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75.209.64.115(토론)의 24457377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새 넘겨주기 편집 취소 일반 문서의 넘겨주기화 m 모바일 웹
잔글 5.181.233.178 (토론)의 1개의 편집을 175.209.64.115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TW)
태그: 넘겨주기 제거 편집 취소
1번째 줄:
{{좌표|37.6278522|-122.426103|display=title}}
#넘겨주기 [[수영장]]
{{웹사이트 정보
| 이름 = 유튜브
| 패비콘 =
| 로고 = YouTube Logo 2017.svg
| 로고 크기 = 200px
| 로고 설명 =
| 그림 =
| 그림 크기 =
| 그림 설명 =
| 표어 = Broadcast Yourself
| 영리적 =
| 종류 =
| 라이선스 =
| 회원 가입 = 선택 (동영상 올릴시, 댓글 쓸 때 회원가입)
| 시작일 = [[2005년]] [[2월 14일]]
| 종료일 =
| 언어 = 54개 언어 (한국어 포함)
| 소유자 = 독립적 (2005년 ~ 2006년 10월)<br />[[구글]] (2006년 10월 ~ 현재)
| 창립자 = [[채드 헐리]], [[스티브 천]], [[자베드 카림]]
| CEO = 수잔 워즈츠키
| 현재 상태 = 진행 중
| 수입 =
| 주소 = https://www.youtube.com
}}
'''유튜브'''({{llang|en|YouTube}})는 전 세계 최대 무료 [[동영상]] 공유 사이트로,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 [[업로드]] · 공유할 수 있다.
 
== 역사 ==
[[2005년]] [[2월]]에 [[페이팔]] 직원이었던 [[채드 헐리]], [[스티브 천]], [[자베드 카림]](퇴사)이 공동으로 창립했으며, 2005년 4월 23일에 [https://www.youtube.com/watch?v=jNQXAC9IVRw 최초 영상]이 업로드 되면서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했고 [[2006년 10월]] 16억 5천만 달러의 가격으로 [[구글]]에 인수되었다.<ref name="go">{{웹 인용|제목=구글, 유튜브 16억5천만달러에 인수|url=http://m.hani.co.kr/arti/international/globaleconomy/163105.html?_fr=gg|웹사이트=[[한겨레]]|날짜=2006-10-10|확인날짜=2018-04-29|보존url=https://archive.today/20180429032258/http://m.hani.co.kr/arti/international/globaleconomy/163105.html?_fr=gg|보존날짜=2018-04-29|깨진링크=아니오}}</ref> 유튜브의 [[콘텐츠 (미디어)|콘텐츠]]는 [[UCC|개인이 제작한 비디오 영상]]을 비롯한 [[영화]]와 텔레비전 클립, [[뮤직 비디오|뮤직비디오]] 등이 올라온다.
 
[[구글]]은 [[2006년]] [[10월 9일]] 주식 교환을 통해 16억 5천만 달러에 유튜브를 인수하기로 발표했다.<ref name="go"/> 이후 [[2007년]] [[6월 20일]] [[프랑스]] [[파리 시|파리]]에서 열린 ‘구글 프레스데이 2007’ 행사에서 국가별 [[현지화]]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하고,<ref>{{웹 인용|제목=유투브, 국가별 현지화 서비스 개시|url=http://m.mt.co.kr/renew/view.html?no=2007062010315709660&ca=|웹사이트=[[머니투데이]]|날짜=2007-06-20|확인날짜=2018-04-29|보존url=https://archive.today/20180429035536/http://m.mt.co.kr/renew/view.html?no=2007062010315709660&ca=|보존날짜=2018-04-29|깨진링크=아니오}}</ref> 먼저 [[네덜란드]], [[브라질]], [[프랑스]], [[폴란드]],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 [[스페인]], [[영국]] 등 총 9개 국가에서 사용자를 위한 페이지를 공개했다.
 
