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실복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Huzzlet the 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의 도움을 받아 동음이의 처리: 김제 - 김제시 문서로 링크 바꿈
64번째 줄:
[[662년]] 정월 27일에 왜국은 복신에게 화살 10만 대와 실 5백 근, 면 1천 근, 포(布) 1천 단, 위(韋) 1천 장, 곡식의 종자 3천 곡을 보내고, 백제왕에게는 포 3백 단을 보내고 있다. 7월 30일, 유인원과 유인궤 등이 이끄는 당나라군은 웅진 동쪽에서 복신이 이끄는 군사들을 크게 깨뜨리고 지라성(支羅城) 및 윤성(尹城)과 대산(大山)·사정(沙井) 등의 목책을 빼앗아 차지했다. 복신 등은 강에 임해 있는 요충지인 진현성(眞峴城)에 군사를 더해 지켰지만, 유인궤는 한밤중에 신라군을 몰아 성가퀴에 오르게 하고, 날이 밝을 무렵에 성으로 들어가 800명을 죽이고 성을 빼앗았다. 이것으로 신라의 군량 수송로를 뚫는데 성공한 유인원은 본국에 증원병력을 요청했고, 좌위위장군(左威衛將軍) 손인사(孫仁師)가 이끄는 치(淄)· 청(靑)· 내(萊)· 해(海)의 수군 7천 명<ref>40만 명이라고 적은 것도 있다.</ref>이 백제로 보내졌다.(《삼국사기》)<br />
 
12월 1일, 백제 부흥군 지도부는 수도를 주류성에서 피성(避城, 벽성壁城 즉 지금의 [[김제시|김제]])으로 옮겼다. 주류가 논밭과는 멀리 떨어진 곳인데다 돌이 많고 척박해 농사짓기가 어려워 백성들이 굶주리게 될 것이라는 이유를 들어서였다. 왜군 장수 에치노 다쿠쓰만이 적과 너무 가깝고 지대도 낮다며 반대했지만 지도부는 피성으로의 천도를 단행했다. 이듬해([[663년]]) 2월, 신라의 김흠순과 김천존이 이끄는 신라군이 백제의 거열성(居列城)·거물성(居勿城)·사평성(沙平城)을 차례대로 공격하여 항복시키고 덕안성(德安城)을 쳐서 백제군은 1,070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신라군은 부흥군 지도부가 있는 피성으로 더 가까이 다가서게 되었다. 결국 옮긴지 두 달 만에 백제 지휘부는 에치노 다쿠쓰의 말대로 도로 주류성으로 옮겨갔다.(《일본서기》·《삼국사기》신라본기)<br />
 
==== 몰락과 죽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