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Gcd822 (토론 | 기여)
Gcd822 (토론 | 기여)
244번째 줄:
러멜러 테어링(Lameller tearing)이란 강재가 [[열간 압연]]으로 생산될 때, 압연이 진행되는 방향과 수직인 단면에 집중 하중이 작용하면 변형의 집중 현상과 작은 [[연성]] 능력으로 인해 [[취성]] 파괴가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Sfn|한국강구조학회|2017|p=21}} 압연이 진행되는 방향의 단면과 이와 교차하는 단면은 서로 다른 기계적 성질을 보이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 주된 원인은 용접 후에 부재에서 일어나는 수축 현상(shrinkage)때문이다. 러멜러 테어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용접의 상세를 합리적으로 계획하는 것이다. 용접되는 부분이 압연이 진행되는 방향과 일치하게 하면 러멜러 테어링을 줄일 수 있다.{{Sfn|한국강구조학회|2017|p=22}}
 
== 강교량의 도장 ==
강교는 부식 방지를 위해 표면 도장을 한다. KCS 14 31 40 :2019 도장 2.3 도장계열에 따라 방법을 분류한다.
{| class="wikitable"
|+
강구조물용 도장계열
| colspan="3" |구분
|표면처리
|제1층
|제2층
|제3층
|제4층
|제5층
|-
| rowspan="11" |일
 
 
 
 
 
 
| rowspan="3" |우레탄계 마감
|TypeⅠ
|SSPC-SP10
|무기질
 
아연말 도료
|미스트코트
|고고형분
 
에폭시계 도료
|우레탄계 도료
|우레탄계 도료
|-
|TypeⅡ
|SSPC-SP10
|무기질
 
아연말 도료
|미스트코트
|고고형분
 
에폭시계 도료
|우레탄계 도료
|우레탄계 도료
|-
|Type Ⅲ
|SSPC-SP10
|아연알루미늄용사
|미스트코트
|고고형분
 
에폭시계 도료
|우레탄계 도료
|우레탄계 도료
|-
| rowspan="3" |세라믹계 우레탄 마감
|TypeⅠ
|SSPC-SP10
|무기질
 
아연말 도료
|미스트코트
|세라믹계
 
방식도료
|세라믹계
 
우레탄 도료
|세라믹계
 
우레탄 도료
|-
|TypeⅡ
|SSPC-SP10
|무기질
 
아연말 도료
|미스트코트
|세라믹계
 
방식도료
|세라믹계
 
우레탄 도료
|세라믹계
 
우레탄 도료
|-
|Type Ⅲ
|SSPC-SP10
|아연알루미늄용사
|미스트코트
|세라믹계
 
방식도료
|세라믹계
 
우레탄 도료
|세라믹계
 
우레탄 도료
|-
| rowspan="3" |실록산계 마감
|TypeⅠ
|SSPC-SP10
|무기질
 
아연말 도료
|미스트코트
|고고형분
 
에폭시계 도료
|실록산계
 
도료
|실록산계
 
도료
|-
|TypeⅡ
|SSPC-SP10
|무기질
 
아연말 도료
|미스트코트
|고고형분
 
에폭시계 도료
|실록산계
 
도료
|실록산계
 
도료
|-
|Type Ⅲ
|SSPC-SP10
|아연알루미늄용사
|미스트코트
|고고형분
 
에폭시계 도료
|실록산계
 
도료
|실록산계
 
도료
|-
| rowspan="2" |불소수지계 마감
|TypeⅠ
|SSPC-SP10
|무기질
 
아연말 도료
|미스트코트
|고고형분
 
에폭시계 도료
|불소수지계
 
도료
|불소수지계
 
도료
|-
|TypeⅡ
|SSPC-SP10
|아연알루미늄용사
|미스트코트
|고고형분
 
에폭시계 도료
|불소수지계
 
도료
|불소수지계
 
도료
|-
| rowspan="4" |친
 
 
 
 
 
| rowspan="4" |수용성 우레탄계 마감
|TypeⅠ
|SSPC-SP10
|수용성무기질
 
아연말
 
도료
|미스트코트
|수용성
 
에폭시계 도료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
|-
|TypeⅡ
|SSPC-SP10
|수용성무기질
 
아연말
 
도료
|미스트코트
|수용성
 
에폭시계 도료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
|-
|TypeⅢ
|SSPC-SP10
|아연알루미늄용사
|미스트코트
|수용성
 
에폭시계 도료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
|-
|TypeⅣ
|SSPC-SP10
|무용제 에폭시계 도료
|무용제
 
에폭시계 도료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
|
|}
<br />
== 각주 ==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