 "절차적 정당성을 더욱 높이라는 청와대 지침이기 때문에 국방부가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했지만 국방부 등 관계 부처 공무원들은 "관련 법령에 따른 절차를 한다면, 지금까지 추진했던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절차 그대로 하면 된다"며 "청와대 요구대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하려 한다면 오히려 그게 위법이나 편법 논란을 부를 것"이라고 했다. <ref name="조선170607">{{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6/07/2017060700303.html|제목=환경평가 靑요구 맞추려면… 사드 부지 3배 늘려야 할 상황|뉴스=조선일보|성=이용수 기자|날짜=2017-06-07|확인날짜=2019-06-09}}</ref>
 
환경영향평가 문제를 청와대가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는 합법적인 방법은 사드 배치 계획을 전면 백지화하고 전략환경영향평가를 모두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이를 위해서는 이미 야전 배치된 레이더와 발사대 등 사드 장비들을 꺼내야 하고, 부지도 롯데와의 토지 맞교환이 아닌 매매 방식으로 다시 확보해야 하는 등 복잡한 문제가 여럿 발생한다.청와대에서 요구하는 "현 배치 상태는 유지하면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제대로 거치라"는 것이 법적으로 불가능한 이유는 환경영향평가법과 시행령에 따르면 국방장관이 사업계획을 승인하기 전, 즉 부지를 확보하기 전 계획 단계에 실시하는 것이고 사드는 그 단계를 한참 지나 이미 배치·운용되고 있으며 사드 부지처럼 매입이나 수용 방식이 아닌, 토지 맞교환 방식으로 확보된 땅의 경우에는 아예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 국방부 설명이다.<ref name="조선170607"/>
 
[[문재인]] 정부 첫 [[국방장관]]으로 지명된 [[송영무]] 전 [[해군참모총장]]은 [[사드]] 부지 환경영향평가 방식 변경 등에 대해 "조금 미숙하게 대응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ref name="문화170607">{{뉴스 인용|url=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7061201070530114001|제목=사드 환경영향평가 논란 벌어진 것… 조금 미숙하게 대응한 측면이 있다|뉴스=문화일보|성=정충신 기자|날짜=2017-06-12|확인날짜=2019-06-09}}</ref>전략환경영향평가를 거친 사업은 2차로 '일반환경영향평가'를 받거나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를 받게 되는데 청와대의 주장은 이 중 절차가 더 복잡한 일반환경영향평가를 거치라고 하고 있지만 청와대의 주장이 법령상으로 불가능한 이유는 사드 부지로 주한미군에 공여된 면적은 32만8779m<sup>2</sup>이고 실제 시설 공사가 필요한 사업면적은 10만m<sup>2</sup> 정도이기 때문에 법령상 일반환경영향평가를 받을 기준이 안 된다. 현행법상 사드 부지를 일반 환경영향평가를 받게 하려면 사업면적이 33만m<sup>2</sup>가 넘도록 만들어야 하고 주한미군에게 실제로 필요하지도 않은 땅을 "사업 면적에 더 넣어달라"고 요구해야 하고, 주한미군이 그렇게 허락해줘야 법령상 일반환경영향평가가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국방부 관계자는 "주한미군이 필요하지도 않은 필요 이상의 땅을 추가로 주한미군에 억지로 넘긴다면 한국 국민도 미국 측도 납득할지 모르겠다"고도 했다.<ref name="조선170607"/>
 
== 반대측의 주장 ==
=== 우리민족의 평화 통일을 방해하는 미국 ===
[[북한]]은 사드 배치를 비난하며 "[[미국]]은 사드를 제 땅으로 끌어가라"고 주장했고 "남조선 당국이 '사드배치가 북핵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미국과 공동으로 결정한 것이며 전임정부의 결정이지만 정권이 교체됐다고 해서 그 결정을 가볍게 여기지 않는다'고 떠들고 있다"고 비난했다.<ref>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238938&plink=ORI&cooper=NAVER</ref><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10/0200000000AKR20170610054700014.HTML?input=1195m</ref> 또한 북한은 "남조선 당국이 정녕 촛불 민심을 대변하는 정권이라면 미국 상전의 강요를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이제라도 제정신을 차리고 사드 배치 철회를 요구하는 남조선 각계의 민심을 따르는 것이 마땅한 처사일 것"이라고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345013 </ref> 남측정부가 사드 배치를 강행하여 우리민족을 대립 구도로 몰고 가고 있다는 것이다.<ref>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238938&plink=ORI&cooper=NAVER</ref><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10/0200000000AKR20170610054700014.HTML?input=1195m</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345013 </ref> [[문재인]] 정부는 "사드 배치 기존 합의를 재확인(re-assure)한다"는 내용의 공동선언문을 준비하기로 했다.<ref>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49&aid=0000132230 </ref>
 
남북은 통일의 주체이고 남북관계의 개선 없이는 우리민족이 통일도 할 수 없을 것이므로, 남측정부는 통일을 대비하는 차원에서 남북관계를 개선하여 북한으로 하여금, 핵과 미사일 그리고, 대량 살상무기등을 사용을 할 필요가 없게 하는 새로운 안보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남측정부는 북한이 미국과 평화협정을 체결할 수 있도록 외교적 노력
을 지원하면서 북남이 경제협력을 통해 경제공동체를 조성하고, 북남본합의서에 서 이미 합의한 '북남불가침협정'을 실제로 체결하고, 평양에 대표부를 개설해야 할 것
이다. 남측정부는 북남관계를 개선하여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이제 남측정부는 과거와 9년 이상을 북한의 붕괴를 기다리면서 북남정책에서 원칙과 고집만을 유지할 것이 아니라, 남측이 민족 차원에서 북한과 대화하며, 북한을 대량 살상 무기를 폐기하고, 평화의 길로 인도하는 데 노력을 해야 하며 이것을 위해서 사드 배치는, 오히려 중국과 러시아의 군사적 결속등을 강화하여 우리민족 평화 통일에 큰 장애물이 된다.<ref>박휘락“한국과 일본의 탄도미사일 방어(BMD) 추진 비교”세종연구소,국가전략 제21권 2호(2015. 06), pp. 41-66.</ref><ref name="tongilnews.com">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472</ref><ref>박기학, “한∙미∙일 군사정보공유약정의 불법성과 반평화성” 평화통일연구소, 『평화소모임 강연 자료집』(2015. 02. 22.).</ref>
 
북한과 남한은 한반도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미국이나 중국 어느 한쪽에 지나치게 의지하지 말고, 북남의 신뢰와 협력을 통해 우리민족끼리 자주적으로 해결한다는 원칙과 의지를 가지고 통일정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그러나 북남이 한반도 문제를 자주적으로 실천하지 못하면 북남통일 은 더욱 어렵고 오히려 전쟁을 걱정해야하는 문제가 돈다. 한반도 주변 4강이 한반도의 통일을 자국의 이익에 도움이되는가를 생각하기에, 한반도 분단의 현상유지 정책으로 그들의 국가이익을 추구하게 된다면, 우리민족의 통일은 더욱 어려워 질 수 있다. 북남이 주변 국가의 눈치를 보지 않고 당당하게 생존할 수 있는 방법은 북남기본합의서를 비롯하여 6·15선언과 10·4공동선언의 정신으로 돌아가 이를 실천이 필요하다. 북남이 더 이상 미국과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에 끌려 다니기보다는 미국과 중국을 앞서가는 통일정책을 추진함으로써,그들이 북남을 따라 올 수 있도록 국제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한반도 주변4강은 현재 편 가르기를 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이 신 안보가이드라 인에 따라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미국이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을 인정함으로써, 미국이 전쟁을 수행하는 어느 곳이라도 일본이 침략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일본이 한반도 땅에 또 다시 일본군을 보낼수 있게 된것이다. 미일동맹의 강화로 중국과 러시아도 군사협력을 강화하고 있어, 신 냉전체제의 재출현을 예고하고 있다. 한반도 주변 국가들은 한반도 문제와 관련된, 각자 자국의 국가이익을 위해 상호 대립할 경우 한반도는 고통 받게 되어 주변의 국제안보환경을 숙명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북남은 지정학적 위치를 바꿀 수는 없으나 한반도의 지정학적 운명을 바꿀수 있도록, 주변 강대국의 4강의 편 가르기에 가담하지 않아야 한다 ‘비동맹 중립’정신에 따라 4강에 철 저한 균형외교를 통해 국가이익을 극대화 하면서 평화통일 정책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을 저지하는 것은, 사드배치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 실제로 북남이 협력을 강화하여 우리민족이 평화 통일의 길로 나아 가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된다는것을 우리민족이 인식해야 한다. 기존 남측정부 당국이 안보를 미끼로 하여, 남측을 핵의 위협으로 부터 막아야 한다며, 사드 배치등을 통해 군사적 긴장을 고조하며 자신들의 정권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삼는것에 기만 당하지 않아야 한다. 손자병법에 전쟁의 최 상책은 “적과 싸우지 않고 승리하는 것”이란 진리를 되새겨 봐야 할 것이다.<ref name="tongilnews.com"/><ref>박휘락“한국과 일본의 탄도미사일 방어(BMD) 추진 비교”세종연구소,국가전략 제21권 2호(2015. 06), pp. 41-66.</ref><ref>박기학, “한∙미∙일 군사정보공유약정의 불법성과 반평화성” 평화통일연구소, 『평화소모임 강연 자료집』(2015. 02. 22.).</ref>
 
