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 분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1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15)
편집 요약 없음
33번째 줄:
 
=== 간기 ===
유사 분열이 이루어 지는이루어지는 기간은 [[세포 주기]] 전체에서 매우 짧은 시기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기간 동안 세포는 하나의 단위로서 생명 활동을 이어간다. 세포 분열의 단계에서는 이를 [[간기 (세포 분열)|간기]]라고 한다. 간기를 세분하면 평상적인 생장과 대사를 하는 제1간기(G1), 유전체를 복제하여 세포 분열을 준비하는 합성기(S), 미세소관을 만드는 데 필요한 단백질을 형성하는 제2간기(G2)의 세 기긴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ref name=Blow2005/>
 
이 모든 단계는 [[사이클린]]을 비롯한 여러 단백질의 농도에 의해 조절된다. 사이클린의 농도는 분열기에 최소로 떨어졌다가 제2 간기에 최고도에 다다른다. 사이클린이 특정 농도 이상이 되면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Cyclin-dependent Kinase, Cdk)와 결합하여 사이클린-Cdk 복합체를 만든다. Cdk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각 Cdk-1, Cdk-2 와 같은 명칭이 부여되어 있다. 각각의 다른 Cdk는 서로 다른 단계에서 작동한다. 사이클린-Cdk 복합체가 제1간기(G1) 단계의 세포를 합성기(S)로 유도한다. 유전체가 복제되는 동안 사이클린의 농도는 계속 증가하여 최고조에 이르고 분열 촉진 인자를 형성하게 된다. 분열 촉진 인자가 일정 이상 형성되면 비로소 유사 분열 단계가 시작된다.<ref>박상대, 《분자세포생물학》, 아카데미서적, 1998년, {{isbn|978-89-7616-176-5}}, 327쪽</ref> 사이클린-Cdk 복합체는 다음 단계가 일어날 수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검문소 역할을 한다.<ref name=Pulves2006 />{{참고 쪽|162}}
45번째 줄:
제2간기인 G2 단계가 지나 전기가 되면 [[방추체]]와 [[미세소관]]이 형성되고 유전체는 [[염색질]]을 이루어 뭉치게 된다. 염색질은 DNA가 여러 차례 꼬여져 만들어진 보다 굵고 단단한 실과 같은 형태이다. 염색질은 다시 염색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단계에서 염색체는 아직 길고 가는 실과 같이 보인다. 간기에서 이미 DNA 복제가 끝난 상태이기 때문에 염색체는 모두 동일한 한 쌍을 이루어 동원체를 중심으로 결합되어 있다.
 
생장과 대사에 필요한 [[전사 (생물학)|유전자 전사]]는 이미 제1간기가 끝난 시점에서 더 이상 이루어 지지이루어지지 않으며<ref>{{저널 인용| vauthors = Prasanth KV, Sacco-Bubulya PA, Prasanth SG, Spector DL | title = Sequential entry of components of the gene expression machinery into daughter nuclei | journal =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 volume = 14 | issue = 3 | pages = 1043–57 | date = March 2003 | pmid = 12631722 | pmc = 151578 | doi = 10.1091/mbc.E02-10-0669 }}</ref><ref>{{저널 인용| vauthors = Kadauke S, Blobel GA | title = Mitotic bookmarking by transcription factors | journal = Epigenetics & Chromatin | volume = 6 | issue = 1 | pages = 6 | date = April 2013 | pmid = 23547918 | pmc = 3621617 | doi = 10.1186/1756-8935-6-6 }}</ref><ref>{{저널 인용| vauthors = Prescott DM, Bender MA | title = Synthesis of RNA and protein during mitosis in mammalian tissue culture cells | journal = Experimental Cell Research | volume = 26 | issue = 2 | pages = 260–8 | date = March 1962 | pmid = 14488623 | doi = 10.1016/0014-4827(62)90176-3 }}</ref> 핵소체 역시 사라지게 된다.<ref>{{서적 인용|last=Olson |first=Mark O. J. | name-list-format = vanc |date=2011 |title=The Nucleolus |volume=Volume 15 of Protein Reviews |location=Berlin |publisher=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age=15 |isbn=9781461405146 }}</ref>
[[중심소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중심체]]에서 미세소관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방추체가 된다. 두 개의 방추체가 만들어져 미세소관을 발달시키며 서로 다른 세포의 양 끝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모터 단백질]]이 이들 방추체를 밀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ref name=Lloyd/> 중심체는 동물의 유사 분열에서 관찰되고 식물의 경우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동물의 경우에도 필수불가결한 요소는 아니다.<ref name="pmid16814722">{{저널 인용| vauthors = Basto R, Lau J, Vinogradova T, Gardiol A, Woods CG, Khodjakov A, Raff JW | title = Flies without centrioles | journal = Cell | volume = 125 | issue = 7 | pages = 1375–86 | date = June 2006 | pmid = 16814722 | doi = 10.1016/j.cell.2006.05.025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