[[한국어]] 서비스는 [[2008년]] [[1월 23일]]에 시작했다.<ref>{{웹 인용|제목=세계 최대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 23일 한국 상륙|url=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64845|웹사이트=[[미디어오늘]]|날짜=2008-01-24|확인날짜=2018-04-29|보존url=https://archive.today/20180429041249/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64845|보존날짜=2018-04-29|깨진링크=아니오}}</ref>
 
[[파일:901cherryave.jpg|섬네일|250px|[[샌브루노]]에 있는 유튜브 본사]]
 
구글 인수 4년 차인 2009년 약 4억7천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듬해인 2010년부터 흑자로 돌아섰고, 이용자가 갈수록 더 불어나는 ‘스노우볼 효과’를 내기 시작했다.<ref>[http://www.yonhapmidas.com/article/160304172142_309036 구글 몸값 애플 뛰어넘다]</ref>
 
현재는 구글 자체로 독립해도 대기업을 능가할 정도의 가치가 되기에 유튜브의 몸값 상승은 구글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게 된다.
 
== 기술 사항 ==
=== 영상 포맷 ===
유튜브의 영상 재생 기술은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와 [[H.264/MPEG-4 AVC|H.264]] 영상 [[코덱]]을 기반으로 하나 최근 HTML5 플레이어와 WebM 코덱을 지원한다. 이러한 기술들을 바탕으로, [[웹 브라우저]] 플러그인이나 [[코덱]]을 일일이 내려 받아 설치해야 했던 이전의 영상 재생 기술([[윈도 미디어 플레이어]], [[퀵타임]], [[리얼플레이어]] 등)과 견주어 보아도 꽤 쓸만하고 영상 재생 품질이 그렇게 많이 떨어지지 않는다. 동영상은 [[gnash]] 또는 [[VLC 미디어 플레이어]] 등에서도 재생할 수 있다. 화소 크기는 320x240이며, 1초에 25 프레임으로 재생된다. 최대 데이터 레이트는 초당 300kbit이다.
 
유튜브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영상을 [[플래시 동영상]](.FLV, 어도비 플래시 동영상) 형식으로 변환한다.<ref>[http://www.codinghorror.com/blog/archives/000755.html Coding Horror: Did YouTube Cut the Gordian Knot of Video Codecs?<!-- 봇이 붙인 제목 -->]</ref> 파일로부터 확장자가 제거된다. (확장자는 [[TrID]] 등을 이용하여 다시 볼 수 있다.) 이 파일들은 복잡한 이름을 가진 [[서브도메인]]에 저장된다. 이 때문에 영상을 리핑하기가 쉽지 않다.
 
유튜브는 [[윈도 미디어 비디오]](.WMV), [[오디오 비디오 인터리브]](.AVI), [[MPEG]], [[MPEG-4 파트 14]](.MP4) 포맷들을 업로드할 수 있다.<ref>[https://www.google.com/support/youtube/bin/answer.py?answer=55744&topic=10526 In which formats YouTube officially accepts uploaded videos]</ref>
 
