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
태그: 한글 자모가 포함된 편집 요약 m 모바일 웹
59번째 줄:
== 역사 ==
[[파일:Danwon-Ssireum.jpg|섬네일|right|150px|단원 [[김홍도]]의 민속화 씨름]]
[[고구려]]한복의 복식은 양성 모두 저고리가 엉덩이까지 내려왔으며 아래는 바지를 입어 귀부인일수록 바지의 폭이 넓어지는 특징이 있었다.<ref>김경수, 《한국사 이야기》, 돋을새김,2009년, 148쪽</ref> 다만 남자는 저고리와 바지를 입었고 여자는 저고리에 바지나 치마를, 혹은 저고리와 치마를 겸해서 입었다. 일반적으로 중국의 복식과 많이 다르지는 않으나 고구려의 경우에는 좌임, 우임, 합임(양쪽 어느 곳으로 모으지 않고 가운데로 모아 입은 형태) 등 세 종류가 공존하여 나타났고 상투나 자연스럽게 풀어헤친시초를 머리 형태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명주와 무명, 삼베를 이용하여 미적 측면도 추구한 점은 유목 민족과 구분지을 수 있다.<ref>김용만,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다 어디로 갔을까》, 바다출판사, 2000년, 3쪽</ref> 또한 고구려인은 항상 전투복과 같은 옷을 입고 다녀 비상 사태에 대비했다는 기록이 있다.<ref>김덕형, 《고구려는 한국사다》, 깊은강, 2004년, 19쪽</ref> 이는 고구려 사람들이 옷의 활동성을 중시했기 때문으로 복식이 뒷받침되었기에 전쟁에서도 능할 수 있었다. 고구려에서는 양잠이 발달했으며 옷감의 색 또한 다양해 흰색, 검정색, 노란색, 보라색 등이 쓰였다.<ref>김용만, 《고구려의 발견》, 바다출판사, 1998년, 128쪽</ref>
한복의 시초를 보면 고대 동북아시아의 스키타이-시베리아 문화에서 건너온 것으로 유목민의 다양한 의상 중의 하나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ref>김문자, 《한국복식문화의 원류》, 1994, 7-15</ref><ref>이경자, 《우리옷의 전통양식》,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소개하는 글"에서 발췌</ref> 동북아시아에서 발견되는 가장 초기 증거는 [[흉노]]족의 집단 매장지인 노인 울라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몽골]] 북부에 위치한다.<ref>유순례, 〈몽골과 한국의 전통복식 미의식 비교에 대한 연구〉, 한국복식사연구회,2006, v. 6, 183-185쪽</ref> 한편, 한복 자체의 디자인과 관련해 가장 오래된 증거는 기원전 3세기 전 [[고구려]] 벽화에 담겨 있다.<ref>Nelson, Sarah,《''The archaeology of Kore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ISBN|0-521-40783-4}},7쪽, 213-214쪽</ref><ref>{{언어링크|en}} [http://www.arirang.co.kr/News/News_Print.asp?type=news&nseq=68777 Faces of Korea- Hanbok] 아리랑TV 2007-02-15</ref>
 
생활 속의 움직임을 확보하는 의복을 선호하는 유목민의 복식과 유사하게 한복은 움직임의 편리함을 강조했기에<ref>[http://www.wowtv.co.kr/news/wownews/view_nhn.asp?bcode=T01010000&artid=A201104060118 옷 패션 그리고 건강-<2>한복은 과학이다] 한국경제 2011-04-06</ref> 한복 바지는 [[모내기]]와 [[씨름]]을 할 때도 착용이 가능했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398130&cp=nv 인체 순환까지 배려한 ‘직선·평면 재단’의 미학… 한복속에 감춰진 과학 이야기] {{웨이백|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398130&cp=nv |date=20131004232708 }} 국민일보 2010-02-11</ref> 21세기에 이르기까지 기본적인 한복의 골격인 저고리,바지,치마라는 기본구조는 그대로 이어지되<ref name="국민일보"/> 길이나 폭, 형태 등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였다. 폭에 관해서는 넓은 바지, 좁은바지, 발목에 주름잡혀 좁은발목형태의 바지, 넓게 펼쳐진 밑단의 바지 등 폭과 길이가 다채로웠으며 허리 정도의 길이에 오는 저고리는 삼국시대까지만 해도 남녀 구분 없이 입었다.<ref>[http://www.korea.net/news/News/LangView.asp?serial_no=20081111006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 - Hanbok] Korea.net 2008-11-20 작성. 2011-08-24 검색해봄.</ref>
 
=== 삼국시대 복식 ===
[[고구려]] 복식은 양성 모두 저고리가 엉덩이까지 내려왔으며 아래는 바지를 입어 귀부인일수록 바지의 폭이 넓어지는 특징이 있었다.<ref>김경수, 《한국사 이야기》, 돋을새김,2009년, 148쪽</ref> 다만 남자는 저고리와 바지를 입었고 여자는 저고리에 바지나 치마를, 혹은 저고리와 치마를 겸해서 입었다. 일반적으로 중국의 복식과 많이 다르지는 않으나 고구려의 경우에는 좌임, 우임, 합임(양쪽 어느 곳으로 모으지 않고 가운데로 모아 입은 형태) 등 세 종류가 공존하여 나타났고 상투나 자연스럽게 풀어헤친 머리 형태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명주와 무명, 삼베를 이용하여 미적 측면도 추구한 점은 유목 민족과 구분지을 수 있다.<ref>김용만,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다 어디로 갔을까》, 바다출판사, 2000년, 3쪽</ref> 또한 고구려인은 항상 전투복과 같은 옷을 입고 다녀 비상 사태에 대비했다는 기록이 있다.<ref>김덕형, 《고구려는 한국사다》, 깊은강, 2004년, 19쪽</ref> 이는 고구려 사람들이 옷의 활동성을 중시했기 때문으로 복식이 뒷받침되었기에 전쟁에서도 능할 수 있었다. 고구려에서는 양잠이 발달했으며 옷감의 색 또한 다양해 흰색, 검정색, 노란색, 보라색 등이 쓰였다.<ref>김용만, 《고구려의 발견》, 바다출판사, 1998년, 128쪽</ref>
 
[[백제]]의 복식은 다른 예술 분야와 마찬가지로 그 아름다움이 두드러졌으며 고구려에 비해서는 여성적이다. [[고이왕]] 27년(260년)에 정해진 관복의 제도에서는 관복의 색감에 대한 정의가 내려질 정도로 의복이 발달되어있었다. 복식은 고구려와 흡사했으며 공식적이거나 그 중요성이 높을 경우 여인들은 머리 장식을 했다.<ref name="우리옷만들기"/> 남자의 경우 고구려와 비슷하게 포를 넓게 하여 항시 입었던 것은 동일했다. 때문에 관모에도 신하들의 직급에 따라 장식 자체가 구분되었으며 임금은 금제, [[좌평]]~[[나솔]]까지는 은제를 부착하도록 했다.<ref>박영규, 《한 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 웅진닷컴, 2004년, 337쪽</ref><ref>김병미, 《공주대학교 백제문화 제38집》〈백제옷의 직물과 문양〉21쪽~35쪽 참조</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