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음 법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李는 한글이 창제된 뒤에 '니'로 처음 기록되었고, 가장 마지막에 기록되었던 것도 독립신문의 니건하, 니한용 등 '니'였습니다. 그러니까 '리'는 중국어 표기법인 것이죠. 즉, 한국에서는 '니'가 주류인 표기법이었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간혹 보여지는 '리'의 표기법은 번역박통사, 삼운성휘에 나와있는데 이는 모두 중국 한자 李의 중국 발음이었던 것으로 여겨집니다. 서양인(백인) 학자들 또한 李를 '리'라고 표기했었죠. F.C Ridel이란 학자가 李를 '니'로 표기한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 癸丑日記 (光海君 때, 仁穆大妃 內人) - 니이첨(李爾瞻) 니덕형(李德馨) 니?복(李恒福) 등 ‘李’자를 모두 ‘니’로 표기함.
* 古時調集 南薰太平歌 - [純祖 때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됨. 作者 未詳의 時調] “옛날에 니??도”, “그곳에 니젹선(李謫仙) 소동파” 등 ‘李’자를 모두 ‘니’로 표기함.
* 意幽堂集 - “니번은 뉼곡 형이라 파쥐예 잇더니 서울 드러와“, “니상국 탁은 셩묘됴 명신이라“ 등 ‘李’자를 모두 ‘니’로 표기함.
* 獨立新聞 창간호 - [1896년 4월 7일 창간. 최초의 한글 전용 신문] 관찰사 니건하, 문쳔 군슈 니한용, 회계원 출납과장 니용교 등 ‘李’자를 모두 ‘니’로 표기함.
 
한글로 된 小說에 있는 ‘니’씨 姓 표기들:
* 春香傳 - “젼나도 남원부? 니등이 ? 아?을 두어스니“ 등 ‘李’자를 모두 ‘니’로 표기함.
* 九雲夢 - “니쇼화(李蕭和)은 황졔의 ?이니” 등 ‘李’자를 모두 ‘니’로 표기함.
* 意幽堂集 - “니번은 뉼곡 형이라 파쥐예 잇더니 서울 드러와“, “니상국 탁은 셩묘됴 명신이라“ 등 ‘李’자를 모두 ‘니’로 표기함.
* 獨立新聞 창간호 - [1896년 4월 7일 창간. 최초의 한글 전용 신문] 관찰사 니건하, 문쳔 군슈 니한용, 회계원 출납과장 니용교 등 ‘李’자를 모두 ‘니’로 표기함.
 
‘李’ 자를 ‘링'과 ‘리’로 표기한 예: 조선왕조 초기에도 간혹 용례가 있지만 주로 후기에 많이 나타난다.
* 內訓 - 李링氏씽女녕戒갱예 닐오? (선조) - '李'자를 ‘링‘으로‘링’으로 표기함.
* 東國正韻(上聲. 5권 16장) - '李'자를 ‘링‘으로 표기함.
* 三韻聲彙(영조 27년 : 1751년) - '李'자를 ‘리’로 표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