동영상은 창 모드 또는 전체 화면 모드 가운데 하나를 골라서 볼 수 있다.(2015년부터는 영화관 모드도 사용할 수 있다.) 영상을 다시 불러오지 않고도 두 개의 방식을 바꾸어가며 쓸 수 있다.
<div 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유튜브 미디어 인코딩 옵션 비교
! itag 값
! 기본 컨테이너
! 영상 해상도
! 영상 인코딩
! 영상 로파일
! 영상 비트레이트 (Mbit/초)
! 소리 인코딩
! 소리 비트레이트 (kbit/초)
|-
!<!--itag value --> 5
|<!--Default container --> FLV
|<!--Video resolution --> 240p
|<!--Video encoding --> 소렌슨 H.263
|<!--Video profile --> {{n/a}}
|<!--Video bitrate --> 0.25
|<!--Audio encoding --> MP3
|<!--Audio bitrate --> 64
|-
!<!--itag value --> 6
|<!--Default container --> FLV
|<!--Video resolution --> 270p
|<!--Video encoding --> 소렌슨 H.263
|<!--Video profile --> {{n/a}}
|<!--Video bitrate --> 0.8
|<!--Audio encoding --> MP3
|<!--Audio bitrat --> 64
|-
!<!--itag value --> 13
|<!--Default container --> 3GP
|<!--Video resolution --> {{n/a}}
|<!--Video encoding --> MPEG-4 Visual
|<!--Video profile --> {{n/a}}
|<!--Video bitrate --> 0.5
|<!--Audio encoding --> AAC
|<!--Audio bitrate --> {{n/a}}
|-
!<!--itag value --> 17
|<!--Default container --> 3GP
|<!--Video resolution --> 144p
|<!--Video encoding --> MPEG-4 Visual
|<!--Video profile --> 심플
|<!--Video bitrate --> 0.05
|<!--Audio encoding --> AAC
|<!--Audio bitrate --> 24
|-
!<!--itag value --> 18
|<!--Default container --> MP4
|<!--Video resolution --> 270p/360p
|<!--Video encoding --> H.264
|<!--Video profile --> 베이스라인
|<!--Video bitrate --> 0.5
|<!--Audio encoding --> AAC
|<!--Audio bitrate --> 96
|-
!<!--itag value --> 22
|<!--Default container --> MP4
|<!--Video resolution --> 720p
|<!--Video encoding --> H.264
|<!--Video profile --> 하이
|<!--Video bitrate --> 2-2.9
|<!--Audio encoding --> AAC
|<!--Audio bitrate --> 192
|-
!<!--itag value --> 34
|<!--Default container --> FLV
|<!--Video resolution --> 360p
|<!--Video encoding --> H.264
|<!--Video profile --> 메인
|<!--Video bitrate --> 0.5
|<!--Audio encoding --> AAC
|<!--Audio bitrate --> 128
|-
!<!--itag value --> 35
|<!--Default container --> FLV
|<!--Video resolution --> 480p
|<!--Video encoding --> H.264
|<!--Video profile --> 메인
|<!--Video bitrate --> 0.8-1
|<!--Audio encoding --> AAC
|<!--Audio bitrate --> 128
|-
!<!--itag value --> 36
|<!--Default container --> 3GP
|<!--Video resolution --> 240p
|<!--Video encoding --> MPEG-4 Visual
|<!--Video profile --> 심플
|<!--Video bitrate --> 0.17
|<!--Audio encoding --> AAC
|<!--Audio bitrate --> 38
|-
!<!--itag value --> 37
|<!--Default container --> MP4
|<!--Video resolution --> 1080p
|<!--Video encoding --> H.264
|<!--Video profile --> 하이
|<!--Video bitrate --> 3–4.3
|<!--Audio encoding --> AAC
|<!--Audio bitrate --> 192
|-
!<!--itag value --> 38
|<!--Default container --> MP4
|<!--Video resolution --> 3072p
|<!--Video encoding --> H.264
|<!--Video profile --> 하이
|<!--Video bitrate --> 3.5-5
|<!--Audio encoding --> AAC
|<!--Audio bitrate --> 192
|-
!<!--itag value --> 43
|<!--Default container --> WebM
|<!--Video resolution --> 360p
|<!--Video encoding --> VP8
|<!--Video profile --> {{n/a}}
|<!--Video bitrate --> 0.5
|<!--Audio encoding --> Vorbis
|<!--Audio bitrate --> 128
|-
!<!--itag value --> 44
|<!--Default container --> WebM
|<!--Video resolution --> 480p
|<!--Video encoding --> VP8
|<!--Video profile --> {{n/a}}
|<!--Video bitrate --> 1
|<!--Audio encoding --> Vorbis
|<!--Audio bitrate --> 128
|-
!<!--itag value --> 45
|<!--Default container --> WebM
|<!--Video resolution --> 720p
|<!--Video encoding --> VP8
|<!--Video profile --> {{n/a}}
|<!--Video bitrate --> 2
|<!--Audio encoding --> Vorbis
|<!--Audio bitrate --> 192
|-
!<!--itag value --> 46
|<!--Default container --> WebM
|<!--Video resolution --> 1080p
|<!--Video encoding --> VP8
|<!--Video profile --> {{n/a}}
|<!--Video bitrate --> {{n/a}}
|<!--Audio encoding --> Vorbis
|<!--Audio bitrate --> 192
|-
!<!--itag value --> 82
|<!--Default container --> MP4
|<!--Video resolution --> 360p
|<!--Video encoding --> H.264
|<!--Video profile --> 3D
|<!--Video bitrate --> 0.5
|<!--Audio encoding --> AAC
|<!--Audio bitrate --> 96
|-
!<!--itag value --> 83
|<!--Default container --> MP4
|<!--Video resolution --> 240p
|<!--Video encoding --> H.264
|<!--Video profile --> 3D
|<!--Video bitrate --> 0.5
|<!--Audio encoding --> AAC
|<!--Audio bitrate --> 96
|-
!<!--itag value --> 84
|<!--Default container --> MP4
|<!--Video resolution --> 720p
|<!--Video encoding --> H.264
|<!--Video profile --> 3D
|<!--Video bitrate --> 2-2.9
|<!--Audio encoding --> AAC
|<!--Audio bitrate --> 152
|-
!<!--itag value --> 85
|<!--Default container --> MP4
|<!--Video resolution --> 520p
|<!--Video encoding --> H.264
|<!--Video profile --> 3D
|<!--Video bitrate --> 2-2.9
|<!--Audio encoding --> AAC
|<!--Audio bitrate --> 152
|-
!<!--itag value --> 100
|<!--Default container --> WebM
|<!--Video resolution --> 360p
|<!--Video encoding --> VP8
|<!--Video profile --> 3D
|<!--Video bitrate --> {{n/a}}
|<!--Audio encoding --> Vorbis
|<!--Audio bitrate --> 128
|-
!<!--itag value --> 101
|<!--Default container --> WebM
|<!--Video resolution --> 360p
|<!--Video encoding --> VP8
|<!--Video profile --> 3D
|<!--Video bitrate --> {{n/a}}
|<!--Audio encoding --> Vorbis
|<!--Audio bitrate --> 192
|-
!<!--itag value --> 102
|<!--Default container --> WebM
|<!--Video resolution --> 720p
|<!--Video encoding --> VP8
|<!--Video profile --> 3D
|<!--Video bitrate --> {{n/a}}
|<!--Audio encoding --> Vorbis
|<!--Audio bitrate --> 192
|-
!<!--itag value --> 120
|<!--Default container --> FLV
|<!--Video resolution --> 720p
|<!--Video encoding --> AVC
|<!--Video profile --> 메인@L3.1
|<!--Video bitrate --> 2
|<!--Audio encoding --> AAC
|<!--Audio bitrate --> 128
|}
</div>
 