==== 우리민족 동족상잔을 유도하는 사드 ====
미국 중앙 정보국 CIA 에서 한반도 정세에 대한 자문을 여러번 요청받고, CIA 홈페이지에도 저서가 소개된 한반도 정세 전문가인 김진명씨는, 미국이 배치하려는 "사드를 방어무기체계라고 하는 데 이는 대단히 잘못된 논리”라며 “사드 배치가 논란이 되는 것은 사드가 한반도에 배치하는 순간 전쟁이 난다고 할 수는 없지만, 중국 입장에서 보면 미국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인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무력화된다는 게 문제”라고 진단했다.<ref>http://www.pitchone.co.kr/6041</ref><ref>http://www.sisa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531</ref><ref>http://missionsos.kr/xe/b13/10168</ref><ref>http://www.rfa.org/korean/commentary/lankov/cu-al-04272017113258.html</ref><ref>https://www.youtube.com/watch?v=OkSrh7AmUEE</ref><ref>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582&mobile=1</ref><ref>http://www.koreatimes.com/article/387722</ref>
 
한반도에 전쟁이 나면 우리민족은 비참하게 희생이 되겠지만, 미국은 안전하므로 북한을 선제 공격해야 한다는 미국의 군사 전략이 주도하게 된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조언자 역할을 하는 하원 의원 린더시 그래햄의 주장처럼 미국에서는, 군산 복합체의 산업 구조로 인해서 전쟁을 일으키고 이를 통해서 전쟁 물자를 판매를 해야 미국의 경제가 이끌어지므로,현재 재정적자가 가중되는 상황에서, 미국의 이익을 위해서 타국을 희생할 수도 있다는, 자국우선주의로 전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ref>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70425000235</ref><ref>http://mlbpark.donga.com/mp/b.php?p=1&b=bullpen&id=201704270002659930&select=&query=&user=&site=donga.com&reply=&source=&sig=hgjLGf-gg3eRKfX@hca9Sg-Yjhlq</ref><ref>http://www.gasengi.com/m/bbs/board.php?bo_table=commu06&wr_id=666854</ref>
중국에서도 사드의 배치에 따라서, 미군의 공격을 막기 위해서 한반도를 타격하기 위한 신규 미사일 시스템의 배치 및 러시아와 한반도 사드를 대응하기 위한 군사 전략적 대응을 협약 하여, 한반도 사드가 북한을 대응하는것이 아닌, 미국에서 사드 레이더를 통하여 중국을 내륙을 감시 하여, 미국이 만약 북한을 선제 공격할때, 중국의 가담하는것을 억제 하는 역할, 즉 한반도 전쟁 발발을 하는 도화선이 사드가 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ref>http://nationalinterest.org/blog/the-buzz/why-china-fears-thaad-15637</ref><ref name="presstv.ir">http://www.presstv.ir/Detail/2017/04/26/519520/China-Russia-THAAD-Iran</ref><ref name="smh.com.au">http://www.smh.com.au/world/china-russia-to-counter-donald-trumps-controversial-thaad-missile-shield-20170427-gvtsb4.html</ref><ref name="telegraph.co.uk">http://www.telegraph.co.uk/news/2017/04/17/china-russia-dispatch-ships-shadow-donald-trumps-armada-approaches/</ref><ref name="globalresearch.ca">http://www.globalresearch.ca/war-against-north-korea-thaad-missile-system-aimed-at-russia-china-not-dprk/5587418</ref>
 
한반도에 사드 시스템이 배치 되면, 중국에 대한 미군의 군사적 억제 력이 강화되고 이로 인해서 미군이 북한을 선제 공격하면, 북한은 자국을 보호 하기위해서, 대량 살상 무기인 생화학 무기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있었다.
<ref>http://www.huffingtonpost.kr/2017/02/02/story_n_14566426.html</ref>
 
==== 중국제 신형 SLBM을 보유한 북한 ====
북한이 열병식에 선보인 중국제 신형 SLBM 미사일에 대해 중국 정부는 정상적인 무역 관계에 따른 것이라는 주장을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25&aid=0002706981&sid1=001</ref> 그러나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르면 북한에 군사 장비를 수출하면 제재 위반이 된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25&aid=0002706981&sid1=001</ref>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북한이 발사에 이용된 이동식 발사대가 무한궤도형 발사대인 것으로 확인됐으며, 콜드 런치 즉, 냉발사 체계를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으며 또 발사체의 연료도 기존의 액체연료에서 신형 고체연료로 교체한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이 이번에 공개한 중국제 신형 SLBM 미사일은 사거리 2천500~3천km로 추정 된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25&aid=0002706981&sid1=001</ref> 사거리 2천~2천 500km인 SLBM에 비해서는 늘었지만 3천~3천 500km인 무수단 미사일의 사거리 보다는 짧다. 이번 실험은 북한의 미사일 체계가 현대화 시스템으로 가고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콜드 런치로 육상에서 발사한데다 자세 제어까지 했다는 것은 상당히 높은 기술이다. 국정원측이 북의 미사일 비행속도가 당초 알려진 대로 마하 10이 아니라 마하 8.5라고 밝혔다고 전하면서 "사드(한반도 고고도미사일)는 마하 14까지 (방어)할 수 있기에 이론적으로 방어가 가능하지만, 또 "고체액체는 연료를 넣지 않기 때문에 연로 주입시간이 5~10분밖에 안 된다"며 "어디서 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선제타격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 주장은 타당성이 부족하다. 국방부의 '킬 체인'이 안 되는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선제타격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이다.
다시 말해 "선제타격이 안되면 예방타격을 해야 한다"며 "그러나 (예방타격은) 쏠지 안 쏠지 모르는 상황에서 북한의 설비를 뭉개버리는 것인데 이것은 전쟁 수준이고 상호간에 대량의 인명의 무자비한 살상이 되는것을 각오 해야하는, 전면적 전쟁으로 가게 된다. 결국 국정원의 분석대로면 예방선제타격도 안 되고, 한국 국방부의 전략인 킬 체인도 의미가 없다는 것이라는것은, 사드가 수도권을 지키는 방어무기가 아닐 수도 있다는 의혹을 고려하면, 북한의 핵위협에 굴복하고 비굴한 평화 협정을 통해 국민들의 생명을 지키는 것이 유일한 길이라는 사드 반대론자들의 주장이 있지만 타당성이 부족하다.<ref>http://www.voakorea.com/a/3721053.html</ref><ref>http://www.jajusibo.com/sub_read.html?uid=31821&section=sc29</ref><ref>https://kr.sputniknews.com/opinion/201704052230794-%EB%B6%81%ED%95%9C-%EB%AF%B8%EC%82%AC%EC%9D%BC-%EB%B6%81%EA%B7%B9%EC%84%B1-%EB%B0%9C%EC%82%AC/</ref>
 
