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판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Jjjjj21014 (토론 | 기여)
Jjjjj21014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 백색증 대왕판다 ==
{{다른 뜻 넘어옴|판다}}
중국 남서부 쓰촨성의 워룽자연보호구는 지난 4월 해발 2000m 지역의 숲 속에 설치된 적외선 카메라에 [[백색증]] 대왕판다가 찍혔다며 사진을 공개했다. 일반적인 판다는 눈 주위와 네 다리가 검정색이고 나머지 부분은 흰색이지만, 사진 속 판다는 온몸이 흰색이며 붉은 눈을 띠고 있다. 야생 판다는 대부분 무리와 떨어져 외딴 지역에 혼자 살아 연구하기가 어려운 편이기 때문에 워룽자연보호구 측은 보호구 내에 더 많은 카메라를 설치해 [[백색증]] 대왕판다의 성장과 주위 판다와의 상호 작용을 관찰할 계획이라고 한다. [[백색증]] 대왕판다는 수컷과 암컷 판다가 모두 [[백색증]] 유전자를 지닐 경우에만 태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다른 뜻 넘어옴|판다}}
{{생물 분류
|이름=대왕판다
17번째 줄:
|지도=Mapa distribuicao Ailuropoda melanoleuca.png
}}
'''대왕판다'''(大王─, {{문화어|참대곰}}, {{lang|en|giant panda}}, {{lang|cn|大熊猫}}, {{학명|Ailuropoda melanoleuca}})는 [[중국]] [[쓰촨성]] 지방과 [[티베트]]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는 [[곰]]과의 포유동물이다.<ref name="wwf1">{{웹 인용 |url = http://panda.org/about_wwf/what_we_do/species/our_solutions/endangered_species/giant_panda/index.cfm|제목 = Global Species Programme&nbsp;– Giant panda|출판사 = World Wildlife Fund|날짜 = 2007-11-14|확인날짜 = 2008-07-22}}</ref> '''자이언트판다''', 자이언트를 생략하고 '''판다'''라고 하기도 하고 '''왕판다'''라고도 한다. 영어식 발음으로 '''팬더'''라고도 불리는데 표준어로 인정되는 표기는 '''판다'''이다. [[영어]]권에서 쓰이는 이름인 ‘giant panda’는 [[애기판다]]처럼 [[대나무]]잎을 먹는 큰 동물이라는 점 때문에 붙여졌다. 중국어에서는 애기판다를 작은 대왕판다라는 뜻의 ‘샤오슝마오({{llang|zh|小熊猫|‘소웅묘’}})’라고 부른다.
 
== 생태 ==
26번째 줄:
개간, 벌채 등의 인간의 활동으로 서식지가 줄어들게 되었다.
 
판다는 [[멸종위기종]]이었다.<ref name="wwf1" /> 2007년, 중국과 다른 27개의 국가에서 239마리가 사육되고 있다가<ref name="Xinhua1">{{뉴스 인용 | url = http://news.xinhuanet.com/english/2007-11/08/content_7034856.htm | 제목 = Number of pandas successfully bred in China down from last year | 뉴스=Xinhua News Agency | 날짜 = 2007-11-08 | 확인날짜 =2008-07-22}}</ref> (야생 판다의 개체 수는 자료마다 다르다. 어떤 곳은 1,590마리<ref name="Xinhua1" /> 로 추산한 반면, 2006년의 연구로 2,000마리에서 3,000마리에 이를 수도 있다는 결과도 있다.)<ref name="BBC_06-07">{{뉴스 인용|url=http://news.bbc.co.uk/2/hi/science/nature/5085006.stm |제목=Hope for future of giant panda|뉴스=BBC News |날짜=2006-06-20|확인날짜=2007-02-14 | 성=Helen | 이름=Briggs}}</ref> 또, 개체 수가 증가 추세에 있다는 보고도 있었다.<ref>{{뉴스 인용 |url=http://today.reuters.com/news/articlenews.aspx?type=topNews&storyID=2006-08-08T130946Z_01_PEK19201_RTRUKOC_0_US-CHINA-PANDA.xml&pageNumber=0&imageid=&cap=&sz=13&WTModLoc=NewsArt-C1-ArticlePage2 |제목=Giant panda gives birth to giant cub |출판사=Today.reuters.com |확인날짜=14 March 2009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0922102302/http://today.reuters.com/news/articlenews.aspx?type=topNews# |보존날짜=2007-09-22 |깨진링크=예 }}</ref><ref name="pandasinc">{{뉴스 인용 |성=Lynne |이름=Warren |제목=Pandas, Inc. |url=http://ngm.nationalgeographic.com/ngm/0607/feature1/?fs=animals-panther.nationalgeographic.com |출판사=National Geographic Magazine|National Geographic |날짜 = 2006-07|확인날짜=2008-04-10}}</ref> 그러나 [[IUCN]]은 [[멸종위기등급|등급]]을 격하할 만큼 충분하지는 않다고 하였으나<ref name="iucn" /> 2016년 9월 4일 IUCN은 2014년 성체 기준 1864마리로 증가함에 따라 멸종위기종에서 멸종취약종으로 멸종위기등급을 한 단계 격하했다.<ref>{{뉴스 인용 |연도=http://media.daum.net/foreign/others/newsview?newsid=20160905163228180 이연도=2016 |id=712 |제목=판다, 26년만에 '멸종위기' 꼬리표 뗐다.."보존 노력 결실"(종합)}}</ref>
 
