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량 해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31번째 줄:
<b>안위등이 배를 돌려 들어서서 적을 대항하자 적이 개미 때처럼 붙어 안위의배가 거의 침몰하게 되므로 이순신이 배를 돌려 그것을 구원하고 그 자리에서 적선 두 척을 쳐부수고 잠시 동안에 삼십척을 연달아 깨뜨리며 그 선봉장의 목을 베니 적이 크게 놀라 물러 갔다. 이순신이 적의 머리를 달아 매고 배 위에서 풍악을 치며 도전하니 적이 분노하여 군사를 나누어 교대로 나오는데 이순신은 승리한 기세를 타고 불을 놓아 여러 배들을 불태우니 시뻘건 불길이 바다를 덮은 속에서 불에 타고 물에 빠져 죽는 적병이 그 수를 알 수 없었으며 마침내 래도수(구르시마 미치후사)를 죽이고 모리민부는 물에 떨어져서 죽음을 겨우 면했고 그 밖에도 적장의 죽은자가 몇 명 있었다.<선묘중흥지></b>
 
난중일기에는 "화전(火戰)”이라는 문구가 없고 “화살을 비오듯 쏘아대니”라고 기록하고 있지만 난중잡록과 선묘중흥지, 그리고 해남 명량대첩비에서는 화전(火戰)임을 알게 해준다. 난중일기에는 화전(火戰)에 관한 기록이 빠져있다. 따라서 난중일기는 반쪽짜리 해전 기록으로 봐야 한다. 이렇게 된 이유는 조선 수군이 두패로 나누어서 각기 다른 작전을 수행하였기에 발생한 문제이다. 따라서 난중잡록도 반쪽짜리 해전 기록에 해당되지만 선묘중흥지는 반쪽짜리 해전기록을 합친것으로 보는게 타당하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군감 [[모리 다카마사]]는 바다에 빠졌다가 구조되었고 일본군 사령관 [[도도다카토라]](藤堂高虎)는 부상을 당했다. 임하도의 좁은 수로에서 막힌 일본 수군의 피해는 매우 컸다 할 수 있다. 또한 해상에서 싸우던 일본 수군 중 [[도도다카토라]](藤堂高虎)등 일부가 도주에 성공하였으며 일본 수군은 유시(酉時 오후 5시~7시) 무렵, 물살이 느려지고 바람이 [[일본]] 수군쪽으로 부는 것을 이용, 퇴각하였다.또한 조선 수군은 해전후 당사도(唐沙島)로 퇴각하여 이튿날 어외도(무안군 지도읍)에서 피난민들과 합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