북한이 우리나라를 공격할 때, 구태여 고가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인 [[무수단 미사일]] 사용 하지 않을것이라는 주장이 있으며, 노동 미사일 및 40&nbsp;km 인접 근거리에 공격 가능한 스커드미사일들로 남한을 공격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을뿐만 아니라, 사드로 요격 불가능한 중국제 신형 SLBM 미사일등을 보유함으로, 사드는 불필요하다는 사드 반대론자들의 주장이 있으나 저고도 공격 방어를 대비하여 패트리어트가 있고 고고도 방어를 대비하여 사드가 필요함으로 이 주장은 타당성이 부족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25&aid=0002706981&sid1=001</ref> 한편 북한이 미국본토를 공격하기 위해 개발한 2500&nbsp;km 이상 장거리 비행을 하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인 ICBM으로, 불과 30&nbsp;km - 300 Km 인접한 [[대한민국]]을 공격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주장이 있으나 북한은 최근 장거리 미사일을 고각도로 발사하여 근거리 공격을 하는 발사 시험을 여러차례했기 때문에 이 주장은 타당성이 부족하다. 북한이 탄도미사일로 우리나라를 공격한다면 주로 스커드 계열을 활용할 것이라는 주장이 있고, 사드는 불필요 하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 주장 역시 타당성이 부족하다. 또한 사드로는 요격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중국제 신형 SLBM을 북한이 보유하게 되어 남측정부의 예상을 이미 넘어섰기에, 사드 미사일 및 레이더의 도입은 불필요 하다는 주장이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25&aid=0002706981&sid1=001</ref><ref name="hankookilbo.com"/><ref name="news.chosun.com"/><ref name="ReferenceC"/><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3&aid=0007768173&date=20170213&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1</ref>
 
==== 북한 핵탄두 소형화 미완성 ====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2015년 5월 18일 서울 용산 미군 기지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리는 (북한이 야기할) 모든 결과에 대비해야 한다”고 전제한 뒤 이것이 우리
가 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를 비롯, 다른 수단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북한의 위협과 관련해 미 국무장관이 최초로 사드문제를 공개적으로 언급함으
로써 한국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그러나 이러한 케리 장관의 언동은 오바마 정부가 고위급 수준에 까지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관해 논의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
할 수 있다. 케리 국무장관이 사드 문제를 언급했음에도 불구하고, 한미 양국정부는 사드의 한반도 배치 문제에 대해 “미국이 요청하지도 않았고, 협의나 결정된
바 없다”는 '3 NO'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해 한·미간에 엇박자도 보이고 있다. 윌리엄 고트니 미군 북부사령관은 2015년 5월 7일 “북한이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해 미국 본토를 향해 발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미군 관계자가 북한의 핵무기 소형화 가능성을 여러 번 시사했지만 이번처럼 기자회견을 열고 단정적으로 밝힌 건 처음이다. 하지만 결국 국방부는 “미 정보 당국에 확인해 보니 문제의 발언은 개인 의견일 뿐” 이라고 일축했다. 미군 사령관의 공개 발언을 우리 군 당국이 미국 정보 당국을 인용해 부인하는 기이한 상황이 연출하였다. 즉 북한 핵무기의 미군 도달까지 소형화는향후 몇년후의 상황임으로, 지금 미국에서 서둘러 사드를 배치하는것은 중국 견제 하는것임에 대한 주장에 근거를 더한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9/09/0200000000AKR20160909117900014.HTML</ref>
<ref>박휘락“한국과 일본의 탄도미사일 방어(BMD) 추진 비교”세종연구소,국가전략 제21권 2호(2015. 06), pp. 41-66.</ref>
 
중국의 [[옌쉐퉁]](閻學通) 칭화대학 교수는 2015년 5월 19일 [[신라호텔]]에서 개최된 아시안리더쉽회의에서 “미국은 주한미군 보호 등을 위해 사드가 필요하다고 하
지만 실제적 북한(미사일 기술 수준)은 미국의 사드로 요격할 정도로 발달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에 사드 배치는 북한의 미사일 보다는, 중국의 미사일을 견제하기 위
한 것”이며, “중국은 미국과 군사력의 균형을 맞추려 하기 때문에 미국이 사드를 통해 방어력을 강화하면 미국과 중국의 군사력 격차가 발생하므로 사드배치를 원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ref>박휘락“한국과 일본의 탄도미사일 방어(BMD) 추진 비교”세종연구소,국가전략 제21권 2호(2015. 06), pp. 41-66.</ref>
 
=== 최순실과 록히드마틴의 밀거래 의혹 ===
한겨레 사설은 "파면된 박근혜 전 대통령을 보좌 하던 참모로써, 김관진 안보 실장과 황교안 총리가, 안보상황을 유지 및 관리를 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결정자 행세를 한것은 권력 남용이며, 월권 행위다"라며 비판을 하였다.<ref>http://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774483.html</ref><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222759&date=20170427&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4</ref> 뇌물 수뢰 혐의등으로 탄핵된 박근혜 정부에서는, 국방부에서는 2016년 7월 5일 사드시스템은 결정된 바가 없고 아직 실무 검토중이라는 보도를 공식적으로 발표된지,
이틀후 인 7월 7일 갑자기 청와대 요청으로 국가 안전 보장 회의를 소집되고 이곳에서 결정되었는데, 이때 주무 부처인 국방 장관이 불참하고, 차관이 대신 참가한 상태에서 진행되었고, 안건역시 관련 부처인 국방부와 외교부가 아닌 김관진 청와대 안보 실장이 청와대의 의지인, "정무적 판단"이라고하면서, 즉석 안건으로 사드 배치를 상정하여 통과 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즉 사드 시스템이 필요성 및 적합성에 대해서는 사실상 청와대 안보실과 주한미군이 국방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접촉한 것이며, 이후에 국방부는 이것을 위한 수습으로 군사적 합리성이 고려되지 않은 결정이었다는 주장이 있다.<ref>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73913.html</ref>
<ref>news.joins.com/article/20389839</ref><ref>http://www.pressian.com/ezview/article_main.html?no=143727</ref>
<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24891</ref>
<ref>http://www.sedaily.com/NewsView/1L43FVY455</ref><ref>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48403</ref><ref>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46124</ref>
 
==== 성주군 군민들의 반대 ====
사드의 전자파, 방사능 및 소음 권역에 [[성주읍]]이 모두 포함된다는 내용에 따라서, 전자파와 방사능에 대한 문제에 대한 공포심으로, 사드레이더 전자파와 방사선아래 거주해야하는 성주 시민은 사드 배치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성주군]]민들은 강력하게 반발하였다. 까치산이나 염속산 등이 제3부지로 거론됐다. 국방부는 까치산과 염속산을 답사했지만 부적합 결론을 내린 적이 있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8월 4일 [[성주군]] 내 제3의 부지를 검토할 것을 지시하자, 국방부는 제3후보지 검토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200&oid=079&aid=0002857709 국방부 "사드 성주군내 제3후보지 검토 가능"(종합)]</ref> 사드 기지를 북쪽으로 옮기면 [[오산공군기지]]와 오산시까지 방어할 수 있다. 염속산이나 까치산 등은 산봉우리가 뾰족해 공사에 오랜 시간이 들고 환경이 파괴될 수 있어 부적합했는데, 민가가 적고 접근성이 뛰어난 롯데 스카이힐 성주 CC 골프장이 사드 배치에 적합하다는 사실을 확인한 국방부가 이곳을 후보지로 답사했다는 소식이 보도가 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455659 성주군청서 18km 거리…사드 전자파 공포 잠재울 지역]</ref>
 
국방부 고위관계자는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성산포대보다 성주 골프장이 더 적합한 지역임을 인정했고, 추이를 지켜 본 후 공식적으로 변경할 것이라고 밝혔다.<ref>[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39934&yy=2016 "성주 롯데골프장 사드 배치 최적지"…국방부 관계자 밝혀]</ref>
제3후보지 검토에 따라 처음 검토된 제3후보지로 알려진 염속산이나 현재 제3후보지로 유력한 골프장과 이웃한 [[김천시]]에서 반대 운동이 나왔다. 김천시에서 사드 반대 운동은 [[염속산]]이 제3후보지로 알려지면서 시작되었다.<ref>[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60805.010030729300001 염속산과 지척지간 김천‘불똥’…사드반대 현수막 준비]</ref> 골프장이 제3후보지로 유력시 되자 성주군 에서는 제3후보지를 수용하자는 입장과 성주군 어디에도 사드는 안된다는 입장이 나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25&aid=0002637627]</ref>
 