=== 오디오 포맷 ===
유튜브 파일은 MP3 오디오 스트림 하나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초당 65kbit 레이트에 22050&nbsp;Hz, 모노로 인코딩된다. 하지만 맥 오에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상용 [[리바 FLV 인코더]]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리 FLV로 직접 변환해 놓으면, 스테레오 오디오 트랙을 넣을 수 있다.
 
=== HD 영상과 와이드스크린 ===
2008년 12월, 유튜브는 [[720p]] [[고선명 텔레비전|HD]] 해상도 지원을 시작하였으며<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31&aid=0000153453 유튜브, HD 비디오 서비스 시작]</ref> 이때부터 모든 비디오의 [[가로세로비 (영상)|가로세로 비율]]을 4:3에서 16:9로 전환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112&aid=0001967201 유튜브, 와이드스크린 서비스 개시]</ref>따라서 4:3 영상은 화면 좌우에 검은 기둥이 존재하는 것 같은 필러박스(pillarbox) 형식으로 재생되기 시작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cnet.com/8301-1023_3-10107536-93.html|제목=YouTube videos get widescreen treatment|저자=Steven Musil|출판사=CNET News|날짜=2008-11-24}}</ref>2009년 11월 [[1080p|1080P]] [[고선명 비디오|풀HD 해상도]]를 지원하면서 완전한 [[고선명 텔레비전|HD]] 시대가 시작되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3000159 유튜브 풀HDTV로 세계 동영상 즐긴다]</ref>
 