[[세계야생생물기금]]의 심볼이다. 보통, 중국을 상징하는 동물은 [[용]]이지만, 국제적으로는 판다가 대신한다. 그 예로 [[베이징 올림픽]]의 마스코트, [[푸와]]가 있다. 20세기 후반 즈음에는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동전의 도안으로 쓰이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는 용인에버랜드에서 대왕판다를 사육 중이며, 국내에 사육중인 판다류는 레서판다로 서울대공원에서 사육중에 있다.<ref>{{웹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092886 |제목=서울대공원에 멸종위기 세계 희귀종 레서판다 온다 |날짜=2001-10-29 |확인날짜=2012-12-19}}</ref>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평양동물원에서 여러 마리가 사육된 적이 있다.
33번째 줄:
[[파일:Chengdu-pandas-d18.jpg|섬네일|왼쪽|대왕판다의 새끼. 갓 태어난 판다의 몸무게는 100 ~ 200 g, 몸길이는 15 ~ 17 cm에 불과하다.<ref>{{웹 인용|url=http://www.animalinfo.org/species/carnivor/ailumela.htm#Early|title=Animal Info – Giant Panda|accessdate=2009-05-29}}</ref>]]
 
판다는 검은색과 흰색의 털로 덮여 있다. 성체의 몸길이는 꼬리 길이를 포함하여 1.2 ~ 1.8 m이다.<ref>{{웹 인용 |url=http://www.giantpandaonline.org/naturalhistory/description.htm |title=Physical Description |publisher=Giant Panda Species Survival Plan |accessdate=2011-10-26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1204035805/http://www.giantpandaonline.org/naturalhistory/description.htm |보존날짜=2011-12-04 |깨진링크=예 }}</ref> 수컷은 몸무게가 160 kg까지 나간다.<ref>Boitani, Luigi, ''Simon & Schuster's Guide to Mammals''. Simon & Schuster/Touchstone Books (1984), {{ISBN|978-0-671-42805-1}}</ref> 암컷은 보통, 수컷보다 10 ~ 20% 정도 작으며, 몸무게는 75&nbsp;kg 정도이나, 125 kg까지 나가기도 한다.<ref name="wwf1" /><ref>[http://www.science.smith.edu/msi/pdf/i0076-3519-110-01-0001.pdf] {{웨이백|url=http://www.science.smith.edu/msi/pdf/i0076-3519-110-01-0001.pdf |date=20150924121859 }} (2011).</ref> 성체의 평균 몸무게는 100 ~ 115 kg이다.<ref>[http://www.animalfactguide.com/animalfacts/giant-panda/] (2011).</ref>
 
체형은 다른 곰과 비슷하며, 귀, 눈두덩, 입, 다리, 팔, 어깨 부분은 검은 털, 나머지 부분은 흰 털로 덮여 있다. 왜 이런 색인지 아직 불분명하지만 눈이 내리고, 바위가 많은 환경에서 보호색의 역할을 한다고 추정된다.<ref name="Dudley 9">{{서적 인용|last=Dudley|first=Karen|title=Giant Pandas|edition=illustrated|series=Untamed world|year=1997|publisher=Weigl Educational Publishers|isbn=0-919879-87-X|page=9}}</ref> 가죽은 두껍고, 털로 덮여 있어서 체온을 유지시킨다.<ref name="Dudley 9" /> 큰 [[어금니]]와 강한 턱 근육으로 대나무를 씹어 먹는다.<ref>{{서적 인용|last=Ellis|first=Richard|title=No turning back: the life and death of animal species|edition=illustrated|year=2004|publisher=HarperCollins|isbn=0-06-055803-2|page=315}}</ref>
 
앞발에는 5개의 발가락 이외에 "엄지"라고 불리는, [[종자골]]이 변한 뼈가 있다. 이 뼈는 대나무를 먹는 동안, 쥐는 역할을 한다.<ref>{{웹 인용|url=http://www.athro.com/evo/pthumb.html|title=The Panda's Thumb|last=Morris|first=Paul|coauthors=Susan F. Morris|publisher=Athro Limited|accessdate=2010-08-07}}</ref> [[스티븐 제이 굴드]]는 이에 관한 에세이를 써서 《판다의 엄지》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했다. 꼬리 길이는 10 ~ 15 cm로 곰과의 동물 중에서 두 번째로 길다. 덧붙여, 가장 긴 곰은 [[느림보곰]]이다.<ref>{{서적 인용|author=Brown, Gary |title=Great Bear Almanac |year=1996 |page = 340 |isbn=1-55821-474-7}}</ref>
42번째 줄:
 