한편 성주군의원 4명이 새누리당을 탈당했다.<ref>[http://www.newsmin.co.kr/news/12010/ 백철현 위원장 포함 군의원 4명 새누리 탈당…성주촛불 ‘환호’]</ref>
2016년 8월 21일 성주사드투쟁위에서 제3후보지 요청안을 놓고 표결한 결과 찬성 23명, 반대 1명, 기권 9명으로 나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8631482]</ref> 그래서 제3후보지 선정을 요청하려고 했다가 마찰이 생겨서 발표가 취소되었다.<ref>[http://www.focus.kr/view.php?key=2016082100170518938 성주 사드투쟁위, 국방부에 '제3후보지 검토 요청' 결정 무효화하고 공식발표 취소]</ref> 그래서 8월 22일 성주군수가 제3후보지 배치를 공식 요구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2749820 국방부, 성주 군수 요청에…“사드 제3후보지 평가”]</ref> 정부 고위 소식통은 22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성주군 [[초전면]] 롯데스카이힐 성주컨트리클럽에 사드를 배치하면서 18홀로 이루어진 롯데골프장의 9홀을 사드부지로, 9홀을 미군골프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미군과 논의했다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2997980 국방부 ‘성주 골프장에 사드 배치’ 美와 협의중]</ref>
 
롯데골프장 배치가 유력시된 이후 사드 배치 관련 지역의 반대 운동은 성주군 [[초전면]]과 김천시 [[농소면]]·[[남면 (김천시)]]·[[율곡동]](김천혁신도시)에서 전개되고 있다. 성주읍에서의 반대 운동은 주민 대부분이 제3후보지 찬성으로 돌아서 힘을 잃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8636612 사드 반대운동 3곳으로 확산…김천이 가장 큰 변수]</ref>
 
==== 남측 정치인들의 반대 ====
대한민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사드의 반입과 운영은 별개라고, 사드 방위 체제가 기습 반입 된것에 대해서, 향후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로 풀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사드에 대해서는 국회 비준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당론을 채택하였으며, 사드는 국회의 비준 절차에 따라서 배치 및 운용 결정을 해야 한다고 주장 하였다.
<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792644.html</ref><ref>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2017030801706.html</ref>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2850971 우상호 원내대표 "박 대통령, 사드 왈가왈부 말란 건 국민 협박"]. 노컷뉴스. 2016년 7월 15일.</ref> 제2야당 [[국민의당]]은 사드 배치에 반대했고 국민의당 소속 국회의원 [[안철수]]는 사드 문제를 국민투표에 붙이자고 제안했다. 제3야당 [[정의당 (대한민국)|정의당]]도 사드 배치에 반대했고 정의당 소속 국회의원 [[김종대 (1966년)|김종대]]는 국회 비준을 제안하였다.<ref>정혜림의 대화 제작팀. [http://www.vop.co.kr/A00001049109.html (정혜림의 대화 - 김종대 의원편) “사드 배치 하려면, 국회 동의가 필요하다”]. 민중의소리. 2016년 7월 21일.</ref> [[이재명 (1964년)|이재명]] 성남시장은 사드 배치 반대, 사드 배치 철회를 꾸준히 외치고 있다. "메르스보다 사드가 주는 경제적인 피해가 더 크다"라는 입장을 밝혔다.<ref>{{웹 인용|url=http://www.huffingtonpost.kr/2017/03/08/thaad_n_15234576.html|제목=이재명 "메르스보다 사드 피해가 더 커"|확인날짜=2017-03-14}}</ref>
 
[[리언 패네타]] 미국 전 국방장관은 제23대 미국 국방부 장관으로, [[이명박 정부]] 때 이미 사드 배치를 요청하였던것을 증언하였으며, 미국 국회 보고서를 포함하여, 한반도에 손해가 크다는 판단에 따라서 이명박 정권 때는 반대를 하였으며, [[박근혜 정권]] 때 지속적 미국의 요구에 따라 다시 검토되었다.<ref>http://newstapa.org/31697</ref><ref>http://www.amn.kr/sub_read.html?uid=25267</ref><ref>http://www.huffingtonpost.kr/2016/03/09/story_n_9413494.html</ref><ref>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0&num=86660</ref>
 
=== 중국과의 외교적 마찰 ===
[[중국]] 관영언론 [[환구시보]]는 "[[문재인]]은 잔꾀를 쓰지 말라"며 "사드를 철회하지 않으면 모든 피해는 [[한국]]과 한국 국민들이 입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45984&iid=49521660&oid=448&aid=0000212993&ptype=052</ref> [[시진핑]] 주석은 [[박근혜]] 전 대통령과 통화에서, 북핵 해결의 3가지 원칙을 언급하며, 추가로 중국의 안보에 침해가 되는 것이 "사드시스템"이라고 하면서 결연히 반대한다는것을 언급하였다. 특히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사드 시스템의 레이더인 X 밴드 레이더가 북한까지만 감시 가능한 600 KM 감시 모드이외에, 전진 모드로 시스템 변경시, 중국 대륙 한복판까지 감시 가능한 2500 KM 까지 감시 가능 하므로, 중국의 "정당한 자국의 국가 안보 이익에 직접적 침해가 되는것" 으로 중국에서는 절대로 반대 함을 천명 하였다.<ref>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730451.html</ref><ref>chosun.com/tw/?id=premium*2016032102131</ref> 중국에서 자국의 안보에 직접적 침해가 된다는 주장의 근거는, 한반도에 배치 예정인 사드 시스템은 미군이 운영하며, 전세계에서 가장 큰 핵공격 군사력을 가진 미국이 만약 중국을 공격하면, 중국에서는 이것에 대한 반격으로 미국 본토인 [[시애틀]], [[LA]] 등을 공격할 수 있다는 반격을 통해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통해, 중국은 자국의 안보를 보호하고 있다. 즉 중국보다 군사력이 월등이 높은 미군에 맞서서 같이 군사적 비용을 지출을 억제 하는 이유는, 미군의 공격을 받을 때 타격할 수 있기에, 미군이 중국을 공격하지 않을것이라는, 전략적인 선택이다. 세계에서 가장 큰 군사력과 공격력을 보유한, 미군에서 중국 본토를 감시하는 사드레이더를 중국 바로 최인근이 되는 한반도에 배치하면,이것은 직접적으로 중국이 핵 공격받을때, 핵으로 반격을 할 수 있는 반격대응 능력(Second Capability)를 큰 타격을 받기에 중국은 한반도의 사드를 반대 한다.<ref>http://www.huffingtonpost.kr/heebum-hong/story_b_10966562.html</ref> 사드 배치 문제를 둘러싼 한·중간 마찰이 점점 심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외교부는 "소국(小國)이 대국(大國)에 대항해서 되겠냐, 너희 정부가 사드 배치를 하면 단교 수준으로 엄청난 고통을 주겠다"고 중국의 입장을 표명했다.<ref name="="KBS170116""/><ref name="한겨레170115"/> 중국의 핵심 이익 침해에 대해서 강력히 대응 하겠다는것이며, 중국 외교부의 공식적인 입장이고, 한국 정부가 사드 배치를 하면 엄청난 무역- 경제적 보복을 주겠다는 것이다.<ref name="="KBS170116""/><ref>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1&mcate=M1007&nNewsNumb=20170122747&nidx=22748</ref> 실제로 중국의 경제 보복으로 인해 한국의 중소기업 및 소상인 매출에 타격이 크다는 것이 사실로 확인되고 있고, 중국 외교부의 경고가 더욱 더 현실화 되어가고 있다. 한국과 중국간의 갈등으로 인한 무역 쇠퇴 뿐만 아니라 중국의 북한 제재 협조 거부 가능성도 제기되었고 이러한 이유로 오히려 안보가 불안해질 수도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ref>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441100003&ctcd=C01</ref><ref>http://www.huffingtonpost.kr/2017/01/06/story_n_13989238.html</ref><ref>http://www.huffingtonpost.kr/2017/01/06/story_n_13989238.html</ref>
 
==== 중국의 경제보복 ====
 
중국의 사드로 인한 자국 안보 침해에 대한 보복 및 중국인들의 자발적인 한국 제품 구입 거부운동 으로 중국에서 현대-기아 자동차의 매출이
반토막되, 중국내 주요 생산 공장역시 문을 닫아서, 경제가 수출의존도 90% 이상인 한국에서, 국내 수출 2위의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 산업의
중국 시장에서 사활이 사드로 인해서 걱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며, 중국의 자국 안보라는 핵심 이익 침해는, 사드 시스템 해결 없이, 무역-경제 보복이 해결될 가능성이 희박함에
문제의 심각성이 더해 지고 있다. 현대 기아 자동차의 중국 시장 매출은 전세계 매출의 약 23% 정도의 1/4 정도의 축을 이루고 있기에, 만약 현대 기아의 중국시장에서의 타격은 곧 현대-기아 자동차의
생존 위기로까지 이어 질수 있는 우려를 받는다.<ref>http://www.hani.co.kr/arti/economy/car/789290.html</ref><ref>http://www.rfa.org/korean/weekly.../co-sh-10212016124147.html</ref>
 
