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2번째 줄:
|기타 이력 =
}}
'''김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화랑의 우두머리였으며 태대각간이였고 [[신라]]에신라에 귀순한 [[가야]] 왕족의 후손으로서, [[신라]]가신라가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중국의 당나라군을 물리치며 삼한일통을 이루는 데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신라]]의신라의 장군이며, 정치가이다.
 
[[무열왕|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과 [[문무왕|문무왕(文武王)]]을 도와 신라의 [[삼국 통일]] 전쟁을 보좌하였으며, [[진평왕|진평왕(眞平王)]]부터 [[문무왕]]에문무왕에 이르는 다섯 명의 왕을 섬겨 [[신라]] 정권의 중추적 인물로 성장하였으며, 신하로서 왕으로 추봉된 유일한 인물이며, 무열왕의 즉위 및 삼국 통일 전쟁 등에 기여한 공적을 인정받아 왕족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순충장렬흥무대왕'''(純忠壯烈興武大王)으로 추존되었다. [[신라]]의 역사에서뿐 아니라 후대 [[고려]]와 [[조선]]에 이르기까지 성신(聖臣)·주석지신(柱石之臣)으로 추앙받았다.
'''김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화랑의 우두머리였으며 태대각간이였고 [[신라]]에 귀순한 [[가야]] 왕족의 후손으로서, [[신라]]가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중국의 당나라군을 물리치며 삼한일통을 이루는 데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신라]]의 장군이며, 정치가이다.
 
[[무열왕|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과 [[문무왕|문무왕(文武王)]]을 도와 신라의 [[삼국 통일]] 전쟁을 보좌하였으며, [[진평왕|진평왕(眞平王)]]부터 [[문무왕]]에 이르는 다섯 명의 왕을 섬겨 [[신라]] 정권의 중추적 인물로 성장하였으며, 신하로서 왕으로 추봉된 유일한 인물이며, 무열왕의 즉위 및 삼국 통일 전쟁 등에 기여한 공적을 인정받아 왕족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순충장렬흥무대왕'''(純忠壯烈興武大王)으로 추존되었다. [[신라]]의 역사에서뿐 아니라 후대 [[고려]]와 [[조선]]에 이르기까지 성신(聖臣)·주석지신(柱石之臣)으로 추앙받았다.
관창, 사다함과 함께 신라의 3대화랑이다
 
줄 33 ⟶ 32:
어머니 만명(萬明)은 [[진흥왕]]의 아우인 [[숙흘종]]의 딸이다. 《삼국사기》 열전에는 서현이 길에서 만명을 보고 눈짓으로 꾀어서 마침내 서로 야합(野合)하게 되었는데, 서현이 만노군(萬弩郡) 태수로 전출되면서 만명도 함께 데려가려 했다. 그러나 서현과 만명이 서로 야합한 것을 알게 된 숙흘종은 분노하여 딸을 별채에 가두고 사람들에게 지키게 했다. 그런데 그날 밤, 난데없는 벼락이 쳐서 별채를 지키던 사람들이 놀라 정신없는 틈을 타서 만명은 창문으로 도망쳐 서현과 함께 만노군으로 떠났다고 한다.
 
유신은 [[진평왕]] [[건복]](建福) 12년([[595년]])에 아버지 서현의 부임지인 만노군에서 태어났는데, 《삼국사기》는 어머니가 그를 갖고 스무 달이 지나서 태어났다고 전한다. 서현은 경진일(庚辰日) 밤에 형혹성(熒惑星)과 진성(鎭星) 두 별이 자신에게 내려오는 꿈을, 만명은 신축일(辛丑日) 밤에 한 어린아이가 황금 갑옷을 입고 구름을 타고 집 안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유신을 갖게 되었으며, 원래 경진일 밤에 서현이 꾼 태몽으로 얻었다 하여 이름을 경진으로 지으려던 것을, "날이나 달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지어서는 안 된다"는 《[[예기]]》의 말에 따라, 경(庚)과 자획이 비슷한 '유(庾)', '진(辰)'과 발음이 비슷한 '신(信)'을 써서 이름을 유신이라 짓게 되었다.<ref name="biography1">《삼국사기》권제41, 열전1 김유신 상(上)</ref><ref group="주해">중국 [[북주]]의 문장가이자 관인이었던 유신(庾信)과도 이름이 같다는 이유도 있었다.</ref>
 