== 습성 ==
일생의 대부분을 어슬렁거리거나 대나무 숲에서 먹으면서 시간을 보낸다.<ref name="WWF">{{웹 인용|url=http://www.wwfchina.org/english/pandacentral/htm/learn_about_giant_panda/panda_q_a/panda_behavior_habitat.htm|title=Panda behavior & habitat|publisher=World Wildlife Federation China|accessdate=2008-06-16|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729033555/http://www.wwfchina.org/english/pandacentral/htm/learn_about_giant_panda/panda_q_a/panda_behavior_habitat.htm|보존날짜=2008-07-29|깨진링크=예}}</ref> 혼자 있기를 좋아해서<ref name="si" /> 각자 자신만의 영역이 있다. 특히, 암컷은 자신의 영역에 다른 암컷이 들어오는 것을 꺼려한다. 판다는 소리를 내거나, 나무에 발톱 자국이나 소변을 보는 등의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한다.<ref name="wwf1" /> 나무에 기어오를 수 있어서 속이 빈 나무나 바위틈을 보금자리로 삼기도 하지만 한 곳에 오래 머무르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겨울잠]]을 자지 않는다. 대신에 보다 따뜻한 높은 곳으로 이동한다.<ref name="AnimalInfo">{{웹 인용|url=http://www.animalinfo.org/species/carnivor/ailumela.htm|title=Animal Info – Giant Panda|publisher=Animal Info|author=Paul Massicot|date=2007-02-13|accessdate=2008-06-17}}</ref> 주로 [[시각 기억]]보다 [[공간 기억]]에 의존한다.<ref>{{웹 인용|url=http://www.apa.org/monitor/jan04/pandas.html|title=Understanding the giant panda| author=Deborah Smith Bailey|date=2004-01-01 |publisher=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ef>
 
=== 생식 ===
49번째 줄:
 
=== 성격 ===
보통, 판다가 온순하다고 생각하나, 사실은 사람을 공격하기도 한다. 이는 포식 활동보다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행동으로 보인다.<ref name="attack">{{뉴스 인용|title=Teenager hospitalized after panda attack in Chinese zoo|url=http://www.foxnews.com/story/0,2933,304249,00.html|publisher=Fox News/Associated Press|date=2007-10-23|확인날짜=2012-12-19|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0609063304/http://www.foxnews.com/story/0,2933,304249,00.html#|보존날짜=2009-06-09|깨진링크=예}}</ref><ref name="attack2">{{뉴스 인용|url=http://news.bbc.co.uk/2/hi/asia-pacific/7743748.stm |title=Panda attacks man in Chinese zoo|publisher=BBC News |date=2008-11-22}}</ref><ref name="attack3">{{뉴스 인용|title=Giant panda in China bites third victim|url=http://www.cnn.com/2009/WORLD/asiapcf/01/09/panda.attack/index.html|publisher=CNN News|date=2009-01-10}}</ref>
 
=== 먹이 ===
56번째 줄:
[[파일:Pandas playing 640x480.ogv|섬네일|thumbtime=4 |250px]]
 
[[알파분류학|분류학]]적으로는 식육목이나, 주로 채식을 하며 대부분이 대나무이다.<ref name="Britannica Earth" /> 그러나 소화계는 식육목의 것과 같고, 유전자도 식육목의 것에 한정되어 있어서,<ref>"<cite>(...)indicating that the panda probably has all the necessary components for a carnivorous digestive system.</cite>" {{저널 인용| author=Ruiqiang Li et al. | title = The sequence and de novo assembly of the giant panda genome. | journal=Nature | volume = 463 | issue = 21 | pages = 311–317 | year = 2010 | pmid = 20010809 | doi = 10.1038/nature08696 | ref = harv | bibcode=2010Natur.463..311L}}</ref> 대나무를 섭취해도 약간의 에너지와 [[단백질]]밖에 얻지 못 한다. [[섬유소]]를 소화시키는 것은 [[내장|장 내]]의 미생물이다.<ref>"<cite>We did not find any homologues of digestive cellulase genes, including endoglucanase, exoglucanase and beta-glucosidase, indicating that the bamboo diet of the panda is unlikely to be dictated by its own genetic composition, and may instead be more dependent on its gut microbiome.</cite>" {{저널 인용| author=Ruiqiang Li et al. | title = The sequence and de novo assembly of the giant panda genome. | journal=Nature | volume = 463 | issue = 21 | pages = 311–317 | year = 2010 | pmid = 20010809 | doi = 10.1038/nature08696 | ref = harv | bibcode=2010Natur.463..311L}}</ref><ref>{{저널 인용|last=Zhu|first=L.|coauthors=Wu, Q., Dai, J., Zhang, S., Wei, F.|title=Evidence of cellulose metabolism by the giant panda gut microbiome|journal=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date=2011-10-17|volume=108|issue=43|pages=17714–17719|doi=10.1073/pnas.1017956108|url=http://www.pnas.org/content/early/2011/10/11/1017956108|bibcode = 2011PNAS..10817714Z }}</ref> 독특한 적응성으로 대나무 숲에서 수백만 년 동안 살았으며, 기술적으로도 전문화 되어 있다.<ref name="si">{{웹 인용
|url=http://nationalzoo.si.edu/animals/giantpandas/pandafacts/default.cfm
|title=Giant Panda Facts
62번째 줄:
|publisher=National Zoological Park
|accessdate=2012-06-08
}}</ref> 하루에 평균 9 ~ 14 kg의 대나무를 먹는다. 이는 영양분이 적어서, 양으로 소화계를 활성화 시켜야 하기 때문이다.<ref name="Britannica Earth" /> 결국, 대나무를 먹어서 얻는 적은 양의 에너지로 인해 판다의 습성에 영향을 준 것이다. 이 때문에, 판다는 다른 개체와 교류를 줄이고, 경사진 곳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ref name="Johnson">{{뉴스 인용|last1 = Ciochon|first1 = Russell L.|last2 = Eaves-Johnson|first2 = K. Lindsay|date = 2007-07-20|title = Bamboozled! The Curious Natural History of the Giant Panda Family|url = http://scitizen.com/screens/blogPage/viewBlog/sw_viewBlog.php?idTheme=27&idContribution=855|accessdate = 2008-07-22|periodical = Scitizen|authorlink = Russell Ciochon|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70721092645/http://www.scitizen.com/screens/blogPage/viewBlog/sw_viewBlog.php?idTheme=27&idContribution=855|보존날짜 = 2007-07-21|깨진링크 = 예}}</ref>
 
