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륭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의 도움을 받아 동음이의 처리: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화가) 문서로 링크 바꿈; 예쁘게 바꿈
23번째 줄:
'''건륭제'''(乾隆帝, 강희(康熙) 50년 [[음력 8월 13일]] ([[1711년]] [[9월 25일]]) ~ 가경(嘉慶) 4년 [[음력 1월 3일]] ([[1799년]] [[2월 7일]]))는 [[청 제국]]의 제6대 [[황제]](재위 1735년 ~ 1796년<ref>1796년은 양력의 세년법을 따른 것이다. 건륭제는 1795년(건륭 60년) [[음력 12월 30일]], 즉 양력으로는 1796년 2월 9일에 황위에서 퇴위하였다.</ref>)이다. [[청 제국]]이 [[산해관]]을 넘은 뒤 [[자금성]]에서 [[청 제국]]의 군주가 천명을 상실한 [[명나라]]의 주씨를 대신하여 중국의 새로운 수명천자(受命天子)가 되었음을 선언한 이래 네번째의 황제이기도 하다. [[성씨|성]]과 [[휘]]는 '''아이신 교로 훙리'''({{llang|mnc|{{MongolUnicode|ᡝᠠᡳᠰᡳᠨ<br>ᡤᡳᠣᡵᠣ<br />ᡥᡠᠩ<br />ᠯᡳ}}|Aisin Gioro Hung li}}, {{한자|愛新覺羅弘曆|애신교라 홍력}}), [[묘호]]는 '''고종'''(高宗, {{llang|mnc|{{MongolUnicode|ᡬᠠᠣᡯᡠᠩ}}|G'aodzung}}), [[시호]]는 '''법천융운지성선각체원입극부문분무흠명효자신성순황제'''(法天隆運至誠先覺體元立極敷文奮武欽明孝慈神聖純皇帝), 짧은 시호로는 '''순황제'''(純皇帝, {{llang|mnc|{{MongolUnicode|ᠶᠣᠩᡴᡳᠶᠠᡥᠠ<br>ᡥᡡᠸᠠᠩᡩ}}|Yongkiyaha Hūwangdi}})이며, [[연호]]는 '''[[건륭]]'''(乾隆, {{lang|mnc|{{MongolUnicode|ᠠᠪᡴᠠᡳ<br />ᠸᡝᡥᡳᠶᡝᡥᡝ}}|Abkai Wehiyehe}}, {{lang|mn|{{MongolUnicode|ᠲᠩᠷᠢ ᠶ᠋ᠢᠨ<br />ᠲᠡᠳᠭᠦᠭ᠍ᠰᠡᠨ}}|Tengri-yin Tedqügsen}})이다. 제4대 황제 [[강희제]]의 손자이자 제5대 황제인 [[옹정제]]의 넷째 아들이며<ref>작위를 받은 기준에 따라 황사자(皇四子)로 불리나, 유아기에 죽은 옹정제의 황자까지 포함시키면 건륭제는 옹정제의 다섯 번째 아들이 된다.</ref>, 옹정제의 후궁 출신인 [[효성헌황후|효성헌황후 뇨후루씨]](孝聖憲皇后 鈕祜祿氏)의 소생이다.
 