2010년 7월, 유튜브는 최대 4096x3072 화소의 [[4K 해상도|4K]] 포맷의 비디오를 지원한다고 발표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youtube-global.blogspot.com/2010/07/whats-bigger-than-1080p-4k-video-comes.html |제목 = What's bigger than 1080p? 4K video comes to YouTube |publisher =Official YouTube Blog|date= 2010-07-09|accessdate= 2010-07-10}}</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cnet.com/8301-27076_3-20010174-248.html|제목 = YouTube now supports 4K-resolution videos|work=CNET|date= 2010-07-09|accessdate= 2010-07-10|first=Josh|last=Lowensohn}}</ref><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92&aid=0001965637 유튜브, 영화관 해상도 '4K' 지원한다]</ref> 그러나 2012년 2048 x 1536로 하향되었다. 2014년 10월 HD와 풀HD 해상도에 60[[프레임 레이트|프레임]] 재생 설정이 추가되었으며<ref>[https://kbench.com/?q=node/141384 유튜브, 고화질 60프레임 재생 지원.. 모바일은 아직 미지원]</ref>2015년 3월, 유튜브는 [[4K 해상도|4K UHD 해상도]](3,840x2,160) 60[[프레임 레이트|프레임]] 동영상 서비스를 개시했다.<ref>{{뉴스 인용|url=http://it.donga.com/22871/|제목 = 유튜브의 5가지 혁신|publisher=ITdongA}}</ref> 2015년 6월 [[8K 해상도|8K UHD 해상도]](7,680×4,320) 지원까지 확대되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9&aid=0002287842 `구글의 혁신` 유튜브서 8K 초고화질 동영상 서비스]</ref>
 
현재 [[144p]], [[240p]], [[320p]]의 저화질, [[480p]]의 [[디지털 표준 텔레비전|SD]]화질, [[720p]], [[1080p]], [[1440p]] 등의 [[고선명 비디오|HD]] 화질 그리고 [[4K 해상도|2160p]], [[8K 해상도|4320p]] 등의 [[초고선명 텔레비전|UHD]] 화질까지 플레이어 오른쪽 하단의 품질 옵션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 가상현실 동영상 서비스 '유튜브 360' ===
360도 동영상이란 동영상 재생 도중 시점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동영상 서비스다. 시점이 촬영자가 선택한대로 고정되어 있던 기존 동영상과 달리 키보드, 마우스, 가속계 등 입력장치를 활용해 사용자가 자신이 보고 싶은 곳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360도 동영상 보기는 플래시 대신 HTML5의 최신 기능을 대거 활용해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을 구현했다. 때문에 플래시 플레이어를 설치하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지만, 대신 HTML5를 완벽히 지원하지 않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선 감상할 수 없다. 단지 HTML5가 적용되기 이전의 '합성된 일반 동영상'만 보일 뿐이다. 360도 동영상 보기는 최신 버전 크롬, 파이어폭스, 엣지, 유튜브 앱에서만 제대로 감상할 수 있다. 360도 동영상 보기에 이어 구글은 '홈씨어터 모드'를 추가했다. 유튜브 안드로이드 앱(iOS 앱 미지원)에서 설정 > 카드보드 아이콘을 선택하면 동영상을 카드보드에 맞게 최적화해주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극장에서 감상하는 것과 유사한 느낌으로 유튜브의 모든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홈씨어터 모드는 360도 동영상 보기와 달리 얼굴을 돌리면 (극장처럼) 검은 배경만 보인다. 360도 동영상의 형태로 업로드된 영상만이 가상현실을 완벽히 지원하니 착오 없길 바란다.<ref>{{뉴스 인용|url=http://it.donga.com/22871/|제목 = 유튜브의 5가지 혁신|publisher=ITdongA}}</ref>
 
=== 콘텐츠 접근성 ===
==== 유튜브 웹사이트 ====
이용자는 다양한 여러 파일 포맷으로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다. ([[MPEG]], [[AVI]] 등) 유튜브는 이것을 [[H.263]]의 변종인 [[FLV]]로 변환한 뒤, (확장자는 .flv이다.) 그것을 사용자들이 온라인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해 놓는다. 플래시 영상은 대규모 온라인 동영상 호스팅 사이트들 사이에 가장 인기있는 포맷이다. 이는 플래시 영상의 크나큰 호환성 때문이다. 2007년 6월 초에 이르러, [[애플 TV]] 또는 [[아이폰]]으로 스트리밍하는 것을 도와 주는 [[H.264]] 영상 표준으로 인코딩된 동영상이 업로드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또, [[도스박스]]에서 녹화된 동영상들도 별도의 인코딩 과정 없이 업로드할 수 있다.
 