판다는 두 가지 두드러진 특징이 있는데, 하나는 큰 몸집과 다른 하나는 둥근 얼굴로, 대나무를 먹는 식성에 [[적응]]한 것이다. 판다 연구가인 [[러셀 치오촌]]은 판다는 채식을 하는 [[고릴라]]와 유사하게 부피 당 표면적이 낮아서 신진대사율이 낮고 그다지 움직이지 않는 생활 덕분에 적은 영양분으로도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ref name ="Johnson" Johnson/> 마찬가지로, 둥근 얼굴은 턱 근육이 발달하여 생긴 결과이다.<ref name ="Johnson" Johnson/>
 
야생에서 25종의 대나무를 먹는다.<ref name="chinaflora">{{서적 인용| last =Li| first =De-Zhu; Guo, Zhenhua; Stapleton, Chris | contribution =Fargesia dracocephala | year =2007| title =Flora of China| editor-last =Wu| editor-first =Z. Y.; Raven, P.H.; Hong, D.Y.| volume =22| page =93| place=Beijing| publisher=Science Press; St. Louis: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contribution-url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00025413| accessdate =2007-10-06}}</ref><ref name="chinaflora2">{{서적 인용| last =Li| first =De-Zhu; Guo, Zhenhua; Stapleton, Chris | contribution =Fargesia rufa | year =2007| title =Flora of China| editor-last =Wu| editor-first =Z. Y.; Raven, P.H.; Hong, D.Y.| volume =22| page =81| place=Beijing| publisher=Science Press; St. Louis: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contribution-url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00025444| accessdate =2007-10-06}}</ref> 판다가 서식하는 높은 지대에는 대나무 몇 종만이 넓게 퍼져 있다. 대나무는 [[단백질]] 레벨이 가장 높다(줄기 부분은 조금 덜하다).<ref>{{웹 인용|url=http://lrrd.cipav.org.co/lrrd4/2/dolberg.htm|title=Progress in the utilization of urea-ammonia treated crop residues: biological and socio-economic aspects of animal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on small farms|last=Dolberg|first=Frands|date=1992-08-01|publisher=University of Arhus|accessdate=2010-08-10}}</ref> 하루에 최대 40회까지 배변을 보기도 한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bbc.co.uk/2/hi/uk_news/wales/5095448.stm|title=Panda tests bring population hope|publisher=BBC |accessdate=2010-10-28|date=2006-06-20}}</ref>
 
대나무 종 사이의 특징(꽃이 피는 시기, 지는 시기 등)이 다르기 때문에, 판다 서식지 주변에 최소한 2종의 대나무가 있어야 아사를 면할 수 있다. 그래도 아직 곰의 이빨은 확실히 남아 있어서, 필요하다면 육류, 생선 등의 음식을 먹을 수도 있다. 사육 상태에서는, 대부분 대나무를 먹이로 주고, 가끔 가공한 과자나 다른 먹이를 주기도 한다.<ref>{{harvnb|Lumpkin|Seidensticker|2007|pp=63–64}} (page numbers as per the 2002 edition)</ref>
116번째 줄:
 
== 분류 및 진화 ==
판다는 곰과 [[아메리카너구리|너구리]]의 특징을 공유하기 때문에, 분류학적인 정확한 위치에 대해 수십 년 동안 논의되었다.<ref name="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 그러나 [[분자유전학]]적 연구로, 옛날에 주 가지에서 분화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곰과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졌다.<ref>O'Brien, Nash, Wildt, Bush & Benveniste,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317/n6033/abs/317140a0.html A molecular solution to the riddle of the giant panda's phylogeny], ''Nature'' Page 317, and pages 140 – 144 (1985. 09. 12)</ref><ref>{{서적 인용|author=Lindburg, Donald G.; Baragona, Karen|title=Giant Pandas: Biology and Conservation |publisher=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year=2004|isbn=0-520-23867-2|oclc= }}</ref> 현재, [[안경곰]]이 판다와 가장 근연 관계가 깊다.<ref name="Wildt">{{서적 인용|last=Wildt|first=David E. |editor=David E. Wildt|title=Giant pandas: biology, veterinary medicine and management|year=2006|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isbn=0-521-83295-0|page=2}}</ref> [[살아있는 화석]]으로 여겨지기도 한다.<ref>{{뉴스 인용|url=http://www.abc.net.au/tv/btn/stories/s1947589.htm|title=Behind the News – Panda Granny|date=2007-06-12|accessdate=2008-07-22|publisher=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80504213933/http://www.abc.net.au/tv/btn/stories/s1947589.htm#|archivedate=2008-05-04|깨진링크=예}}</ref>
 
[[애기판다]]와는 이름이 유사하지만, 서식지, 먹이는 물론이고 "엄지"도 있지만, 근연 관계는 얕다. 애기판다는 곰과가 아니라 애기판다과에 속한다.
124번째 줄:
=== 아종 ===
여러 가지 특징을 기초로 연구한 결과, 2종의 [[아종]]이 인정되었다.
 
