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영어판 분류 정보를 이용.+분류:20세기 시인; 예쁘게 바꿈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다른 사람|신석정 (1883년)||일제 강점기의 법조인}}
 
'''신석정'''(辛夕汀, [[1907년]] [[8월 15일]]([[1907년]] [[음력 7월 7일]])<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1&aid=0002307451 링크]</ref> ~- [[1974년]] [[7월 6일]])은 한국의 [[시인]]이다.
 
== 생애 ==
본명은 석정(錫正)이며, 아호는 석정(夕汀)이다.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선은동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의 전신인 [[불교전문강원]](佛敎專門講院) 국어국문학과에서 수학했다. 1931년 《시문학》 3호부터 동인으로 참여하면서 작품활동을 본격화, 그해에 《선물》 《그 꿈을 깨우면 어떻게 할까요》 등을 발표했고, 계속 《나의 꿈을 엿보시겠읍니까》 《봄의 유혹》 《어느 작은 풍경》 등 목가적인 서정시를 발표하여 독보적인 위치를 굳혔다. 8 ·15광복 후에는 시작(詩作)과 후진양성에 전념했고, 저서로는 초기의 주옥 같은 전원시가 주류를 이룬 제1시집 《촛불》(1939)과, 역시 8 ·15광복 전의 작품을 묶은 제2시집 《슬픈 목가(牧歌)》(1947), 그 뒤 계속 《빙하(氷河)》 《산의 서곡(序曲)》 《대바람 소리》 등의 시집을 간행했다. 전형적인 자연 시인이라 불리는 그의 작품은 심화된 자연숭배의 사상이 짙고 특히 산을 즐기고 산에서 배우며, 산을 사유하면서 자연을 노래한, 소박하고 간결한 형식이 많았는데, 후기에 와서는 인생과 현실을 비판하기도 하였다.<ref>{{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2|제목=인명사전/한 국 인 명/ㅅ/신석정|주소=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9D%B8%EB%AA%85%EC%82%AC%EC%A0%84/%ED%95%9C_%EA%B5%AD_%EC%9D%B8_%EB%AA%85/%E3%85%85/%EC%8B%A0%EC%84%9D%EC%A0%95}}</ref>
 
== 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