== 생애 ==
줄 46 ⟶ 45:
 
==== 김춘추와의 만남 ====
기록상 유신의 첫 전투로 알려진 낭비성에서의 싸움에 신라군 지휘관으로 참전했던 인물 가운데는 [[파진찬]] [[김용춘]]도 포함되어 있었다. 용춘의 아들로서 훗날 [[태종 무열왕]]으로 즉위하게 되는 김춘추(金春秋)와는김춘추와는 훗날 정치적 동맹자로서 굳건한 관계를 맺게 되는데, 이들 사이의 동맹에는 양자간에 중첩적인 혼인을 통한 혈연관계 형성이 주요한 토대가 되었다. 《삼국유사》에는 이와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때는 [[음력 1월 16일|정월 오기일(烏忌日)]]<ref group="주해">해는 구체적으로 몇 년도인지 알 수 없지만, 대체로 문무왕이 태어난 [[626년]]에서 멀지 않은 이전 시점으로 여겨진다.</ref>, 뜰에서 춘추와 함께 축국을 하던 유신은 일부러 그의 옷고름을 밟아 터지게 하고서, 옷고름을 꿰맨다는 핑계로 그를 자신의 집으로 데려가 누이동생 문희에게 그 옷고름을 꿰매게 하였다. 이 일이 계기가 되어 춘추는 자주 유신의 집을 드나들게 되었고 마침내 문희가 임신하게 되자 유신은 "혼인도 하지 않고 아이를 가진 누이를 화형에 처할 것"이라는 소문을 퍼뜨리게 한 뒤, 왕이 남산에 행차하는 날에 맞춰서 집 뒤뜰에 장작더미를 쌓아놓고 불을 질러서 연기를 피워올렸다. 남산에서 이 연기를 목격한 왕이 좌우 신료들에게 묻자, 신료들은 자신들이 들은 소문을 왕에게 아뢰었고, 마침 왕의 옆에 있다가 그 말을 듣고 안색이 변한 춘추를 본 왕은 아이의 아버지가 그임을 짐작하며 얼른 가서 구해주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두 사람은 마침내 혼인하게 되었다.
 
선덕여왕 [[인평]](仁平) 9년([[642년]]) 백제는 [[대야성]]을 비롯한 신라 서쪽 40여 성(城)을 쳐서 함락시켰는데 이 과정에서 춘추의 사위였던 대야성주 김품석(金品釋) 부부가 죽자 춘추는 딸의 원수를 갚기 위해 고구려에 원병 파병을 요청하러 떠났다. 고구려로 떠나기 전날, 김춘추는 김유신을 찾아와 “지금 내가 고구려에 사신으로 가려 하는데, 60일이 지나도 내가 돌아오지 않으면 다시는 나를 볼 수 없을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공은 어찌하겠소?”하고 묻자, 김유신은 “그렇게 된다면 내가 탄 말의 말발굽이 반드시 백제와 고구려, 두 나라 왕의 정원을 짓밟을 것이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두 사람은 손가락을 깨물어 피로 맹세를 나누었다. 춘추가 떠난 뒤 압량주(押梁州, 지금의 [[경상북도]] [[경산]] 주변)의 군주(軍主)로 옮겨간 그는 춘추가 억류되었다는 소식에 군사 1만(열전에는 3천)을 모아 결사대를 조직하고 왕에게 고구려로 보내줄 것을 요청해 출동 기일에 대한 칙허를 받아냈으며, 신라에 간첩으로 와있던 승려 덕창(德昌)의 보고를 접한 고구려 조정은 전쟁 방지를 위해 춘추를 석방해 무사히 풀려났다.
 