* ''Ailuropoda melanoleuca melanoleuca''
 
주 종으로, 현존하는 판다의 대부분이 속한다. 주로 [[쓰촨 성]]에서 서식하며, 검은색과 흰색의 대비를 보인다.
 
* ''Ailuropoda melanoleuca qinlingensis''<ref>{{서적 인용|last=Hammond|first=Paula|title=The Atlas of Endangered Animals: Wildlife Under Threat Around the World|year=2010|publisher=Marshall Cavendish|isbn=0-7614-7872-8|page=58}}</ref>([[친링 판다]])
 
[[친링 산맥]]에서만 서식한다. 암갈색과 연갈색의 대비를 보인다. 주 종보다 몸집은 작고, 어금니는 크다.
 
줄 133 ⟶ 137:
과거에는 고귀한 생물로 여겨지기도 했다. [[전한 문제]]의 모후인 [[박태후]]는 죽은 뒤에 판다 [[두개골]]과 함께 묻혔다. [[당 태종]]의 손자는 우호의 표시로 두 마리의 판다와 가죽을 일본에 보냈다고 전해진다. 고대 중국에서의 다른 동물들과 달리 의학적인 용도로는 좀처럼 쓰이지 않았지만, 쓰촨 성 사람들은 우연히 삼킨 바늘을 녹이기 위해 판다의 소변을 이용하고 [[월경]]을 제어하기 위해 생가죽을 이용했다고 [[진 (영성)|진]]나라 때의 사전인 [[이아]]에 기록되어 있다.<ref name="Schaller 1993 61">{{harvnb|Schaller|1993|p=61}}</ref>
 
여러 고서에는 "맥(貘)"이라고 언급되어 있다.<ref name="Schaller 1993 61" /> [[후한]] 때의 [[한자]] 사전인 [[설문해자]]에는 "맥은 쓰촨 성에 서식하고, 생김새는 곰과 같으며, 노란색과 검은색을 띤다."<ref>[http://chinese.dsturgeon.net/text.pl?node=26160&if=en&searchu=%E8%B2%98#n32614 Shuowen Jiezi, Chapter 10, radical 豸]</ref> 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 이아에는 "하얀 표범"이라고 간단하게 기록되어 있다.<ref>[http://chinese.dsturgeon.net/text.pl?node=39144&if=en Erya, Chapter "釋獸" ("About animals")]</ref> 판다를 참고로 전설 상의 생물, "비휴(貔貅)"를 묘사한 기록도 흔하다.<ref>[http://www.kepu.net.cn/english/giantpanda/giantpanda_know/200409230028.html China Giant Panda Museum: Historical Records in Ancient China]. Supposed Chinese historical terminology appears in the Chinese version of this article, [http://www.kepu.net.cn/gb/lives/panda/know/now001.html 我国古代的历史记载] {{웨이백|url=http://www.kepu.net.cn/gb/lives/panda/know/now001.html |date=20120706193346 }}</ref>
 
[[명나라|명]]의 [[영락제]]가 통치할 때, [[카이펑 시|카이펑]]에 사는 그의 친척이 영락제에게 '[[추우]]'를 잡아 온 일화가 있다. 추우는 중국 전설에 등장하는 상서로운 짐승으로 [[기린 (전설)|기린]]과 비슷한 성향이다. [[성인 (종교)|성인]]의 [[덕]]에 감동할 때만 나타나며, 호랑이처럼 험악하게 생겼지만 온화하고 살아 있는 풀은 먹지 않는다고 한다. 보통은 흰 호랑이에 검은 반점이 있는 형태로 묘사된다. 이 점에 의문을 가졌던 중국학자 [[위키백과:J.J.L. Duyvendak|드위번다크]]는 "이것이 판다일 수 있습니까?"<ref>{{인용
줄 143 ⟶ 147:
 