2017년 2월 27일 롯데그룹이 자사 골프장을 사드 배치 부지로 제공하기로 하자 중국은 28일,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해 한국을 징벌할 수밖에 없고, 한국은 이번 처벌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상상도 하지 말라"고 하며 강경하게 한국 정부를 비난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3&aid=0007798277&date=20170228&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7</ref> 3월 1일 중국은 사드가 배치될 경북 성주군 초전면 성주골프장이 중국군의 타격목표가 될 것이라고 하며, 한국을 위협했다.
<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074733&date=20170301&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4</ref> 중국은 주요 당사자인 미국정부에는 아무 말도 못하면서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한국 정부에만 노골적인 협박을 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074800&date=20170301&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21</ref> 3월 2일 중국군의 [[뤄위안]](羅援)장군은 한국에 대하여 "외과수술식 타격"을 주장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45984&iid=49411353&oid=001&aid=0009076531&ptype=052</ref> 하루 매출 40억 원에 달하는 롯데면세점 인터넷쇼핑이 3월 2일 해킹공격으로 마비되어 중국의 사드 보복 해킹 공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ref>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072527&plink=ORI&cooper=NAVER</ref> 3월 3일 중국 정부는 한국 관광을 전면 금지시켰고 이미 계약된 관광상품은 이달 중순까지 모두 소진하도록 지시했다.<ref name="joongboo.com">http://www.joongbo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148399</ref> 중국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하여 [[반한]] 메시지를 무차별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06/0200000000AKR20170306081900097.HTML?input=1195m</ref> 중국에서 과격한 사드 배치 반대 시위가 이어지고 있고 중국의 한 쇼핑센터에서 시위대가 중장비를 동원하여 롯데그룹 계열사의 소주상품인 ‘처음처럼’을 쌓아두고 중장비로 뭉개버리는 퍼포먼스를 보였다.<ref>http://www.ekn.kr/news/article.html?no=272045</ref> 중국에서는 유명 여행사이트에서 롯데호텔 예약 서비스가 중단되고, 롯데마트에 상품 납품을 중단한 업체가 늘고 있다.<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440051&ref=A</ref> 중국은 3월부터 "한국 게임을 수입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현재 중국 정부의 심사를 받고 있는 넷마블과 엔씨소프트는 "공식적으로는 심사거절을 통보받지 않았다"며 중국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421&aid=0002595125&date=20170306&type=1&rankingSeq=1&rankingSectionId=105</ref> 3월 8일 기준으로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롯데마트 중국 내 지점 수는 모두 55곳으로 전체 점포 99개의 절반이 넘게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08/0200000000AKR20170308177600074.HTML?input=1195m</ref> 롯데그룹 홈페이지가 해킹당하고 롯데면세점 인터넷 쇼핑 사이트가 [[디도스]] 공격으로 마비되는 피해를 입기도 했다.<ref>http://news.donga.com/3/all/20170306/83181553/2</ref> 중국은 사드 보복 조치로 중국의 초등학생들이 학교 강당에서 '롯데 불매'를 [[선서]]하도록 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099803&date=20170311&type=1&rankingSectionId=104&rankingSeq=1&m_view=1</ref><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56&aid=0010429564&date=20170312&type=2&rankingSectionId=104&rankingSeq=4</ref>
 
4월달에 들어 자동차 수출액이 12% 감소했으며, 전문가들은 이를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의 보복으로 중국 시장에서의 부진이 주 원인이라고 꼽았다.<ref>http://www.ytn.co.kr/_ln/0102_201705021728589888</ref> 또한 중견기업의 30.1%는 사드 배치 이후 대중국 수출에 있어서 피해액이 평균 약 87억 원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중견기업의 수출액이 전년도에 비해 감소할 것이라는 의견도 또한 존재한다. 현대경제연구원에서는 사드보복 피해액 예상치를 한국이 약 8조, 중국이 약 1조로 한국이 더 높은 피해를 볼 것이라고 예상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02/0200000000AKR20170502160700002.HTML?input=1195m</ref>
 
==== 중국군의 북한 주둔 가능성 ====
환구망, 써우후(搜狐)군사 등 중국 인터넷매체에 "한국과 미국의 사드 배치가 중국이 북한에 군대를 주둔시켜야 할 새로운 이유를 제공하고 있다"며 "중국은 이 얻기 어려운 기회를 놓치지 않아야 한다."고 하면서 "중국 [[인민해방군]] 병력을 북한 [[황해도]] 부근에 주둔시키자"는 주장을 제기하면서 중국 군사 전문가들은 "중국군의 북한 주둔이 한국전쟁 정전 협정 이후 1961년 북한과 중국 간에 체결된 군사동맹 조약인 '[[중조 우호 협력 상호 원조 조약|북중 우호협력조약]]'에 따라 법적 근거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06/0200000000AKR20170306071100089.HTML?input=1195m]</ref>
 
=== 한미상호방위조약은 미국의 식민지 조약 ===
[[한미상호방위조약]] 중 4조 항목인, 미국이 필요한 군사력을 한국에 배치하는 것을 미국의 '권리'로 규정하며, 미국은 이 권리를 '수용'하고 한국은 '양허'하도록 되어 있는것에 따라서, 사드 배치 약정서가 작성되었다. 즉 미국이 필요한 군사력이라고 규정하면, 이것에 대해서 한국에서는 양허를 해야 하는 일방적인 형태임으로 사실상 한국은 미국의 군사적 식민지이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28/0200000000AKR20170428128851014.HTML</ref><ref><ref name="X1"/> [[한미상호방위조약]] 때문에 남과 북이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28/0200000000AKR20170428128851014.HTML</ref><ref><ref name="X1"/>
 
==== 미국 대통령의 사드 배치 비용 전가 ====
사드 한 개 포대의 구성 비용은 약 1조 5000억에서 2조이며 요격 미사일 한 발의 가격은 약 110억 원이다.<ref name="chosunpub">{{웹 인용|제목=사드(THAAD)...종말 단계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설명서|url=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1&mcate=M1005&nNewsNumb=20160821283&nidx=21284|웹사이트=조선Pub|확인날짜=2017-02-02}}</ref> 사드 배치 비용과 사드 운영 비용은 모두 미국이 전액 부담하는 것으로 이미 합의되었지만<ref name="jbnews.com"/><ref name="hankyung.com"/> "누구도 상대방을 보호해주는 데 비용까지 내가 지불하는 그렇게 하진 않을 거다."라고 말하는 [[도널드 트럼프]]가 집권한 미국이 "기존 합의를 번복하고 사드 비용을 한국에 부담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가 있다.<ref name="huffingtonpost.kr">http://www.huffingtonpost.kr/2017/04/28/-_n_16304302.html</ref>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따른 사드 배치 약정서<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28/0200000000AKR20170428128851014.HTML</ref> 에는 사드 배치 비용과 사드 운영 비용은 모두 미국이 전액 부담하는 것으로 이미 상호 합의하에 작성 되었지만, 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한국이 사드 배치 비용으로 약 1조 원을 부담해야 한다고 요청하였으며, 한국에서 비용 부담을 안하겠다는 반대 여론에도 비용을 내야 한다는것을 재확인하였다.<ref><ref name="X1"/><ref>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792829.html</ref>
 
장기간 미국 국방부에서 미사일 시스템 자문 역할하고, 현재 MIT 교수인, [[시어도어 포스톨]](Theodore A. Postol) 교수는, 실질적으로는, 미군에서 미국의 동아시아 미사일 방어 체제(MD) 의 일부분인 사드 레이더 장비를 이용하여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반도에 설치하는, 한반도 사드 시스템의 비용을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부담하는 것은 비합리적이고 부당한 요구라며 지적을 하였다.
<ref>http://v.media.daum.net/v/20170429202146495</ref>
 