==== 백제와의 전쟁 ====
줄 56 ⟶ 55:
 
==== 비담의 난 ====
인평 14년([[647년]]) 정월에 [[상대등]](上大等) [[비담]]·[[염종]](廉宗) 등이 일으킨 반란(비담의 난)에서<ref group="주해">당시 신라 왕실에 선덕여왕을 계승할 수 있는 근친 왕족은 성골인 여왕의 사촌 승만 공주와, 진골이지만 6촌인 김춘추밖에 없었고, 그들을 제외한다면, 방계 진골 귀족인 비담이 가장 유력한 왕위 계승자였다.</ref> 명활성에 들어간 반란군과 맞서 유신은 춘추와 함께 월성에 설치된 진영에 주둔하며 열흘 동안 반란군과 대치했다. 그러다 한밤중에 큰 별 하나가 월성에 떨어지는 것을 본 비담이 병사들에게 “별이 떨어진 곳은 반드시 피를 흘린다 하니 이는 여왕이 패하고 내가 승리할 징조다!”라고 말하여 반군의 사기는 크게 치솟았다. 이에 김유신은 몰래 허수아비를 커다란 연에 매달아 불을 붙이고 밤에 몰래 하늘로 띄워 보낸 뒤, 병사들에게 “어젯밤에 떨어진 별은 다시 하늘로 올라갔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반란군이 동요하는 사이에 유신은 명활성을 쳐서 함락시키고, 비담을 쳐서 9족을 모두 죽였다. 그 사이 선덕여왕이 서거하고 그 뒤를 이어 선덕여왕의 사촌인 승만공주가 왕위를 계승하여 [[진덕여왕]]이 되었다.
 
=== 장년기 ===
반란을 진압한 후 압량주군주로 부임한 유신은 [[음력 10월|10월]]에는 무산성(茂山城, 지금의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감물성(甘勿城, 지금의 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 동잠성(桐岑城,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에 들어온 백제군을 격퇴했다. 진덕여왕 태화(太和) 원년([[648년]]) 백제에게 빼앗겼던 대량주를 다시 공격하여 수복하고, 백제의 12성을 함락시킨 공으로 이찬(伊飡)으로 승진한 뒤 상주행군대총관(上州行軍大摠管)에 임명되었다.
 
김유신은 예전에 백제에게 빼앗긴 대야성을[[대야성]]을 되찾기 위해 진덕여왕의 허가를 받고 출전하였다. 김유신이 근처 계곡에 군사를 매복시킨 뒤 대야성 밖에 이르자 백제군이 공격해 왔다. 백제군과 한동안 맞서 싸우던 김유신은 갑자기 군사를 돌려 후퇴하였다. 이것을 본 백제군은 성 밖으로 나와 신라군을 뒤쫓았다. 이때 계곡에 숨어 있던 군사들이 일제히 뛰쳐나와 백제군의 후방을 공격하자, 후퇴하던 김유신도 즉시 군사를 돌려 협공을 가해 백제군 1천여 명이 죽었다. 그리고 백제 진영과의 교섭을 통해, 전투에서 사로잡은 백제 장군 여덟 명을 돌려보내는 조건으로 앞서 대야성에서 죽은 김품석 내외의 유골을 송환받는데송환받는 데 성공했다. 승세를 몰아 유신은 거듭 백제를 쳐서 악성(嶽城) 등 12성을 함락시켰으며, 2만여 명을 죽이고 9천여 명을 사로잡았다. 그 공으로 김유신은 상주행군 대총관에 올랐다. 이어 김유신은 백제의 진례성 등 9개의 성을 쳐서 9천여 명을 죽이고 6백여 명을 사로잡았다. 한편 이 해에 당에 사신으로 들어갔던 춘추는 당의 황제로부터 원병 파병의 약속을 얻어내고, 아들 한 명을 당의 황제 옆에 남겨두어 숙위하게 한 뒤 귀국하고 있다.
 