어릴 때부터 제왕이 지녀야 할 자질이 보여 할아버지 [[강희제]]와 아버지 [[옹정제]]에게 인정을 받았다. 1735년(옹정 13년), 옹정제가 급사하자 [[저위비건법]]에 따라 황위에 올라 먼저 [[만주족]]과 [[한족]] 대신들의 갈등을 조정하며 내치를 다진 후 대규모 정복 사업과 문화 사업을 펼쳤다. 문화 사업으로는 옹정제 때 [[마카오]]로 추방된 [[로마가톨릭]]교회 산하 [[예수회]] 선교사들을 다시 불러들여 [[북경]]에 [[유럽|서양]]식 건물을 짓도록 허락한 것과 특히 예수회 수도사인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화가)|주세페 카스틸리오네]]에게 서양식 궁전인 [[원명원]]을 개·보수를 감독하게 한 것이 있다. 그 자신 역시 문화와 예술에 관심이 많아 시와 서화를 즐겼고 각지의 시인과 화가들을 독려하였다. 특히 10년의 세월을 들여 고금의 도서를 수집하여 [[중국의 역사|중국 역사]]상 최대의 대편찬 사업인 《[[사고전서]]》를 편찬함으로써 고서적들을 많이 발굴케 하였으나 [[문자의 옥]]도 단행하여 청 제국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책들은 모두 금서로 만들었다.
 
또한, 10차례에 걸친 정복 사업을 펼쳐 [[중가르 칸국|준가르]]와 [[위구르족|위구르]]를 복속시키고 [[티베트]], [[버마]], [[베트남]], [[네팔]]까지 진출하는 등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영토의 틀을 만들었다. 그러나 집권 후반기에 들어서면서 시대착오적인 정책을 내놓고 여기에 사치, 반란, 서방과의 부실한 외교, 그리고 희대의 탐관오리로 평가받는 [[화신 (청나라)|뇨후루 허션]]을 20여 년간 총애하여 말년엔 매관매직과 부정부패가 빈번히 일어나고 국고가 비어 결국 청 제국은 쇠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1796년(건륭 60년) 말, 자신은 감히 할아버지인 강희제의 재위 기간을 넘을 수 없다며 재위 60년째에 [[태상황제]]로 물러났지만, 막후에서 정책 최고 결정권을 행사하여 여전히 실권을 쥐고 있었다. 재위기간 60년에 태상황제로서 실권을 장악한 4년까지 합치면 건륭제는 중국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실권을 장악한 황제였다. 스스로 십전노인(十全老人, 열 번의 원정을 모두 승리로 이끈 노인)이라 칭하고 그렇게 불리기를 좋아하였으며, 중국 최후의 태평성세인 [[강건성세]](康乾盛世)의 마지막을 장식한 황제이다. 중국의 역대 황제 중 가장 장수한 황제이며 [[중국]] 최후의 [[태상황제]]로 그의 생모와 신분, 즉 [[한족]]의 피가 흐르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어서 [[중국의 역대 황제]] 중 가장 민간의 전설이 많은 황제이기도 하다.
103번째 줄:
건륭제는 [[시 (문학)|시]]를 짓는 것을 좋아하여 정무를 본 오전과는 달리, 오후와 저녁에는 시를 지으며 낙으로 삼아 평생 4만 수가 넘는 시를 지었으나 그 중 상당수는 어법이 틀리고 질도 낮아 잘 지어진 시는 아니었다.<ref name="후동"/> 간행된 시문집으로는 《낙선당전집》, 《청고종어제시집》 등이 있다. 그러나 서예에는 실력이 뛰어나 자금성 안의 여러 편액들을 썼으며 대신들의 생일 때에는 자신이 손수 쓴 글귀를 선물해주기도 하였다. 또한 그리기를 좋아하여 여러 그림을 남겼는데 자신이 좋아하던 후원과 정자를 주로 그렸다. 건륭제는 순행에서도 그러하였듯이 황궁인 자금성에 예술가들을 초대하여 차를 대접하며 그들의 학식과 예술성에 감탄하였다.
 