미국의 [[허버트 맥매스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한반도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의, 트럼프 대통령의 10억달러 비용 청구 논란과 관련해서 2017년 4월 30일 청와대의 사드 비용을 미국에서 청구 하지 않는다는 협정을 지킬것이라는 설명을 정면 반박하면서,
사드 비용 재협상 가능성을 거론하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적극 옹호하였다. 또한 맥매스터 보좌관은 “내가 가장 하기 싫어하는 것이 미국 대통령의 발언을 반박하는 것”이라며 청와대를 비판하였다. 또한
사실 내가 한국의 카운터파트에 말한 것은 어떤 재협상이 있기 전까지만 그 기존 사드 협정은 유지되며, (그때까지) 우리 말을 지킬 것이라는 거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맥매스터 보좌관은 대통령 후보때부터 "America First" 를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의 기준에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이 말해온 것은, 미국 시민의 안보와 이익을 우선으로 삼겠다는 것이었다”며, 이를 향후에 사드 비용에 대한 재협상 근거로 제시했다.
<ref>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792938.html#csidx64d5d26e71f96f5a16685852c7f66e6</ref>
 
==== 환경영향평가를 받지 않으면 위법 ====
시민단체들은 환경영향평가를 받지 않은 사드 배치는 위법이라고 주장한다. 사드배치의 근거는 한미상호방위조약 제4조로서 미군이 필요한 군사력을 한국에 배치하는 것은 미국의 '권리"이며, 이것에 대해서 한국은 "양허"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지켜야 할 것은 국내법에 따라서 환경영향평가를 받은 후에 설치 및 전개가 가능하다. 이것은, 2001년 개정된 한미행정협정(SOFA) 합의 의사록 제3조 제2항 '한국의 환경 법령 및 기준을 존중한다'라는 규정역시도 어긴 것이다. 국내 현행법과 미군과의 협정 두가지를 어긴 것으로, 조속히 환경부는 환경영향평가법 제 47조에 따라 사드 공사 "중지 명령권"을 발동 해야한다는 주장이 있다.<ref>http://news.jtbc.joins.com/html/606/NB11461606.html</ref><ref>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57024</ref><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26/0200000000AKR20170426035100014.HTM</ref>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요구대로 사드배치로 인해 새로운 세금 지출이 발생한다면 국회동의는 당연한 과정 이다. 하지만 [[김관진 (1949년)|김관진]] 외교안보실장의 주장대로 새로운 지출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두 가지 측면에서 국회동의 없는 사드배치는 위법이라는 주장이 있다. 우선 헌법 60조 제1항은 국회의 동의가 필요한 조약을 7가지 유형으로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고, 그중 하나가 한반도의 안전에 관한 부분 이다. 사드의 한반도 도입은 한미일 북중러의 신냉전으로의 변화를 가져와 한반도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국회비준이 필요한 사안이라는 주장이 있다.<ref name="presstv.ir"/><ref name="smh.com.au"/><ref name="telegraph.co.uk"/><ref name="globalresearch.ca"/> 두 번째로, 사드배치는 한미상호방위조약의 범위를 넘어서는 사안으로, 국회동의가 필요 하다. 한국의 군사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미국의 전문가들조차도 사드는 한반도 방어 목적을 넘어 중국 견제용이고 미국의 미사일 방어체계(MD)의 확장으로 보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ref>m.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694047.html#cb - http://m.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694047.html#cb</ref><ref>http://www.peoplepower21.org/Peace/1436231</ref>
 
== 여론 조사 ==
* 2017년 1월 19일 - ('''찬성51% 반대40%''') - 한국갤럽이 전국의 성인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51%, 반대한다는 응답이 40%였다. 의견 유보는 9%였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21/2017012100166.html</ref>
 
* 2017년 2월 4일 - ('''찬성52% 반대38%''') - 한겨레 의뢰로 리서치플러스가 실행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사드 배치 결정과 관련해‘잘못한 일이므로 차기 정부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응답은 37.5%였고 계속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51.9%였다.<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81414.html#csidx6d38dbfd7da8ebc8dc9bf9db32de206</ref>
 
* 2017년 2월 25일 - ('''찬성47% 반대36%''') -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사드 배치에 대해서 응답자의 46.9%가 찬성 의견을 냈다. 반대는 35.6%였으며 모르겠다는 응답은 17.5%였다.<ref>http://www.hankookilbo.com/v/2c6497be8dc64aba9c3440073537ef0e</ref>
 
* 2017년 3월 6일 - ('''찬성56% 반대33%''') - 칸타퍼블릭 조사에서는 찬성(55.8%)이 반대(32.8%)에 비해 23.0%포인트 높았고, '모름·무응답'은 11.5%였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06/2017030600276.html</ref>
 
* 2017년 3월 12일 - ('''찬성52% 반대35%''') - 코리아리서치가 전국 남녀 유권자 2,046명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 ±2.2%포인트)에 따르면 사드 배치 찬성은 51.8%, 반대는 34.7%로 조사됐다.<ref>http://m.news.naver.com/read.nhn?oid=001&aid=0009101925&sid1=100&mode=LSD</ref>
 
* 2017년 3월 19일 - ('''찬성51% 반대38%''') - 아산정책연구원 의뢰로 리서치앤리서치에서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를 대상으로 휴대•유선전화 RDD 전화인터뷰(CATI)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사드 배치 찬성이 50.6%이었고 반대는 37.9%이었다.<ref name="asaninst.org">http://www.asaninst.org/contents/%ED%95%9C%EB%B0%98%EB%8F%84-%EC%82%AC%EB%93%9Cthaad-%EB%B0%B0%EC%B9%98%EC%99%80-%EA%B8%89%EB%B3%80%ED%95%98%EB%8A%94-%ED%95%9C%EA%B5%AD%EC%9D%B8%EC%9D%98-%EC%A3%BC%EB%B3%80%EA%B5%AD-%EC%9D%B8/</ref>
 
* 2017년 4월 4일 - ('''찬성58% 반대42%''') - 문화일보와 서울대 폴랩(Pollab)의 조사의뢰로 리얼미터가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9명을 대상으로 100% 무선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 사드 배치에 대해서 ‘한반도 배치를 계속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전체 응답자의 57.8%로 반대의 42.2%를 15.6%포인트 앞질렀다.<ref>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7040401070409043001</ref>
 
* 2017년 5월 1일 - ('''찬성46% 반대37%''') - 한국지방신문협회 8개사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2017년 4월 30일부터 5월 1일까지 2일간 전국 3,077명 만 19세 이상 남녀 유권자를 대상으로 무선(75%)·유선(25%) 전화 RDD 방식 여론조사에 응한 전체 응답자 중 절반에 가까운 45.5%가 사드 배치 찬성입장을 보인 반면 36.7%는 사드 배치를 반대했다.<ref>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493650800603311004</ref><ref>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1127033</ref>
 
* 2017년 6월 15일 - ('''찬성53% 반대32%''') - 한국갤럽이 전국 성인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 따르면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찬성 또는 반대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찬성이 53%로 반대 32%를 크게 앞섰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18&aid=0003851969</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341344</ref><ref>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9&aid=0003962140 </ref>
 
* 2017년 7월 7일 - ('''찬성57% 반대27%''') - 한국갤럽이 전국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포인트)에 따르면 사드 배치에 찬성하는 비율은 57%, 반대는 27%로 각각 집계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선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도 찬성이 50%, 반대가 37%로 찬성이 반대를 처음으로 역전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3&aid=0003295488</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9391084</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2&aid=0003189768</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1&aid=0002320082</ref><ref>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6&aid=0001261234 </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3&aid=0003295294</ref>
 
* 2017년 8월 3일 - ('''찬성72% 반대14%''') - 한국갤럽이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로 추출하여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사드 배치 여론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민 72%가 사드 배치에 찬성했고 반대는 14%였으며 나머지 14%는 의견을 유보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8&aid=0003890566</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8&aid=0003914958</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79&aid=0002997041</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3&aid=0003302719</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6&aid=0001273438</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2&aid=0002808159</ref><ref>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323334</ref>
 
* 2017년 8월 15일 - ('''찬성62% 반대28%''') - 중앙일보가 전국 남녀 1000명에게 임의전화걸기 방식으로 전화면접 조사를 한 결과 사드 체계 배치에 대해서 62%가 찬성 의견을 밝혔다. 반대는 28%로 찬성 의견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중에선 찬성이 53.7%, 반대가 36.3%였고, 문재인 대통령을 뽑았다고 답한 사람 중에선 찬성이 54.3%, 반대가 35%였다.<ref>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25&aid=0002745722&date=20170817&type=0&rankingSectionId=100&rankingSeq=20 </ref>
 