[[음력 8월|8월]], 백제의 장군인 [[좌평]] [[은상]](殷相)이 대군을 이끌고 석토(石吐) 등 7성을 기습해 대량의 전사자가 나고, 석토성 등 7개의 성을 백제에 빼앗기자 유신은 다시 군사를 이끌고 싸움터로 나아가 은상과 자견(自堅)을 비롯한 백제 장수 10명과 8,980명에 달하는 백제군을 죽이고, 달솔 정중(正仲) 등 장수 100명을 사로잡았으며 말 1만 필과 갑주 1,800필을 노획한다. 서라벌로 돌아온 김유신은 진덕여왕으로부터 직접 환대를 받는 등 극진한 예우를 입었다고 한다.
줄 68 ⟶ 67:
==== 김춘추의 추대와 백제 멸망 ====
[[파일:Statue of Kim Yushin.jpg|섬네일|오른쪽|[[남산 (서울)|남산]]에 있는 김유신의 동상]]
진덕여왕 8년([[654년]]) 봄 3월에 여왕이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서거하자 [[화백]]은 상대등이었던 [[알천]](閼川)을 추대했으나, 알천은 이를 거부하며 이찬 춘추를 왕으로 추대하였다. 이가 태종 무열왕이다. 이때의 유신의 정치적 영향력은 귀족 회의인 화백의 결정을 취소시키고 자신의 연척인 춘추를 왕으로 추대할 만큼 성장해 있었다.
 
무열왕 2년([[655년]]) 유신은 대각간(大角干)에 임명되었다. 가을 9월에는 백제의 도비천성(刀比川城)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10월 무열왕의 셋째 딸이자 외조카였던 [[지소 부인|지소]]와 혼인했다. 이러한 신라 왕실과의 이중, 삼중의 혼맥을 통해 그는 신라의 최고 권력자로 부상했다. 그리고 그해에, 유신은 백제와의 전쟁에서 포로가 되었다가 좌평 임자(壬子)의 가노가 된 전(前) 부산현령(夫山縣令) 급찬 조미압을 통해 임자와 연계하는데 성공, 그로부터 백제의 내부 사정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다.
 
무열왕 7년([[660년]]) 초에 그는 상대등으로 승진했다. 이 해 6월 마침내 당 고종은 신라에 대한 원병 파병을 실행에 옮겨, 대장군 [[소정방]] · 유백영(劉伯英)이 지휘하는 13만 수군을 신라로 보냈다. 유신은 왕명으로 태자 법민(法閔, 훗날의 문무왕)과 장군 [[김진주 (신라)|김진주]] · [[김천존]](金天存) 등과 함께 큰 배 1백 척을 타고 당병이 주둔하는 덕물도로 갔고, 이곳에서 당병은 뱃길, 신라군은 땅으로 7월 10일에 백제의 수도 사비성 앞에서 합류해 백제를 친다는 계획을 세웠다. 유신은 5만 병사를 이끌고 사비성으로 향하던 중, 백제의 [[계백]]이 이끄는 5천 병력과 [[황산벌|황산 벌판]]에서 만나 치열한 전투 끝에 승리, 가까스로 소정방군과 합류해 백제를 쳐서 멸망시켰다. 이때 황산벌 싸움 탓에 당초 당군과 약속한 7월 10일에서 하루 늦은 것을 트집잡아 신라측 독군 김문영을 처형하려 드는 소정방에게, "그러면 우리는 백제를 쳐부수기 전에 당과 먼저 싸울 것이다!"는 태도로 맞서 끝내 소정방을 물러서게 했다. 또한 고종으로부터 현지에서의 일을 임의대로 처리하도록 권한을 위임받은 소정방이 유신과 [[김인문]](金仁問) · [[김양도]](金良圖) 세 사람을 포섭하기 위해 “지금 얻은 백제의 땅을 그대들에게 식읍으로 나눠주겠다”고 하자 유신은 "굳이 우리만 상을 받을 수는 없는 일이다."라는 간곡한 말로 거절하고 있다.
 
당병이 백제 땅에 주둔하면서 기회를 봐서 신라를 치려고 하는 것을 파악한 그는 신라군을 백제군으로 변장시켜 당병을 치게 하자는 계획을 진언했고, 소정방은 일부 잔여병력만을 남긴 채 자신은 [[의자왕]]과 신료 93인, 병사 1만 명을 포로로 데리고 당으로 돌아갔다. 이후 무열왕의 뒤를 이어 유신의 조카이자 처형(妻兄)인 태자 법민이 즉위하자, 유신은 그를 도와 섭정과 외교 활동을 겸하며 통일 전쟁을 지속해 나갔다.