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Nosu 사용자가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문서를 김천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문서로 옮겼습니다
수정
1번째 줄:
{{유형문화재문화재 정보
| 이름 = 직지사대웅전삼존불탱화 <br /> (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
| 소재_국가 = {{KOR}}
| 그림 =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 그림크기 = 150
| 유형 =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 그림 그림설명 =
| 소재_국가국가 = {{KOR}}
| 이름 = 직지사대웅전삼존불탱화 <br /> (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
| 유형 = [[대한민국의 보물 (제601호 ~ 제700호)#제601호 ~ 제700호|보물]]
| 지정_번호번호 = 670
| 지정연월일지정 = [[1980년]] [[8월 23일]]
| 해지연월일 =
| 해지 =
| 소재지주소 =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북암길 89, 직지사 성보박물관 (운수리)
| 소유자 = [[직지사]]
| 좌표 시대 = [[조선시대]]
| 관리 = 직지사성보박물관
| 제작_시기 = [[조선]]
| 비고 참고 = <nowiki></nowiki>
| 면적 =
* 보물 제670-1호 영산회상탱화
| 수량 = 3폭
* 보물 제670-2호 아미타회상탱화
| 전승지 =
* 보물 제670-3호 약사회상탱화
| 전승자 =
| 지도 =
| 띄움 =
| 꼬리표 =
| 너비 =
| 대체지도 =
| 설명 =
| 위도도 =
| 경도도 =
| 웹사이트 =
| 문화재청 = 12,06700000,37
}}
 
줄 23 ⟶ 34:
[[영조]] 11년([[1735년]]) 대웅전 중건 때 진기, 지영 두 스님이 불화를 그리기 시작하여 9년 만인 영조 20년([[1744년]]) 5월에 완성, 봉안했다. 중앙의 그림은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문수·보현 두 보살과 범천·체석천 및 십대제자를 배치했다. 왼쪽 그림은 약그릇을 든 약사여래가 중앙에 안좌하고 주위에 일광·월광 등 8보살과 사천왕 12신장이 에워쌌다. 오른쪽 그림은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관음·세지 등 보살과 신장들이 둘러싼 구도이다. 전체적으로는 짜임새 있는 구성으로 안정감이 있고, 비범한 묘사와 정교한 장식표현은 생동감이 있으며, 주위에 그려진 범서가 특이하다.
 
== 문화재 지정개요 ==
직지사대웅전삼존불탱화(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는 직지사 대웅전에 봉안된 후불탱화로 비단바탕에 채색되었다.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형태로 만들어지는 불화로, 일반적으로 이 직지사처럼 대웅전 본존불의 뒷벽에 위치한다. 조선 후기에는 대웅전이나 대광명전 등에 흔히 3폭의 불화를 봉안하는 것이 두드러진 특징인데, 이 불화도 그러한 형식을 따르고 있다. 중앙에 석가여래의 영산회상도, 왼쪽에 약사회도, 오른쪽에는 아미타불의 극락회도를 배치하였다.
* [[직지사대웅전삼존불탱화-영산회상탱화]](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靈山會上幀畵) : 보물 , 제670-1호 직지사성보박물관 소장
 
* [[직지사대웅전삼존불탱화-아미타회상탱화]](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阿彌陀會上幀畵) : 보물 , 제670-2호 직지사성보박물관 소장
중앙에 배치된 불화는 석가가 영취산에서 여러 불·보살에게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영산회상도이다. 화면의 중앙에 석가불이 있고 좌우에 8보살과 10대제자, 사천왕 등이 그려져 있으며 둘레에 많은 범문을 써 놓았다. 왼쪽 어깨에만 옷을 걸친 석가불은 악귀를 누르는 항마촉지인의 손모양을 하고 있다. 비교적 균형잡힌 체구와 둥근 얼굴에 부드러운 표정을 짓고 있으며, 머리광배와 몸광배를 세밀하게 그렸다.
* [[직지사대웅전삼존불탱화-약사회상탱화]](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藥師會上幀畵) : 보물 , 제670-3호 직지사성보박물관 소장
 
왼편에 있는 약사회도는 화면의 중앙에 약합을 든 약사여래가 앉아 있고 그 주위에 8대보살과 사천왕, 12신장 등이 에워싸고 있는 복잡한 구도이다. 본존불의 신체는 건장하고 당당한 모습인데 비하여 얼굴은 지극히 작은 눈과 입 등이 매우 단아하고 엄숙한 인상을 풍긴다. 이러한 모습과 등뒤의 물결무늬 원형광배, 옷의 문양표현 등이 18세기 불화의 시대적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오른편의 아미타회상탱화는 중앙에 아미타불을 두고 관음보살과 세지보살을 비롯하여 신장상 등이 주위를 둘러싼 구도이다.
 
이 세 폭의 탱화는 영조 20년(1744) 세관(世冠), 신각(神覺), 밀기(密機) 등 10여명의 화승들이 그린 것을 염불도인(念佛道人) 진기와 지영(智英)스님이 증명<ref>증명 : 그림이 경전이나 교리의 내용에 합당한지, 또는 법대로 그려졌는지를 확인하고 감독하는 스님을 일컫는 것으로, 그림을 직접 그리는 화원(화사, 금어, 출초, 편수 등)과 구분되어 사용됨</ref>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는 구성과 뛰어난 묘사력, 안정감 있는 색감 등으로 당시 불화를 대표하는 걸작에 속한다.
 
== 세부 내역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margin-left: 5px; font-size: 90%;"
|-style="color:white;background-color:#408080;"
|align="center"|'''번호'''
|align="center"|'''사진'''
|align="center"|'''명칭'''
|align="center"|'''비고'''
|-
!670-1호
|<!--[[파일:|150px]]-->
* |[[직지사대웅전삼존불탱화-영산회상탱화]]<br />(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靈山會上幀畵) : 보물 , 제670-1호 직지사성보박물관 소장
|
|-
!670-2호
|<!--[[파일:|150px]]-->
* |[[직지사대웅전삼존불탱화-아미타회상탱화]]<br />(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阿彌陀會上幀畵) : 보물 , 제670-2호 직지사성보박물관 소장
|
|-
!670-3호
|<!--[[파일:|150px]]-->
* |[[직지사대웅전삼존불탱화-약사회상탱화]]<br />(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藥師會上幀畵) : 보물 , 제670-3호 직지사성보박물관 소장
|
|}
 
== 참고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