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단논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4번째 줄:
==정언적 삼단논법의 격과 식==
[[정언명제|명제의 질과 양]]에따라 형식 A(전칭긍정),E(전칭부정),I(특칭긍정),O (특칭부정)로 분류되는 명제의 세 순서를 나열하는것을 식이라고 하며, [[중명사]]의 위치에 따른 4종류를 격이라고 하다.
삼단논법의 격식은 '식식식-격'으로 표기한다. 따라서 AAA-1은 전칭긍정의 대명제와 전칭긍정의 소명제 그리고 전칭긍정의 결론을 갖는 제1격의 삼단논법 형식이된다. 이처럼 삼단논법의 격식을 따져보는것만으로도 256개의 삼단논법 형식의 오류를 검증할수있다. 이렇게 오류가 제거된 검증된 삼단논법의 타당한 형식은 24개뿐이며 [[벤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할수있다. 그러나 이렇게 확인된 24개의 삼단논법일지라도 여전히 걱과 식의 규칙에의해 그 틀이 제약받고 얽매여 있다는점은 타당한 결론을 위해서는 명제의 배열순서가 중요하다는 정보뿐만아니라 중명사의 배열순서 역시 중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해준다는점에서 논리학이 절차를 주요하게 다루려고 관심을 갖는 규칙성이다규칙성을 확인할수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식이 AAX의 배열순서에서 격이 유지되는 중명사의 배열순서는 오직 제1격만이 성립한다는 교차정보를 제공해주는것과 같은 맥락의 의미이기도하다. 이는 대전제가 전칭이면서 소전제가 긍정이라면 결론이 항상 타당하기위해서는 제1격이어야한다는것이다.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whi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