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앱 iOS 앱 편집
오타를 고침
태그: m 모바일 웹
42번째 줄:
 
몰락 양반가의 후손<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8&aid=0000005224 백범 발자국 따라 걸으면 큰길 되지요]</ref> 으로 태어나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실패, 이후 [[동학농민운동]]에 참가하였고, 한때 불교 승려로 활동했으며 자(字)는 '''연하'''(蓮下), 처음 이름은 '''창암'''(昌巖)이고, 호(號)는 '''백범'''(白凡), '''연상'''(蓮上)이다. 호는 미천한 백성을 상징하는 백정의 ‘백(白)’과 보통 사람이라는 범부의 ‘범(凡)’ 자를 따서 지었다.<ref>김구는 자신의 호인 백범의 유래에 대해서 "독립국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장 천하다는 백정과 무식한 범부까지 전부가 적어도 나만한 애국심은 가진 사람이 되게 하자는 원(願)을 표한 것"이라고 풀이하였다.</ref><ref>[http://www.kimkoo.or.kr/02diary/sub.asp?pagecode=m02s01t05 백범 김구선생 기념사업회]</ref> 19세 때 이름을 창수(昌洙)로 바꾸었다가, 37세([[1912년]])에 거북 ''''구''''(龜)였던 이름을 아홉 ''''구''''(九)로 바꾸었다. 그 밖에 환속 이후의 이름인 '''두래'''(斗來), 피난 시기에 사용한 가명인 '''장진'''(張震), '''장진구'''(張震球)도 있었다. 젊어서 [[동학]]교도 였고, [[불교]]에 귀의해서 법명 원종(圓宗)을 얻은 승려였으며<ref>김삼웅《백범김구평전》시대의창,132쪽</ref>, 신민회에서 활동하면서 [[기독교]] 신자가 되었다.<ref>경교장복원범민족추진위원회, 비운의 역사 현장 아! 경교장(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003) p.514</ref> 양산학교, 보강학교 등에서 교육자로 교편을 잡기도 했고, 해서교육총회 학무총감으로도 활동했다. 교육·계몽 운동 중 [[일본 제국]] 경찰에 연행되어 수감되기도 하였다. [[김방경]]의 25대손으로 본관은 [[구 안동 김씨|구 안동]]이며, [[황해도]] [[해주시|해주]] 출신이다.
[[1919년]] 이후 [[상하이 시|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여, 의정원 의원, 경무국장, 내무총장, 국무총리 대리, 내무총장 겸 노동국 총판 등을 지냈다. 외교 중심의 독립운동이 성과를 얻지 못하자 [[1921년]] 임시 정부 내 노선 갈등 이후 일부 독립운동가들이 임시 정부를 이탈하고, [[만주 사변]] 이후에 일본의 [[중화민국|중국]]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중국]] 관내 여러 지역으로 임시 정부를 옮겨다녔으며, 1924년에는 만주 대한통의부 [[박희광]](朴喜光) 등을 통한 친일파 암살 및 주요공관 파괴, 군자금 모집 등을 비밀리에 지휘하였고, 이후 [[한인애국당한인애국단]]을 조직하여 [[이봉창]]의 [[이봉창 의거|동경 의거]], [[윤봉길]]의 [[훙커우 공원 사건]] 등을 지휘하였다.
 
[[1926년]] [[12월]]부터 [[1927년]]까지 [[1930년]]부터 [[1933년]]까지 임시정부 국무령을, 이후 국무위원, 내무장, 재무장 등을 거쳐 [[1940년]] [[3월]]부터 [[1947년]] [[3월 3일]]까지 임시정부 [[국무위원회]] 주석을 지냈다. [[1945년]] [[8·15 광복|광복]] 이후에는 임시정부 법통 운동과, [[이승만]], [[김성수 (1891년)|김성수]] 등과 함께 [[신탁 통치 반대 운동]]과 미소 공동위원회 반대 운동을 추진하였으며, [[1948년]] [[1월]]부터 [[남북 협상]]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