* 2017년 9월 9일 - ('''찬성80% 반대15%''') -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14명을 대상으로 9월 8일~9일 이틀에 걸쳐 유무선 RDD(무선 80.2%, 유선 19.8%)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사드 배치에 대해 찬성은 79.7%, 반대는 15.2%로 나타났다.<ref>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8&aid=0003919601 </ref>
 
== 연표 ==
* 2013년 6월 -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골드만 삭스]]에서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중국이 북핵을 막지 않으면 [[미사일 방어망]]으로 포위할 것이라고 말했다.<ref>힐러리 "중국 북핵 막지 않으면 미사일방어망 포위할 것", 뉴시스, 2016-10-14</ref> 클린턴 국무장관은 중국이 북한을 앞세워 밖으로 나오려는 팽창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고 보고 한국과 일본에서 시작해 대만과 필리핀, 베트남, 인도와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몽골에 이르는 포위망을 구축하고 올가미를 잡아당기는 ‘중국포위전략’을 주도했다.<ref>힐러리 ‘북핵 억지 못하면 중국 포위할 것’, 라디오코리아, 2016-10-15</ref>
* 2013년 10월 14일 - 국방부는 [[유승민 (정치인)|유승민]] 국회 국방위원장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사드 배치를 고려중이라고 밝혔다. 종말 요격 시스템을 4단계로 구축하여, 고도 10 ~ 150&nbsp;km 미제 사드<ref name="news.naver.com"/>, 10 ~ 60&nbsp;km 러시아제 [[L-SAM]], 10 ~ 40&nbsp;km 러시아제 [[천궁]], 10 ~ 30&nbsp;km 미제 [[패트리어트]]로 북한 핵미사일을 방어할 계획이다.<ref>軍, 150km 중고도 방어체계 도입 검토…美 MD 전초?, 뉴시스, 2013-10-15</ref>
* 2014년 9월 30일 - [[로버트 워크]] 미 국방부 부장관은 [[미국외교협회]] 주최 간담회에서 "사드 포대를 한국에 배치하는 것을 조심스럽게 고려하고 있고, 한국 정부와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 2014년 11월 3일 - 생방송으로 전국에 중계된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유승민 의원은 사드의 조기 도입을 주장했다. [[한민구]] 국방장관은 계획이 없다고 답변했다.<ref>한민구 국방 "사드 도입계획 검토한 바 없다", 이데일리, 2014-11-03</ref> 이날 전국 생방송으로 유승민 의원이 사드 도입을 강력하게 주장하여, 한국 사드 도입 논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 2014년 11월 27일 -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러시아판 사드 [[S-400]] 1포대를 30억 달러(약 3조3천억원)에 수입하기로 계약 체결했다.<ref name="연합141127"/><ref name="TV조선170112"/><ref name="헤럴드160217"/> 비로소 동북아 지역 미사일 방어체계 경쟁을 중국이 먼저 촉발시킨 것이다.<ref name="연합141127"/><ref name="TV조선170112"/><ref name="헤럴드160217"/> 러시아제 사드 [[S-400]]는 항공기와 탄도미사일은 물론, 스텔스 전투기까지 요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중국은 2017년에 러시아제 사드를 실전 배치할 계획이다.<ref name="연합141127"/><ref name="TV조선170112"/><ref name="헤럴드160217"/>
* 2015년 2월 2일 - 비박계 유승민 의원이 새누리당 신임 원내대표로 선출되었다.
* 2015년 3월 5일 - [[마크 리퍼트]] 대사가 괴한의 공격을 당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한미 동맹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고 말했다. 이후 한미동맹과 사드를 반대하는 좌파의 영향력이 크게 줄어들고, 국회에서 거의 혼자 사드 조기도입을 주장하던 국방위원장 출신 유승민 여당 원내대표의 사드 공론화가 급진전되었다.
* 2015년 5월 - 한국이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콜추가 패시브 레이다]]와 [[레이저포]] 설계도를 입수했다. 러시아군이 오발로 자국에 핵미사일이 잘못 발사될 경우 요격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미국은 [[레이저포]] 개발이 완료될 때 까지의 전력공백기에만 사드를 사용할 계획이다.
* 2015년 7월 8일 - 박근혜 대통령이 “배신의 정치를 심판해달라”며 촉발시킨 국회법 개정안 파문으로,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이 의원총회 결과를 수용하는 형식으로 원내대표직에서 사퇴했다.
* 2016년 1월 6일 - [[북한 4차 핵실험]]. 최초의 수소폭탄 핵실험이 성공했다고 북한 언론이 크게 보도했다.
* 2016년 2월 5일 - [[시진핑]] 주석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사드 배치의 위험성을 강조하며 배치 반대를 설득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사드는 북한을 겨냥한 것이지 중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고 사드 배치를 정당화했다.
* 2016년 2월 7일 - 북한이 [[광명성 4호]]를 발사했다.
* 2016년 2월 12일 - [[왕이]] 외교부장은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사드가 중국의 안전과 국익을 해친다고 미국을 비난했다.
* 2016년 6월 29일 - [[시진핑]] 주석은 베이징에서 열린 황교안 국무총리와 회담에서 "한국은 안보에 대한 중국의 정당한 우려를 중시해야 하며, 사드를 한국에 배치하려는 미국의 시도에 대해 신중하고 적절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6/30/2016063000273.html</ref>
* 2016년 7월 8일 - [[류제승]] 국방부 국방정책실장과 [[토머스 밴달]] 주한미군사령부 참모장이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실에서 사드 1개 포대의 한반도 배치를 공식 발표했다.<ref>사드 한반도 배치 공식 발표… 지역 이르면 7월 확정, 문화일보, 2016-07-08</ref>
* 2016년 7월 13일 - 류제승 정책실장은 국방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주]] 지역에 사드 배치를 건의했으며 한미 국방부 장관이 승인했다고 밝혔다.<ref>[속보] 국방부, 사드 경북 성주 배치 공식 발표, 조선일보, 2016-07-13</ref>
* 2016년 8월 9일 - 박근혜 대통령은 야당의 사드 반대에 대해, 대안 없이 비판과 갈등으로 국민을 반목시키는 것은 결국 국가와 국민을 위기로 내모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 2016년 8월 18일 - 미국이 한국 국방관계자와 언론에 최초로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에 배치된 사드 기지를 공개하였고 괌 사드기지의 레이더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는 한국방송통신위원회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치인 10W/m<sup>2</sup>의 0.007% 수준이었고 사드 레이더의 전자파는 인체에 휴대전화만큼의 영향도 주지 못한다는 것이 밝혀졌다.<ref name="조선160804"/>
* 2016년 9월 9일 - [[북한 5차 핵실험]]. 사상 최대 규모였다. 모든 운반수단에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 2016년 9월 21일 -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한민구]] 국방장관은 "사드 1개 포대로는 남한 전역을 방어하기 어렵다"면서 2개 포대를 한국이 직접 구매할 것을 시사했다.
* 2016년 11월 18일 - [[롯데그룹]]의 성주골프장이 사드 부지로 선정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 정부가 현지에 진출한 롯데 계열사의 전 사업장에 대해 세무조사와 소방 ·위생점검, 안전점검에 일제히 나섰다.<ref>中, 롯데에 고강도 세무·소방안전 조사…"사드 보복·표적수사 가능성", 아시아경제, 2016-12-01</ref>
* 2016년 12월 16일 - 중국 해군 랴오닝호 [[항공모함]]과 수십척의 함대가 서해에서 사상 최초 실탄 사격훈련을 했고 사드에 반대하며 한국에 무력시위를 했고 한국 해군사관학교 졸업생 기항을 거부했다.
* 2017년 1월 4일 - 사드 배치 문제를 둘러싼 한·중간 마찰이 점점 심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외교부는 "소국(小國)이 대국(大國)에 대항해서 되겠냐, 너희 정부가 사드 배치를 하면 단교 수준으로 엄청난 고통을 주겠다"고 중국의 입장을 표명했다.<ref name="="KBS170116""/><ref name="한겨레170115"/>
* 2017년 2월 28일 - 중국은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해 한국을 징벌할 수밖에 없고, 한국은 이번 처벌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상상도 하지 말라"고 하며 강경하게 한국 정부를 비난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3&aid=0007798277&date=20170228&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7</ref>
* 2017년 3월 1일 - 중국은 사드가 배치될 경북 성주군 초전면 성주골프장이 중국군의 타격목표가 될 것이라고 하며 한국을 위협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074733&date=20170301&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4</ref>
* 2017년 3월 2일 - 중국군의 [[뤄위안]](羅援) 장군은 한국에 대하여 "외과수술식 타격"을 주장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45984&iid=49411353&oid=001&aid=0009076531&ptype=052</ref>
* 2017년 3월 3일 -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중국의 사드 관련 보복조치가 도를 넘고있고 중국 진출 한국 기업에 대한 무차별 디도스 공격과 불매운동, 수입불허가 조처되고 한국 영토에 대한 군사적인 공격을 거론해 심각히 우려된다"고 말했다.<ref>http://m.news.naver.com/memoRankingRead.nhn?oid=277&aid=0003944570&sid1=100&date=20170303&ntype=MEMORANKING</ref>