=== 서양인의 발견 ===
1869년 3월 11일에 [[프랑스]]의 [[선교사]]인 [[아르망 다비드]]<ref name="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 가 한 사냥꾼으로부터 판다 가죽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판다가 서양에 알려지게 되었다. 최초로 직접 살아 있는 판다를 봤다고 알려진 서양인은 [[독일]]의 동물학자인 [[후고 베이골드]]이다. 그는 1916년에 새끼 판다를 구입했다. [[커밋 루스벨트]], [[시어도어 루스벨트 주니어]]는 최초로 판다를 사냥했다. 1936년에 [[루스 하크니스]]는 자국으로 판다를 데려온 최초의 서양인으로, 이 때, 데려온 새끼 판다의 이름은 "수 린"이다.<ref>{{웹 인용| first=DA | last=Watson | title=The Panda Lady: Ruth Harkness (Part 1) |url=http://femexplorers.com/full_article.php?article_id=17 | publisher=Female explorers|accessdate=2007-02-01}}</ref> 수 린은 시카고에 있는 [[브룩필드 동물원]]으로 보내졌다. 1938년에는 다섯 마리의 판다가 런던으로 반입되기도 했다.<ref name="ST">{{웹 인용| title = Giant Pandas Through Singapore. Rare Animals from Wilds of China. Will be First to Reach Europe in Captivity.|work=Straits Times | date = 1938-11-27 | url = http://newspapers.nl.sg/Digitised/Article.aspx?articleid=straitstimes19381127.2.109&sessionid=9fb04643596f4181a3eba55881450408&keyword=antenor+panda | accessdate =2010-02-02}}</ref><ref name="ST2">{{웹 인용| last = Austin | first = A. B. | title = How Giant Pandas Arrived in London |work=Straits Times | date = 1939-01-08 | url = http://newspapers.nl.sg/Digitised/Article.aspx?articleid=straitstimes19390108.2.79&sessionid=feffb0825aa74ad486527dce35b920cc&keyword=antenor+panda&sort=&page=1&sort= | accessdate =2010-02-02}}</ref> 그러나 이런 활동은 전쟁으로 다음 반 세기까지 중단되었기 때문에, 서양인들은 판다에 대해 조금밖에 알지 못 했다.
[[파일:Lightmatter panda.jpg|섬네일|오른쪽|샌디에이고 동물원의 수컷 판다, 가오 가오.]]
 
줄 154 ⟶ 158:
 
== 보존 ==
번식률이 낮은데다가 인간의 활동으로 서식지가 감소하여, 현재는 멸종위기동물이다.<ref name="Britannica Earth" />
 
판다가 서구에 소개된 이후로, 종종 밀렵꾼의 표적이 되었다. 1930년대에는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으로 외국인은 밀렵할 수 없었으나, 현지인은 가죽을 노리고 밀렵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1949년 이후, 인구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판다의 거주지가 압박을 받기 시작하고, 이후 일어난 기근으로, 판다를 포함한 야생동물에 대한 사냥이 증가되었다. [[문화 혁명]] 동안에는 판다에 대한 모든 연구와 보존 활동이 중지되었다. [[개혁개방]] 이후, 홍콩과 일본에서 판다 가죽의 수요가 늘어 [[암거래]]가 이루어졌다. 그 당시에는 처벌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줄 162 ⟶ 166:
1958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개체 수 감소를 막기 위해 [[워룽 자연 보호구]]를 지정하는 등의 노력을 했지만, 생태학에 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했기 때문에, 큰 효과를 거두지 못 했다. 보통, 보호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우리에 가두는 것을 연상하기 때문에 판다에게도 적용되었다. 결과적으로, 개체 수는 감소하지 않았으나, 악조건 속에서 고통 받았다. 환경 오염, 서식지의 파괴, 개체 수의 분리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야생 판다의 번식률은 극도로 떨어졌다. 그러나 1990년대, 동물 보호법이 제정되면서 상황은 조금 나아지게 되었다. 이런 노력 덕분에 특정 구역의 개체 수는 증가하기 시작했지만, 아직 희소종에서 벗어나지는 못 했다.
 
2006년, 야생 판다의 개체 수가 1,000마리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잘못된 결과였고, 실제론 3,000마리 가량 살아있는 것으로 추정된다.<ref name="Britannica Earth" /> 아직 희소종이지만 현재는 보존 활동이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지난 20년간, 단 13마리가 늘어난 것에 비해, 2006년에만 중국에서 40마리가 늘었다.<ref name="BBC_06-07" />
 
판다 서식지 중에서도 [[쓰촨 자이언트판다 서식지]]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ref>[http://news.bbc.co.uk/2/hi/asia-pacific/5174854.stm Pandas gain world heritage status] ''BBC News''</ref><ref>[http://www.upi.com/NewsTrack/view.php?StoryID=20060718-072442-2033r Panda sanctuaries now World Heritage sites] ''United Press International''</ref>
 
모든 보호론자가 판다를 보호하는데 드는 비용이 효율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에 동의하지는 않는다. [[영국]]의 [[박물학|박물학자]], [[크리스 패컴]]은 판다가 살 수 있는 서식지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가둬 놓고 기르는 것은 무의미한 행동이라고 주장했다.<ref name="Packham">[http://www.telegraph.co.uk/earth/wildlife/6216775/Chris-Packham-Giant-pandas-should-be-allowed-to-die-out.html Chris Packham: 'Giant pandas should be allowed to die out']. Telegraph.co.uk. 2009. 09. 22</ref> 그리고 판다에 드는 비용은 더 필요한 곳에 사용되어야 한다라고 발언한 바 있고,<ref name="Packham" /> 또, 만일 내게 판다 보존에 드는 비용을 쓸 수 있다면 책상 위로 돌려서 나를 위한, 좀 더 실용적인 일을 하기 위해 마지막 판다라도 먹겠다라는 발언을 했다.<ref name="Packham2">[http://www.theaustralian.news.com.au/story/0,25197,22730796-30417,00.html Beyond cute and cuddly] {{웨이백|url=http://www.theaustralian.news.com.au/story/0,25197,22730796-30417,00.html# |date=20090116040347 }}. The Australian. 2007. 11. 10.</ref> 그러나 후에 이 발언에 분개한 사람들에게 사과했다.<ref>{{웹 인용|url=http://www.mirror.co.uk/news/top-stories/2009/09/23/bear-raid-115875-21693846/ |title=TV Packham says sorry for 'ditch pandas' blast |work=Daily Mirror |location=UK |date=2009-09-23 |accessdate=2010-04-24}}</ref> 그는, 아마 판다가 지난 반 세기 동안 보호하는데 든 비용이 가장 많은 동물일 것이라고 지적했다.<ref name="Packham2" />
 