== 콘텐츠 라벨 ==
콘텐츠 라벨<ref>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146399?hl=ko&ref_topic=4355414</ref>이란 공식적인 콘텐츠 등급이 없는 동영상을 업로드할 때 이를 언어, 과도한 노출, 성적 표현, 폭력 및 약물 사용의 5가지 카테고리에서 등급을 지정하도록 한 제도이다. 업로더는 각 카테고리에 대해 3가지 단계로 등급을 매겨야 하는데, 각 단계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현된다.
* '''녹색''': 성인용 콘텐츠가 아님
* '''노란색''': 가벼운 성인용 콘텐츠
* '''빨간색''': 성인용 콘텐츠로서 18세 이상 시청자로 제한됨
 
== 사회적 영향 ==
유튜브가 문을 열기 이전에는 일반 컴퓨터 사용자들이 온라인에 동영상을 올려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쉬운 방법이 많지 않았다. 유튜브는 사용하기 쉬운 환경을 강점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누구나 동영상을 올릴 수 있도록 해 몇 분 안에 수백만 명이 볼 수 있도록 하였고, 유튜브에서 다루는 넓은 범위의 주제로 비디오 공유를 인터넷 문화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 자리잡게 했다.
 
이를테면 2006년에는 [[전기 기타]]로 [[캐논 변주곡]]을 연주한 동영상이 'funtwo'라는 사용자명을 사용하는 누군가가 유튜브에 올렸고, 즉시 많은 방문자가 이 비디오를 보기 위해 유튜브를 찾았다. 나중에 [[뉴욕 타임스]]는 그 해 8월 27일, 연주에 대한 극찬과 함께 이 동영상에서 나오는 이가 23살 [[대한민국]]에 사는 무명 기타리스트 [[임정현 (1984년)|임정현]]이라는 것을 알렸다.<ref>{{웹 인용|url=http://www.nytimes.com/2006/08/27/arts/television/27heff.html?ei=5088&en=5b993ce30a7b7039&ex=1314331200&partner=rssnyt&emc=rss&pagewanted=all|제목=Web Guitar Wizard Revealed at Last|출판사=[[뉴욕 타임스]]|저자=버지니아 헤퍼넌|날짜=2006-08-27|언어=영어}}</ref>
 
== 수익 ==
{{본문|유튜버#수익}}
동영상을 업로드하여 사람들이 시청하게 되면 광고가 나오게 함으로써 영상 업로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다.<ref>{{웹 인용 |제목=Youtube 광고 가격책정 |url=https://www.youtube.com/intl/ko_ALL/yt/advertise/pricing/ |확인날짜=2018-07-17}}</ref> [[퓨디파이]]는 유튜브를 통해 성공한 대표적인 스타이다.<ref>{{뉴스 인용 |저자=김태균 |제목=유튜버 연간수입 1위는 스웨덴 게임방송인…174억원 벌어 |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2/13/0200000000AKR20161213154200017.HTML |뉴스=연합뉴스 |날짜=2016-12-14 |확인날짜=2018-01-16 }}</ref> 유튜브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면서, 스트리머를 직접 후원할 수 있는 기능인 '슈퍼챗'도 등장했다.<ref>[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7277005?hl=ko 유튜브 고객센터 슈퍼챗]</ref>
 