* 2017년 3월 3일 - 중국 정부는 한국 관광을 전면 금지시켰고 이미 계약된 관광상품은 이달 중순까지 모두 소진하도록 지시했다.<ref name="joongboo.com"/>
* 2017년 3월 4일 - 중국 정부는 한반도 상륙작전을 위한 해병사단을 실전배치했다.<ref>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7869467</ref>
* 2017년 3월 7일 - 한미 양국 군 당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주한미군 배치작업을 시작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087473&date=20170307&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1</ref> 대한민국과 미국은 한반도에 사드체계를 배치한다는 한미동맹의 결정을 이행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그 결과 사드체계의 일부가 한국에 도착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52&aid=0000983467&date=20170307&type=2&rankingSectionId=100&rankingSeq=1</ref>
* 2017년 3월 8일 -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롯데마트]] 중국 내 지점 수는 모두 55곳으로 전체 점포 99개의 절반이 넘게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08/0200000000AKR20170308177600074.HTML?input=1195m</ref>
* 2017년 3월 15일 - 중국 정부는 한국을 여행금지국가로 지정했고 중국인들의 한국행 단체여행을 전면 금지시켰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15/0200000000AKR20170315054900008.HTML?input=1195m</ref>
* 2017년 3월 15일 - 한반도 사드 배치 문제에 대하여 [[리커창]] 중국 총리는 "중국은 사드 문제로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현실화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서 상호 이해를 늘려나가야 한다고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11&aid=0002993445&date=20170316&type=0&rankingSectionId=104&rankingSeq=2</ref>
* 2017년 3월 20일 - 한국의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세계무역기구(WTO)에 사드 보복 관련 관광·유통 분야의 중국 조치에 대해 WTO협정 위배를 정식으로 제기했다.<ref name="m.news.naver.com"/>
* 2017년 3월 23일 - 미국 의회가 한국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사드 경제보복조치를 규탄하는 초당적 결의안을 공식으로 발의했다.<ref>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9132356</ref>
* 2017년 4월 8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중 정상회담과 관련, "북핵·북한 문제의 심각성 및 대응방향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가졌고 사드 배치 관련 문제에 대한 미국측 입장을 중국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172682&date=20170408&type=1&rankingSeq=1&rankingSectionId=100</ref>
* 2017년 4월 8일 - 미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한반도역사에 대해 한국은 사실 중국의 일부라고 말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448&aid=0000207630&date=20170419&type=2&rankingSectionId=104&rankingSeq=23</ref><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201612&date=20170419&type=1&rankingSectionId=104&rankingSeq=1</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32&aid=0002781564</ref>
* 2017년 4월 11일 - 심재철 국회 부의장은 [[우다웨이]] 외교부 특별대표와의 회담에서 중국이 [[네이멍구]](內蒙古)와 [[헤이룽장 성]]에 각각 탐지거리 3천km, 5천500km 레이더를 둔 점을 거론하며 "중국은 한반도를 손바닥처럼 들여다보면서 왜 우리는 방어용도 배치 못 하느냐"고 지적했다.<ref name="연합170411"/>
* 2017년 4월 26일 - 주한미군이 전격적으로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장비를 배치함에 따라 발사대와 사격통제레이더 등이 곧 시험가동에 들어간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45984&iid=49376003&oid=001&aid=0009218375&ptype=052</ref>
* 2017년 4월 27일 - 국방부 한미 안보 책임자는 사드가 실제 운용 단계이며 북한이 도발시 징벌적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ref>http://www.ytn.co.kr/_ln/0101_201704272157108826</ref><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222759&date=20170427&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4</ref> 주한미군은 사드체계를 하루 만에 작전배치를 끝냈고 사실상 실전 운용상태로 유지키로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222795&date=20170427&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16</ref>
* 2017년 4월 28일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사드 무기체계에 대해서 말하자면, 그건 10억 달러짜리다. 왜 우리가 10억 달러를 내나? 우리가 한국을 보호해주지 않는가. 그래서 나는 한국에게 그들이 돈을 내는 게 적절할 것이라고 알렸다. 누구도 상대방을 보호해주는 데 비용까지 내가 지불하는 그렇게 하진 않을 거다. 사드는 10억 달러 짜리 무기체계다. 그리고 사드는 한국을 보호하며 나도 한국을 보호하고 싶다. 우린 한국을 보호할 것이다."고 말했다.<ref name="huffingtonpost.kr"/>
* 2017년 4월 30일 - [[김관진 (1949년)|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은 [[허버트 맥마스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전화 협의를 갖고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비용은 미국이 부담한다는 기존 합의 내용을 재확인했다. 맥마스터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사드 배치 비용 언급에 대해 "동맹국들의 비용 분담에 대한 미국 국민들의 [http://krdic.naver.com/small_search.nhn?query=%EC%97%AC%EB%A7%9D 여망] 을 염두에 두고 일반적 맥락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ref name="데일리170430"/><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27/0200000000AKR20170427071151001.HTML?input=1195m</ref><ref>http://news1.kr/articles/?2982193</ref>
* 2017년 4월 30일 -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촉발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비용부담 논란과 관련하여, 맥마스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방위비 분담금과 마찬가지로, 향후 사드 비용도 재협상하겠다는 뜻을 밝혔다.<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473248</ref><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043095361</ref><ref>http://www.huffingtonpost.kr/2017/04/30/story_n_16350574.html</ref>
* 2017년 6월 1일 - 미국 상원에서 국방 예산을 담당하는 [[민주당 (미국)|미국 민주당]] 상원 원내총무 [[딕 더빈]]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한국이) 사드 배치를 원치 않으면 (미국정부가) 사드 배치 관련 예산을 다른 곳에 쓸 수 있다"고 했다.<ref name="연합170601"/><ref name="뉴시스170601"/>
* 2017년 6월 9일 - [[문재인]] 정부 [[국가안보실장]] [[정의용]]은 [[청와대]]에서 “사드는 [[북한]]의 점증하는 위협으로부터 [[한국]]과 [[주한미군]]을 보호하기 위해 결정한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ref name="서울경제170609"/><ref name="뉴시스180819"/><ref name="세계일보170612"/>
* 2017년 6월 20일 -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CBS]], [[워싱턴포스트]] 인터뷰를 가졌고 “[[사드]] 배치 결정은 우리 [[한국]]과 [[주한미군]]의 안전을 위해서 한·미동맹에 근거해 한국과 미국이 합의해서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ref name="한겨레170621"/><ref name="세계일보170621"/>
* 2017년 6월 29일 - [[문재인]] [[대통령]]은 [[워싱턴D.C.]] [[미국 의회]] [[폴 라이언]] [[하원]]의장 등 [[하원]] 지도부와 가진 간담회에서 “사드는 한미동맹에 기초한 합의이고 한국 국민과 주한미군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ref name="연합170630"/><ref name="조선170630"/>
* 2017년 8월 12일 - 국방부와 환경부는 성주기지의 사드 사격통제 레이더(TPY-2TM)에 대해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한 결과, 측정된 전자파의 최대치라도 인체허용 기준치의 0.46%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사드에서 배출하는 전자파가 인체허용 기준치의 200분의 1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f name="뉴스1170812"/>
 
== 각주 ==
{{각주|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