2012년, [[어스와치 연구소]]는 "On the Trail of Giant Panda{{해석|판다를 쫓아서}}"라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워룽 자연 보호구에서 진행되며, 봉사자들이 판다를 가까이에서 돌보고, 야생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다.<ref>{{웹 인용|url=http://www.earthwatch.org/exped/zhang.html |title=Earthwatch: On the Trail of Giant Panda}}</ref>
줄 173 ⟶ 177:
[[파일:Chengdu panda breeding.jpg|섬네일|오른쪽|250px|[[청두]] 자이언트판다 번식 연구소]]
 
처음에는 [[인공수정]]으로 판다를 번식시키고자 했지만, 갇힌 상태에서의 짝짓기에는 흥미를 잃은 듯 보였다.<ref>{{뉴스 인용|title=National Zoo's Giant Panda Undergoes Artificial Insemination |url=http://www.nbc4.com/news/15643501/detail.html |work=[[NBC]] |agency=Associated Press |date= 2008-03-19 |accessdate=2008-04-13}}</ref> 그래서 몇몇 연구가들은 판다가 짝짓기하는 영상을 틀거나<ref>{{뉴스 인용|first=Narunart |last=Prapanya |title='Panda porn' to encourage mating |url=http://edition.cnn.com/2006/WORLD/asiapcf/01/25/panda.passion/index.html |publisher=CNN |date= 2006-01-25 |accessdate=2008-04-13}}</ref> 수컷에게 [[비아그라]]를 주는, 자극적인 방법을 쓰기도 했다.<ref>{{뉴스 인용|title=Pandas unexcited by Viagra |url=http://news.bbc.co.uk/2/hi/asia-pacific/2246588.stm |work=BBC News |publisher=BBC |date= 2002-09-09 |accessdate=2008-04-13}}</ref> 최근에서야 새로운 방법을 이용하여 [[아메리카흑곰]]의 번식율에 견줄 수 있을 정도로 성공률이 높아졌다. 현재 번식율은 2년에 한 마리 꼴이다.<ref name="pandasinc" /><ref name="WWF" />
 
판다는 4~8살이 되면서 성적으로 성숙해지며, 20살까지는 번식할 수 있다.<ref>{{뉴스 인용 |title=Giant Panda Reproduction |url=http://newsdesk.si.edu/kits/pandas/nzp_panda_reproduction.pdf |work=National Zoological Park |accessdate=2008-04-13 |format=PDF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80527204441/http://newsdesk.si.edu/kits/pandas/nzp_panda_reproduction.pdf |archivedate=2008-05-27 |깨진링크=예 }}</ref> 번식기는 암컷의 발정기인 3월에서 5월까지이나 1년에 한 번, 이틀에서 사흘정도 지속된다.<ref name="reproduction">{{웹 인용 |url=http://www.4panda.com/panda/pandatips/reproduction.htm |title=Giant Panda Reproduction |accessdate=2008-04-14 |last=Kleiman |first=Devra G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807161537/http://www.4panda.com/panda/pandatips/reproduction.htm |보존날짜=2008-08-07 |깨진링크=예 }}</ref> 짝짓기 시간은 30초에서 5분정도이고, 임신 기간은 95 ~ 160일이다.<ref name="reproduction" />
 