건륭제는 청나라 각지의 궁전, 행궁, 도로, 운하, 성벽, 사원 등을 새로 짓거나 증축하는 데에도 힘썼다. 건륭제는 본래 자신이 태어난 잠저인 옹친왕부였으나 옹정제 때 라마교 사원과 행궁으로 개축된 [[옹화궁]]을 대폭 증축하였고 [[명나라]] 때 지어진 [[자금성]]이 너무 인위적이고 낡아서 자신의 쉼터가 될 만한 곳, 즉 큰 연못과 나무 등이 많은 거대한 후원 공사를 시작하였다. 그는 최고의 장인, 석공, 목공 등을 불러 후원을 만들었는데 그때 처음 만들어진 후원이 북경 서북쪽에 있는 [[이화원|청의원]](淸漪園)으로 훗날 이화원으로 개명되었다. 다른 한 후원은 바로 [[원명원]]으로 본래 아버지 옹정제가 가지고 있던 작은 후원을 대폭 증축하고 옆에는 그 부속 후원인 [[장춘원]](長春園), [[기춘원]](綺春園)을 새로 지였다. 건륭제는 [[원명원]]을 서양과 동양이 만나는 궁전이 되길 원하여 조부 때부터 궁정에서 일하던 [[예수회]] [[선교사]] 중 최연장자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화가)|주세페 카스틸리오네]](중국 이름 랑세녕(郞世寧))와 프랑스에서 온 천문학자 [[미셀 베누아]]에게 원명원의 개·보수를 명하였다.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화가)|카스틸리오네]]는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의 [[바로크 양식]]과 [[로코코 양식]]을 본따 지었는데 지붕은 중국식, 건물 외벽은 서양식으로 지어 혼합 양식을 따 지었고 안에는 유럽 왕실에서 쓰는 진귀한 물건을 가져다놓아 전시하는 등 매우 화려하였다.<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022750391&ltype=1&nid=101&sid=011636&page=6 [우종근의 史史로운 이야기<nowiki>]</nowiki> 베이징 원명원의 십이지신상]", 《한국경제》, 2009년 2월 27일.</ref> 북경 밖으로는 강희제 때 지어져 [[승덕]] 땅에 있던 [[피서산장]]을 [[1743년]](건륭 8년)에 대대적으로 정비하기 시작하여 49년 후인 [[1792년]](건륭 57년)에야 완성을 하였다.
 
건륭제는 이미 전임 황제들인 강희제, 옹정제와 같이 궁정의 선교사들을 우대하며 그들에게 부분적인 선교 활동을 허락하였다. 하지만 건륭제 자신은 조부와 부황과 같이 [[기독교|가톨릭교회]]의 가르침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고 선교사들의 예술적, 과학적 지식만을 이용하려고 하였다. 건륭제의 증조부인 [[순치제]]부터 이미 [[아담 샬 폰 벨]]을 시초로 건륭제 때에도 [[이그나츠 쾨글러]], [[안토 고가이슬]] 등의 예수회 선교사들이 천문대인 [[흠천감]]을 이끌며 중국의 [[천문학]]과 [[지리|지리학]]에 도움을 주었다. [[1769년]](건륭 34년) 이들의 도움으로 완성된 《건륭황여전람도》(乾隆皇與全覽圖)는 서양식으로 그린 지도로 청나라의 강역을 세밀히 그려냈다. [[프랑스]] 선교사인 [[조제프마리 아미오]]는 여러 개의 황실 정원을 [[프랑스]]식으로 꾸며주고 《[[손자병법]]》과 같은 중국의 유명한 고서적이나 건륭제가 지은 시 등을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출판하기도 하였다.
230번째 줄:
* '''조부''': [[강희제|성조 강희인황제]](聖祖 康熙仁皇帝) 현엽(玄燁)
* '''조모''': [[효공인황후|효공인황후 오아씨]](孝恭仁皇后 烏雅氏)
** '''부친''': [[옹정제|세종 옹정헌황제]](世宗 雍正憲皇帝) 윤진(胤禛)
** '''모친''': [[효성헌황후|효성헌황후 뉴호록씨]](孝聖憲皇后 鈕祜祿氏)
 
=== 황후 ===
457번째 줄:
* [[중국의 기독교]]
* [[강건성세]]
*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화가)|주세페 카스틸리오네]]
* [[외팔묘]]
* 《[[사고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