== 저작권 ==
유튜브의 이용약관에 따르면, 이용자는 자신의 User Submissions 및 이를 게시하거나 출판하여 생기는 결과에 단독으로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 User Submission과 관련하여 이용자는 다음의 사항을 확인, 인정 · 보증한다. 이용자는 유튜브 웹사이트 및 본 약관에서 의도한 바대로 User Submissions의 이용 및 포함을 가능하게 하는, 기타 모든 User Submissions와 관련된 특허권, 상표권, 영업비밀, 저작권 또는 기타 소유권을 유튜브가 이용하는 데에 필요한 허가, 권리, 허가 및 승인을 보유하고 있거나 유튜브에게 위의 권리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제6조 B항)
 
== 유튜브 접속 차단 및 제한 ==
* [[2006년]] [[12월 3일]]부터 [[이란]]에서는 다른 몇몇 사이트와 함께 유튜브 접속을 차단했다.
* [[2007년]] [[3월 6일]] [[터키]]에서도 국부(國父)인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를 모독하는 동영상이 게재되었다는 까닭에 접속 차단과 해제가 거듭되었으며 현재는 해제되어 있다.
* [[2007년]]에 [[태국]]에서 왕을 모독하는 것이 동영상에 게재되었다는 까닭에 모든 사람들이(유튜브 사용자) 한 때 차단이 되었다가 4월에 해제되었다.
* [[2008년]] [[3월 16일]],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정부는 유튜브에 [[2008년 티베트 소요 사태|티베트 시위]] 장면이 담긴 동영상 십여 편이 올라온 뒤 중화인민공화국에서의 유튜브 접속을 차단했다. 현재까지도 중국에서는 유튜브 접속이 차단되어 있다. 다만 IP 변경 시에는 접속이 가능하므로 완전 차단은 아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bbc.co.uk/2/hi/asia-pacific/7961069.stm|제목=China 'blocks YouTube video site'|출판사=[[BBC]]|날짜=2009-03-24|확인날짜=2012-02-13}}</ref>
* [[2009년]] [[4월 9일]], 유튜브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실명제]]와 관련하여 국가를 '한국'으로 설정해둔 사용자에 한해 동영상/댓글 업로드 기능을 자발적으로 제한하기로 했다. 그러나 나라를 전 세계를 이용하면 동영상/댓글 업로드 기능을 할 수 있다.<ref>{{뉴스 인용|제목 = 유튜브 “한국 사이트 실명제 도입 거부” |url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4091755145&code=920401|출판사 = [[경향신문]]|저자 = 이주영|날짜 = 2009-04-09|확인날짜 = }}</ref><ref>{{뉴스 인용|제목 = “한국정부 인터넷 통제, 결국 실패할 것”|url =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361410.html|출판사 = [[한겨레]]|저자 = 구본권|쪽 =|날짜 = 2009-06-19|확인날짜 = 2010-02-01}}</ref> 인터넷 실명제가 위헌 판정을 받은 [[2012년]] [[9월 6일]] 이후, 국가를 '한국'으로 설정으로 해도 동영상/댓글 업로드를 할 수 있게 되었다.
 
== 로고 ==
<gallery>
파일:Logo of YouTube (2005-2011).svg|2005년 ~ 2011년
파일:Logo of YouTube (2011-2013).svg|2011년 ~ 2013년
파일:YouTube logo 2013.svg|2013년 ~ 2015년
파일:YouTube logo 2015.svg|2015년 ~ 2017년
파일:YouTube Logo 2017.svg|2017년 ~ 현재
</gallery>
 
== 같이 보기 ==
* [[유튜버]]
* [[UCC]]
*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
* [[훌루]]
* [[구글]]
* [[유튜브 최다 조회수 영상 목록]]
* [[인터넷 방송인]]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공식 웹사이트|https://youtube.com/}}
 
{{유튜브 둘러보기}}
{{구글}}
{{안드로이드}}
{{동영상 공유 사이트}}
{{개인 방송 사이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전거 통제}}
 
[[분류:웹 2.0]]
[[분류:동영상 공유 사이트]]
[[분류:2005년 설립]]
[[분류:미국의 웹사이트]]
[[분류: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분류:구글의 서비스]]
[[분류:유튜브| ]]
[[분류:다언어 웹사이트]]
[[분류:구글 인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