야생에서는 [[쌍둥이]]가 태어난다면, 어미가 더 강한 새끼를 선택하기 때문에, 선택 받지 못 한 새끼는 죽게 된다. 이것은, 어미는 체내에 지방을 축적하지 않기 때문에, 두 마리 모두에게 젖을 물릴 수 없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ref name="Panda Facts">{{웹 인용|url=http://www.pandasinternational.org/giantpanda.html|title=About the Giant Panda|publisher=Pandas International|accessdate=2010-08-09|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0703053736/http://www.pandasinternational.org/giantpanda.html#|보존날짜=2010-07-03|깨진링크=예}}</ref>
줄 181 ⟶ 185:
갓 태어난 새끼는 분홍색이고, 앞을 볼 수 없으며, 이빨은 없다.<ref>{{서적 인용|last=Dudley|first=Karen|title=Giant Pandas|edition=illustrated|series=Untamed world|year=1997|publisher=Weigl Educational Publishers|isbn=0-919879-87-X|page=26}}</ref> 몸무게는 90 ~ 130 g으로 대략 어미의 1/800이다.<ref name="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웹 인용|url=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441032/giant-panda|title=Giant Panda|year=2010|publisher=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accessdate=2010-08-09}}</ref> 어미의 품에서 하루에 30분간 6 ~ 14회 젖을 먹는다. 어미는 하루에 3 ~ 4시간동안 먹이를 구하기 위해 거처를 비울 때가 있는데, 이 때, 새끼는 무방비 상태이다.
태어난 지 1 ~ 2주가 지나면, 피부는 회색빛으로 서서히 변하며, 마침내 완전히 검게 된다. 간혹, 가죽이 분홍빛을 띠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어미의 [[침]]과 새끼의 가죽 사이에서 일어나는 화학 작용 때문이다.
태어난지 한 달이 지나면, 몸의 무늬가 완성된다. 가죽은 나이를 먹으면서 매우 부드럽고 굵어진다. 75 ~ 80일이 지나면 기기 시작하고,<ref name="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 어미와 놀기도 한다.
반 년이 지나면, 조금이지만 대나무를 먹을 수 있게 된다.<ref name="Sept Exam">{{웹 인용|url=http://animal.discovery.com/videos/panda-update-september-cub-exam.html|title=Panda Update: September Cub Exam|date=2006-05-04|publisher=Discovery Communications, LLC|accessdate=2010-08-09}}</ref> 새끼 판다는 일 년에 45 kg씩 붙으며, 태어난 후 18 ~ 24개월까지 어미 곁에서 지낸다.
 
2009년 7월, 중국에서 최초로 냉동 [[정자]]를 이용한 인공 수정으로 판다 새끼가 태어났다.<ref name="Baby panda born from frozen sperm">{{뉴스 인용|url=http://news.bbc.co.uk/2/hi/asia-pacific/8168491.stm|title=Baby panda born from frozen sperm|date=25 July 2009|accessdate=26 July 2009|publisher=BBC }}</ref> 이 판다는 11살, "유유"의 세 번째 새끼로 쓰촨 성에서 7월 23일, 07시 41분에 태어났다.<ref name="Baby panda born from frozen sperm" /><ref name="World's 1st giant panda born from frozen sperm in SW China" /><ref name="First panda cub born using frozen sperm">{{웹 인용|url=http://www.irishtimes.com/newspaper/world/2009/0725/1224251307368.html|title=First panda cub born using frozen sperm|date=2009-07-25|accessdate=2009-07-26|work=The Irish Times }}</ref> [[액체 질소]]로 정자를 얼리는 기술은 1980년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근친교배의 가능성을 줄이는 해결책으로 알려졌다.<ref name="First panda cub born using frozen sperm" /> 판다의 정액은 10년동안 냉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장소로 옮겨서 번식시킬 수도 있다.<ref name="Baby panda born from frozen sperm" /><ref name="World's 1st giant panda born from frozen sperm in SW China">{{웹 인용|url=http://news.xinhuanet.com/english/2009-07/24/content_11766726.htm|title=World's 1st giant panda born from frozen sperm in SW China|date=24 July 2009|accessdate=26 July 2009|publisher=Xinhua News Agency|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1226013440/http://news.xinhuanet.com/english/2009-07/24/content_11766726.htm|보존날짜=2009년 12월 26일|깨진링크=예}}</ref>
 
복제한 판다 [[배 (생물학)|배아]]를 다른 종의 [[자궁]]에 심는, [[잡종|종간교배]]도 시도되었지만 살지는 못 했다.<ref>{{저널 인용|저자=Chen, D. Y.; Wen, D. C.; Zhang, Y. P.; Sun, Q. Y.; Han, Z. M.; Liu, Z. H.; Shi, P.; Li, J. S. et al.|날짜=|제목=Interspecies Implantation and Mitochondria Fate of Panda-Rabbit Cloned Embryos|저널=Biology of Reproduction|권=67|호=2|쪽=637~642|id=PMID 12135908|url=http://www.biolreprod.org/content/67/2/637#aff-1|확인날짜=2012-12-18|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325050118/http://www.biolreprod.org/content/67/2/637#aff-1#aff-1|보존날짜=2015-03-25|깨진링크=예}}</ref>
 
<br />
== 백색증 대왕판다 ==
중국 남서부 쓰촨성의 워룽자연보호구는 지난 4월 해발 2000m 지역의 숲 속에 설치된 적외선 카메라에 [[백색증]] 대왕판다가 찍혔다며 사진을 공개했다. 일반적인 판다는 눈 주위와 네 다리가 검정색이고 나머지 부분은 흰색이지만, 사진 속 판다는 온몸이 흰색이며 붉은 눈을 띠고 있다. 야생 판다는 대부분 무리와 떨어져 외딴 지역에 혼자 살아 연구하기가 어려운 편이기 때문에 워룽자연보호구 측은 보호구 내에 더 많은 카메라를 설치해 [[백색증]] 대왕판다의 성장과 주위 판다와의 상호 작용을 관찰할 계획이라고 한다. [[백색증]] 대왕판다는 수컷과 암컷 판다가 모두 [[백색증]] 유전자를 지닐 경우에만 태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다른 뜻 넘어옴|판다}}
== 출처 및 각주 ==
{{각주|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